[평창결산⑪]경기장 비롯한 올림픽 레거시, 앞으로 어떻게 활용할까

기사등록 2018/02/25 13:11:00

【서울=뉴시스】 황보현 기자 = 2018 평창 동계올림픽이 17일 간의 열전을 뒤로 하고 25일 밤 폐막한다. 3월9일부터는 평창 동계패럴림픽이 시작된다.

패럴림픽이 끝나면 한국은 세계 4대 국제 이벤트(동·하계올림픽, 월드컵축구대회,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모두 개최한 5번째 국가가 된다.

평창동계올림픽을 계기로 국가의 위상이 올라갔다. 하지만 해결해야할 숙제도 동시에 떠안았다. 성공적인 개최와 함께 올림픽 레거시(유산)를 이어가야 한다는 점이다.

올림픽 레거시는 올림픽 대회로 인해 창출되는 유·무형의 구조와 그 효과가 국가의 정치·경제·문화·환경·스포츠 등 사회 전반에 걸쳐 지속적으로 대물림되는 현상을 말한다.

이번 대회를 통해 우리나라는 동계 스포츠 강국 도약을 위한 발판을 마련했다.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확충·개선된 교통 인프라는 개최도시를 비롯한 강원도의 경제와 문화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기폭제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경기장을 비롯한 대회 시설도 올림픽 이후 남겨지는 중요한 유형 유산이다. 평창 동계올림픽에 사용된 12개 경기장 중 정선 알파인 경기장, 강릉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강릉 하키센터를 제외한 나머지 경기장은 사후활용 방안이 결정돼 있다.알펜시아 슬라이딩센터는 국내외 선수들의 훈련장과 경기장으로 활용되고, 관동대학교 캠퍼스에 건설된 관동 하키센터는 대학 시설과 다목적 스포츠 레저시설로 이용된다.

그러나 이들 경기장을 제외한 나머지 경기장의 경우 사후 활용 방안에 대해서 뚜렷하게 결정된 것이 없다.그 동안 대규모 국제대회를 개최한 여러 국가의 자치단체는 대회 직후 경기장 사후관리로 인한 재정난에 시달렸다.

막대한 예산과 자원을 투자한 시설들이 국민의 체육 공간이나 시설로 제대로 활용되지 못하고 전시용 시설로 방치된 예가 적지 않다.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을 개최한 나가노시는 20년이 지난 지금 매년 120억원 가량을 관리 운영비로 지출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있다. 2014년 아시안게임을 유치한 인천시는 사후관리로 인해 재정악화를 겪고 있고 부산시도 2002년 아시안게임을 치른 후 시설유지에만 매년 수십억원을 쏟아 붓고 있다.

정부와 강원도는 대회 개막 전 경기장 사후활용 테스크포스를 꾸리고 최종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었지만 각 부처 간 조율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여기에 경기장의 관리 주체를 정부나 체육체육진흥공단 등에 이전하기 위한 '국민체육진흥법'과 '동계올림픽 특별법' 개정안도 1년이 넘도록 국회 문턱을 넘지 못하고 있다.

구닐라 린드베리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조정위원장은 지난해 9월 IOC 총회에서 "(평창올림픽) 경기장 시설은 훌륭하게 준비됐다. 그다음 관심사는 올림픽 운영 및 흥행을 위한 노력, 대회 이후 남길 올림픽 유산으로 옮겨가는 데 현재 몇몇 경기장의 시설 활용 계획이 마련돼 있지 않다"고 지적했다.

 "우리(IOC)는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하얀 코끼리'가 남길 바라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하얀 코끼리'란 겉보기에 훌륭하지만 실제로는 막대한 유지비용이 드는 스포츠시설을 빗댄 표현이다.

IOC의 지적처럼 평창동계올림픽이 성공적인 대회로 남기 위해선 올림픽 레거시를 중점 관리하고 이어나가야 한다. 한순간에 국가와 도시의 골칫거리로 전락한 사례를 반면교사 삼을 필요가 있다.

정부와 지자체, 그리고 각 부처가 머리를 맞대고 해결책을 찾아야 한다. 효율적인 경기장 활용을 통해 투자 대비 이상의 수익을 내야만 혈세 낭비를 막을 수 있고, 평창동계올림픽을 세계에 성공적인 대회로 각인시킬 수 있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