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총리 당 복귀설 속 후임 검증 '윤곽'…진영, 검증동의서 제출

기사등록 2019/11/17 08:30:00

진영, 박근혜 정부서 복지부 장관 지낸 '탕평 인사'

야권 인사들과도 대체로 원만…청문리스크 최소화

원혜영·김진표 의원 등 거론…김현미 가능성 낮은듯

패스트트랙과 예산 정국 등 고려 개각 늦어질 수도

【서울=뉴시스】고승민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자료를 검토하고 있다. 2019.11.07.kkssmm99@newsis.com
【서울=뉴시스】고승민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예산결산특별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자료를 검토하고 있다.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지훈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의 여당 복귀와 총선 역할론에 무게가 실리는 가운데 청와대는 후임 인선을 위한 검증 작업에 본격 착수한 모습이다.

17일 여권 관계자들에 따르면 진영 행정안전부 장관은 최근 청와대에 검증동의서를 제출했다. 청와대가 후보군을 추리고, 재산 등 주요 항목에 대한 세부적인 검증 작업에 들어간 것으로 볼 수 있다.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이 지난 10일 기자간담회에서 "당에서 요구하고 본인이 동의하신 분들에 대해서는 저희들이 놓아드려야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고 언급한 점에 비춰볼 때 막바지 검증 작업에 돌입한 것으로 풀이된다.
 
진 장관은 현 정부 대표적 '탕평 인사'로 이미 주목받은 바 있다. 박근혜 정부 초대 보건복지부 장관을 지낸 그는 2016년 새누리당에서 민주당으로 옮겼고, 올해 4월에는 행안부 장관으로 임명됐다. 인품이 좋다는 평가와 함께 야권 인사들과도 좋은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3월 자유한국당이 진 장관을 포함한 인사청문 대상자 7명 전원에 대해 '부적격' 당론을 내걸면서 인사청문경과보고서가 불발되는 등 우여곡절을 겪기도 했으나, 진 장관에 대한 청문보고서는 결국 채택된 바 있다. 진 장관이 인사청문회를 통과했다는 점도 플러스 요인이다. 총리 후보자는 국회 인준 투표까지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진 장관 외에도 민주당의 원혜영 의원, 김진표 의원, 정세균 전 국회의장, 그리고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 등이 하마평에 오르내리는 상황이다. 
 
【서울=뉴시스】박주성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들이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2019.11.05. park7691@newsis.com
【서울=뉴시스】박주성 기자 = 이낙연 국무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들이 5일 오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국민의례를 하고 있다. 2019.11.05. [email protected]
이 중에서도 유력하게 꼽히는 인물은 원 의원과 김 의원이다. 원 의원은 총선에 출마하지 않는 쪽으로 마음을 굳힌 것으로 알려졌다. 원 의원은 대야 관계도 원만하다는 평가다.

행정고시 출신인 김 의원은 경제부총리와 교육부총리를 지낸 실무형인 데다가 문재인 정부 출범 때 국정기획자문위원장을 맡아 현 정부의 정책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힌다. 다만 일각에서는 여권에서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성향도 있어 당내 평가가 엇갈린다는 이야기도 나온다.

정 전 의장의 경우 총선 출마를 염두에 두고 있어 가능성이 높지 않다는 관측이다. 김 장관은 문 대통령과 코드가 잘 맞는다는 등의 이유로 여성 총리 후보로 거론됐으나 3기 신도시 등에 대한 비판 여론이 적지 않은 점이 정권에는 부담이라는 관측이다. 총리 후보군으로 거론됐던 박지원 대안신당(가칭)은 지난 15일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총선에 올인한다"고 일축했다.
 
총선 출마를 위한 공직 사퇴 시한은 내년 1월16일이다. 이 총리가 총선에서 역할을 하려면 이 시한을 넘겨서는 안 된다. 때문에 올 연말께 청와대가 '총선용 개각'을 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다만 신속처리 안건(패스트트랙) 지정 법안과 '513조 초슈퍼 예산' 대치 정국이 장기화할 경우 '청문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 해를 넘겨 내년 1월 '공직 사퇴시한'까지 최대한 개각을 늦출 수도 있다는 전망이다.

여권 일각에서는 총리 인선에 따른 정치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국정 공백이 불가피하더라도 '총선 후 총리 개각'도 하나의 카드로 검토해야 한다는 견해를 제기한다. 이 경우 현재 공석인 법무장관에 대한 '원 포인트' 인선만 이루어질 가능성도 있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