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라나 스테이킹 ETF, 미국서 거래 시작
이더리움 등 다른 ETF에도 스테이킹 포함 가능성↑
락업에 따른 유동성 제약·네트워크 장애 등 리스크도

솔라나. (사진=솔라나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이지영 기자 = 미국에서 가상자산 시가총액(시총) 6위 솔라나를 구매하면 연 7% 이자를 받을 수 있게 됐다. 솔라나 스테이킹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해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비트와이즈가 출시한 솔라나 스테이킹 ETF 'BSOL'이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처음으로 거래를 시작했다. 상장 첫날 거래액은 6500만달러(약 930억원)로, 올해 신규 상장 ETF 중 최대 규모다.
스테이킹을 통한 추가 수익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BSOL은 보유한 솔라나의 100%를 스테이킹해서 연 7%가량의 스테이킹 이율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테이킹은 솔라나와 이더리움 등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가상자산을 예치하고, 그 보상으로 해당 가상자산을 추가로 받는 방식을 말한다. 예치한 가상자산을 일정 기간 인출할 수 없는 락업(Lockup) 구조로 돼 있다.
단순히 가격을 추종하던 가상자산 ETF를 넘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이자형 가상자산 ETF 시대가 열린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BSOL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처음으로 승인한 '스테이킹 결합형 ETF'다. 기초자산 가격을 추종하는 기존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와 다른 형태다.
이를 계기로 이더리움 등 다른 가상자산 현물 ETF에도 스테이킹이 포함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사실상 주식 배당과 같은 스테이킹 보상이 포함된 상품에 대한 매력도가 더 커져서다.
일각에서는 스테이킹이 포함된 솔라나 현물 ETF가 이더리움 현물 ETF보다 경쟁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솔라나 연간 스테이킹 수익률(8%)이 이더리움(3%) 대비 높다는 점에서다.
스테이킹을 통한 이자형 가상자산 ETF가 확산하면 큰손인 기관 투자자의 자금이 추가로 유입될 것이란 기대감도 잇따른다. 안정적 수익 구조를 추구하는 기관 투자자에게 지속 가능한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스테이킹 특성상 락업에 따른 유동성 제약 및 네트워크 장애 등 리스크도 존재한다. 보상률 또한 네트워크 상황과 스테이킹 참여 비율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투자자가 실제로 체감하는 수익률을 예상치보다 낮을 수 있다.
홍성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비트와이즈 솔라나 스테이킹 ETF 승인 이후 가상자산 ETF에 본격적으로 스테이킹이 활용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1일 업계에 따르면 비트와이즈가 출시한 솔라나 스테이킹 ETF 'BSOL'이 지난달 28일(현지시간) 미국에서 처음으로 거래를 시작했다. 상장 첫날 거래액은 6500만달러(약 930억원)로, 올해 신규 상장 ETF 중 최대 규모다.
스테이킹을 통한 추가 수익이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BSOL은 보유한 솔라나의 100%를 스테이킹해서 연 7%가량의 스테이킹 이율을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스테이킹은 솔라나와 이더리움 등 지분증명(Proof of Stake, PoS)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가상자산을 예치하고, 그 보상으로 해당 가상자산을 추가로 받는 방식을 말한다. 예치한 가상자산을 일정 기간 인출할 수 없는 락업(Lockup) 구조로 돼 있다.
단순히 가격을 추종하던 가상자산 ETF를 넘어 추가 수익을 얻을 수 있는 이자형 가상자산 ETF 시대가 열린 것으로 평가된다. 실제로 BSOL은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가 처음으로 승인한 '스테이킹 결합형 ETF'다. 기초자산 가격을 추종하는 기존 비트코인·이더리움 현물 ETF와 다른 형태다.
이를 계기로 이더리움 등 다른 가상자산 현물 ETF에도 스테이킹이 포함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사실상 주식 배당과 같은 스테이킹 보상이 포함된 상품에 대한 매력도가 더 커져서다.
일각에서는 스테이킹이 포함된 솔라나 현물 ETF가 이더리움 현물 ETF보다 경쟁력이 있다고 보고 있다. 솔라나 연간 스테이킹 수익률(8%)이 이더리움(3%) 대비 높다는 점에서다.
스테이킹을 통한 이자형 가상자산 ETF가 확산하면 큰손인 기관 투자자의 자금이 추가로 유입될 것이란 기대감도 잇따른다. 안정적 수익 구조를 추구하는 기관 투자자에게 지속 가능한 수익을 가져다줄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스테이킹 특성상 락업에 따른 유동성 제약 및 네트워크 장애 등 리스크도 존재한다. 보상률 또한 네트워크 상황과 스테이킹 참여 비율에 따라 유동적으로 변하기 때문에 투자자가 실제로 체감하는 수익률을 예상치보다 낮을 수 있다.
홍성욱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비트와이즈 솔라나 스테이킹 ETF 승인 이후 가상자산 ETF에 본격적으로 스테이킹이 활용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