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답없는 北에 지켜보는 靑···김정은 답방 준비 '정중동'

기사등록 2018/12/09 13:05:59

"金 답방 시점 예측할 상황 아냐···차분히 지켜볼 필요"

"언제될지 모르니 준비만···시점 못 박을 상황 아냐"

"최소 사전 답사는 필요"···당일 발표 가능성에 "그럴리가"

【서울=뉴시스】청와대 사랑채 앞에설치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이 담긴 그림 작품. (사진=뉴시스DB). 2018.12.07.
【서울=뉴시스】청와대 사랑채 앞에설치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모습이 담긴 그림 작품. (사진=뉴시스DB). 2018.12.07.
【서울=뉴시스】김태규 기자 = 청와대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연내 답방 준비에 여념이 없는 분위기다. 북한으로부터 공식 답변이 올 것을 염두에 두고 만반의 대비태세를 갖추고 있는 모양새다.

청와대는 김 위원장 답방 여부와 관련한 언급은 최대한 자제하고 있으면서도 물밑에서는 분주하게 움직이는 '정중동(靜中動)'의 양상을 보이고 있다. 김 위원장의 평양 출발과 동시에 답방 발표가 이뤄지는 것이 아니냐는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은 9일 출입기자단 문자 메시지를 통해 김 위원장의 답방 여부에 대해 "지금까지는 진척된 상황이 없고 발표할 것도 없다"며 "별다른 징후는 없다"고 밝혔다.

표면적으로는 북한이 김 위원장의 답방 여부와 관련해 공식 답변을 주지 않고 있다는 점을 재확인한 것이다.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이 7일 "안 오네요"라고 한 뒤, 이틀 동안 아무런 상황 변화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한다.

뒤집어 보면 김 위원장의 결단만을 기다리고 있다는 기대감으로 읽힌다. 청와대는 문재인 대통령이 김 위원장의 답방을 공론화 한 해외순방 직후 김 위원장을 공식 초청한다는 의사를 전달한 것으로 알려졌다.

답방 준비에 필요한 최소한의 시간 등 물리적인 여건 등을 감안할 때 늦어도 다음 주 중에는 가부가 결정돼야 본격적인 절차를 밟을 수 있다는 현실적인 고민도 존재한다.

특히 김 위원장의 철저한 경호·안전에 만전을 기하기 위해서는 경찰 등 관계부처에 답방 시기와 예상 동선 등을 공유하는 것은 물론 최소한의 준비 시간이 필요하다. 

문재인 대통령은 해외순방 중이던 지난 1일 기내간담회에서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에 대해 북한에서 가장 신경 쓸 부분이 경호라든지 안전의 문제가 아닐까 생각한다"며 "그 부분들은 철저하게 보장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북한 내부적으로 김 위원장이 평양을 비울 수 있는 시간은 제한적이다. 아버지인 김정일 국방위원장 사망 7주기(17일), 한 해 정책추진을 결산하고 내년 신년사 등을 준비하는 총화 기간(21~31일) 등 일정이 빽빽하다.

이러한 상황적 여건을 바탕으로 각종 추측이 쏟아지고 있다. 김정일 추모 7주기인 17일을 넘긴 18~20일이 유력하다는 전망과 12~14일, 크리스마스 전후 등 여러 추측이 동시에 제기된다.

설훈 더불어민주당 최고위원은 지난 7일 BBS 라디오 '전영신의 아침저널' 인터뷰에서 "올해 안에 오게 되면 크리스마스 무렵이 되지 않겠느냐"며 "25일 전에도 올 수 있다 생각하고, 이번주까지 기다려보면 답방 여부가 결정되리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서울=뉴시스】청와대 본관의 모습. (사진=뉴시스DB). 2017.05.10.
【서울=뉴시스】청와대 본관의 모습. (사진=뉴시스DB). 2017.05.10.

정세현 전 통일부 장관은 4일 tbs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에서 "17일 아버지 기일 그날은 못 올 것이고, 그 다음에 20일부터는 일정이 꽉 차있다"며 "18, 19, 20일을 비워놨다는 것으로 봐서는 그 때 오지 않겠는가"라고 전망했다.

일각에서는 물밑 접촉을 통해 모든 준비를 끝내 놓고 북한과 발표 시점만 저울질하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관측도 제기된다. 김 위원장의 평양 출발과 동시에 발표하는 '깜짝 발표' 가능성이 제기되는 것도 이러한 관측에 기대고 있다.

이와 관련해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갑자기 내려오고 (동시에 발표하는 식의) 이렇게야 되겠는가"라고 반문하며 가능성을 낮게 점쳤다.

청와대는 경우에 따라 연내 답방이 성사되지 않을 가능성도 완전히 배제하고 있지는 않다. 김 위원장의 답방 자체에 의미를 두며 추진하되, 북측의 답변이 없는 상황에서 시점에 연연할 수 없다는 것이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연내 답방 가능성을 언급한 문 대통령의 기내 간담회 내용에 대해 "대통령이 비행기에서 말씀하신 부분들은 연말이나 연초 두 가지 가능성을 다 이야기한 것"이라며 여지를 남겼다.

특히 의전·경호 등 김 위원장의 답방에 필요한 최소한의 절차마저 생략한 채 무리하게 추진할 수만은 없다는 게 청와대의 인식이다. 남북 정상회담의 날짜 발표→고위급 회담→의제·의전 논의→사전 답사→정상회담이라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따라야 한다는 것이다.

다만 주어진 상황에 맞게 몇 가지 프로세스를 압축·진행할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번에도 앞선 남북 정상회담의 프로세스를 준용할 계획인가'라는 질문 "최소한 북측에서 답사는 와야 한다"며 "4·27 판문점 정상회담 때도 평화의 집에 대한 답사 과정이 있었듯 이번에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대답없는 北에 지켜보는 靑···김정은 답방 준비 '정중동'

기사등록 2018/12/09 13:05:59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

기사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