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해단식서 "제 부족함에 패배…李 취임식 보며 역사적 죄 지었단 생각"

기사등록 2025/06/04 17:02:44

최종수정 2025/06/04 18:56:23

"국힘, 민주주의 기본적인 이해·신념·사명 없어 계엄으로 나타나"

"당내 민주주의 무너져…깊은 성찰과 개혁 필요해"

"이종석이 국정원장을 하고 김민석이 총리 하는 게 맞냐"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김문수 전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4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에서 김용태 비대위원장과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6.02. photo@newsis.com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김문수 전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4일 서울 여의도 중앙당사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선거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에서 김용태 비대위원장과 인사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6.02.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정윤아 하지현 윤현성 기자 = 김문수 전 국민의힘 대선후보는 4일 제21대 대통령선거 결과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 취임식을 보며 제가 큰 역사적 죄를 지었다는 생각을 했다"며 사죄의 절을 했다.

김 전 후보는 이날 국민의힘 중앙선거대책위원회 해단식에서 "제 부족함으로 패배를 안겨드린 점을 용서해달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국민들 대부분이 원하지 않던 이재명 대통령이 오늘 취임하는 것을 보면서 왜 이렇게 됐을까 생각해봤다"며 "우리당이 민주주의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신념, 투철한 사명이 없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것이 바로 계엄이라는 상상할 수 없는 일로 나타났다"며 "우리 당이 계엄을 했던 대통령을 뽑았고, 우리 대통령의 뜻이 당에 많이 일방적으로 관철된 것에 대해서 깊은 자성이 필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김 전 후보는 "앞으로 절대 이런 식의 계엄은 다시 있어서는 안 된다"며 "우리가 그냥 말릴 수 없었던 또 제어하는 힘이 내부에 없었던 점에 대해서 매우 큰 문제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당내 민주주의가 무너졌다고 생각한다"며 "우리가 과연 어떤 사람을 당 대표로 뽑느냐, 또는 누구를 공직후보자로 뽑느냐는 민주주의가 완전히 사라져버렸다"고 지적했다.

김 전 후보는 "삼척동자가 보더라도 말이 안되는 방식으로 공직후보, 당대표를 뽑지 않았느냐"며 "지금 민주주의가 숨을 못 쉬는 정당이다. 깊은 성찰과 개혁이 필요하다"고 했다.

그는 "경제와 민생에 대한 우리당의 투철하고 확고한 자기 역할이 필요하다"며 "의원회관에 '경제는 민주당'이라고 돼있는 포스터를 보고 놀랐다. 경제는 당연히 국민의힘이었는데 확고한 비전을 국민들에게 드려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외교안보와 관련해서도 우리가 확고한 우위를 주지 못하고 있다"며 "이종석 같은 사람은 '북한을 내재적 접근방식으로 봐야 한다'는데 국정원장을 하는 게 맞느냐"고 했다.

김 전 후보는 "김민석 국무총리 지명자(후보자)도 마찬가지"라며 "이 사람이 과연 대한민국을 어디로 가져갈지 불안하다"고 했다.

그는 "무엇보다 우리당이 지금 민심이나 골목 민심을 얼마나 반영하고 있느냐"며 "민심을 반영할 수 있는 시스템 자체이 굉장히 약하고 동떨어진 현장과 밀착하지 않고 떨어진 점이 선거의 결과로 나타났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김 전 후보는 "지금 우리끼리 다투는 것도 어느 정도 다투고 어디까지 안 다퉈야 하는지 룰 자체도 확립이 안 돼 있다"며 "대선이라는 큰 일전을 해야 될 상태에서 당 동지들이 얼마나 원만하게 가는지도 중요한데 이 부분이 굉장히 아쉬웠다"고 했다.

그는 "비록 우리가 패했지만 국민의힘이 있기 때문에 정치, 경제, 민생의 희망이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김문수, 해단식서 "제 부족함에 패배…李 취임식 보며 역사적 죄 지었단 생각"

기사등록 2025/06/04 17:02:44 최초수정 2025/06/04 18:56:23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