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사단으로 넘어갈 일 아냐…대통령이 직접 외교채널 복원하라"
"민주, 국힘 공격 몰두할 때 아냐…연대외교 고민하는 협치해야"
![[프린스 조지 카운티=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 시간) 메릴랜드주 프린스 조지 카운티에 있는 조인트 베이스 앤드루스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 참석 차 네덜란드로 향하는 전용기에 탑승해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2025.06.25.](https://img1.newsis.com/2025/06/25/NISI20250625_0000443120_web.jpg?rnd=20250625082951)
[프린스 조지 카운티=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4일(현지 시간) 메릴랜드주 프린스 조지 카운티에 있는 조인트 베이스 앤드루스에서 북대서양조약기구(나토) 정상회의 참석 차 네덜란드로 향하는 전용기에 탑승해 취재진 질문을 듣고 있다. 2025.06.25.
[서울=뉴시스] 정윤아 한은진 기자 = 국민의힘은 10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금 인상 요구를 한 것에 대해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트럼프 대통령을 만나 관세와 방위비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김정재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금 100억 달러라는 무리한 요구를 꺼내며 안보 비용을 청구할 태세"라며 "거기에 미국은 반도체, 의약품 등 전략품목에 고율관세를 예고하며 수출경제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고 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지금 특사단 파견으로 어물쩍 넘어갈 일이 아니다"라며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나서 트럼프 대통령과 외교채널을 복원하고 관세와 방위비 문제를 전면대응하는 외교적 해법을 이끌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의 허니문 기간은 그리 길지 않다"며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평가가 이미 시작됐고 첫 시험대는 이 위기를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김대식 비대위원도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금으로 우리 돈 14조원을 한국이 부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며 "올해 방위비 분담금의 9배에 달하는 수준"이라고 했다.
김 비대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020년 대선에서 패배하면서 관철시키지 못한 방위비 협상을 이번 협상 카드로 다시 꺼내든 것"이라며 "관세와 방위비를 한 테이블에 올리는 원스톱 쇼핑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그는 "여권 일각에서는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의 방미에 성과가 없자 한미 정상회담이 꼭 필요하다는 기류가 있다고 한다"며 "국민과 기업이 느끼는 절박함에 비해 정부·여당의 준비와 메시지는 안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대통령에게 강력하게 요청한다"며 "이제 이 문제를 대통령이 직접 챙겨달라.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적 모호성에 흔들리지 않도록 정부가 명확한 원칙과 협상안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비대위원은 "대통령께서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게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의지와 구체적 로드맵을 직접 국민과 야당에 설명해야 한다"며 "민주당도 지금 실익과 감동 없는 국민의힘 공격에 몰두할 때가 아니다. 연대외교를 함께 고민하는 협치의 장으로 나와달라"고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김정재 정책위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비상대책위원회 회의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방위비 분담금 100억 달러라는 무리한 요구를 꺼내며 안보 비용을 청구할 태세"라며 "거기에 미국은 반도체, 의약품 등 전략품목에 고율관세를 예고하며 수출경제의 숨통을 조이고 있다"고 했다.
김 정책위의장은 "지금 특사단 파견으로 어물쩍 넘어갈 일이 아니다"라며 "이재명 대통령이 직접 나서 트럼프 대통령과 외교채널을 복원하고 관세와 방위비 문제를 전면대응하는 외교적 해법을 이끌기 바란다"고 말했다.
이어 "대통령의 허니문 기간은 그리 길지 않다"며 "국정운영에 대한 국민평가가 이미 시작됐고 첫 시험대는 이 위기를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달려 있다"고 강조했다.
김대식 비대위원도 "트럼프 대통령이 방위비 분담금으로 우리 돈 14조원을 한국이 부담해야 한다고 요구했다"며 "올해 방위비 분담금의 9배에 달하는 수준"이라고 했다.
김 비대위원은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2020년 대선에서 패배하면서 관철시키지 못한 방위비 협상을 이번 협상 카드로 다시 꺼내든 것"이라며 "관세와 방위비를 한 테이블에 올리는 원스톱 쇼핑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그는 "여권 일각에서는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의 방미에 성과가 없자 한미 정상회담이 꼭 필요하다는 기류가 있다고 한다"며 "국민과 기업이 느끼는 절박함에 비해 정부·여당의 준비와 메시지는 안일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 대통령에게 강력하게 요청한다"며 "이제 이 문제를 대통령이 직접 챙겨달라.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적 모호성에 흔들리지 않도록 정부가 명확한 원칙과 협상안을 갖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비대위원은 "대통령께서 국민들이 안심할 수 있게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의지와 구체적 로드맵을 직접 국민과 야당에 설명해야 한다"며 "민주당도 지금 실익과 감동 없는 국민의힘 공격에 몰두할 때가 아니다. 연대외교를 함께 고민하는 협치의 장으로 나와달라"고 촉구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