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낙관론 재확산…'12만전자'·'56만닉스' 목표가 등장

기사등록 2025/10/10 09:42:55

최종수정 2025/10/10 10:04:23

삼성전자 목표주가 평균값 10만원 넘어서

SK하이닉스 주가 50만원 돌파 전망 잇달아


[서울=뉴시스] 김경택 기자 = 명절 연휴간 인공지능(AI) 업계를 둘러싼 낙관론이 재점화하면서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에 대한 투자 열기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증권가에서는 '10만전자'를 넘어 삼성전자 목표주가 12만원 전망이 등장했고, SK하이닉스에 대해서는 56만원까지 오를 수 있다는 장밋빛 전망이 나온 상태다.

10일 증권가에 따르면 최근 한달 새 증권사들이 제시한 삼성전자의 목표주가 평균값은 10만762원이다. 3개월 평균인 9만9304원보다 10% 가량 오른 상태다. 한달 새 21곳의 증권사가 삼성전자의 적정 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사실상 삼성전자를 커버하고 있는 모든 증권사 리서치 하우스가 눈높이를 높인 셈이다.

특히 한국투자증권은 삼성전자의 목표가를 12만원으로 제시했다. 3분기 실적이 예상치를 웃돈 가운데 HBM(고대역폭메모리)으로 시작되는 반등의 신호가 포착되고 있다는 이유에서다. 실제 전문가들은 삼성전자의 HBM3E 12Hi가 3·4분기 내 사실상 엔비디아 인증을 완료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6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4)의 11Gbps 이상 샘플 역시 이미 엔비디아로 출하를 완료한 것으로 알려졌다.

채민숙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의 3분기 매출액은 82조4000억원, 영업이익은 10조5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 15% 증가하며 영업이익 컨센서스 9조8000억원을 웃돌 것"이라면서 "올해 하반기는 엔비디아 외 고객용 HBM3E 중심 판매를 이어가겠지만 내년 이후 엔비디아를 포함한 다양한 고객사로 HBM 매출이 확대되면서 HBM 출하량이 시장 평균을 상회할 전망"이라고 분석했다.

NH투자증권은 이날 삼성전자의 적정주가를 11만5000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류영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현재 HBM의 주요 고객사인 AMD가 오픈AI와 대규모 GPU(그래픽처리장치)공급 계약을 진행했고 내년 하반기부터 MI450의 본격적인 공급이 예정돼 있다"며 "부진했던 HBM 출하량은 AMD를 포함해 다양한 고객사 확보로 내년 D램 3사 중 가장 높은 성장률 기록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내다봤다.

또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SK하이닉스의 주가가 주당 50만원을 넘어설 것이란 전망이 줄을 잇고 있다. 한국투자증권은 지난 2일 보고서를 발간하고 SK하이닉스의 목표가를 56만원으로 제시했다. 이는 기존 목표가 최고치였던 50만원(신한투자증권)을 훌쩍 뛰어넘는 수치로 현 주가인 39만5500원 대비 업사이드를 40% 이상 제시한 셈이다.

채민숙 연구원은 "오는 2027년까지 역대 최장 기간의 메모리 업사이클이 예상되며, 달라진 메모리 사이클과 높아진 이익 레벨을 고려해 목표 PBR(주가순자산비율)을 2.5배로 제시한다"며 "단기간 내 해소되지 않을 공급 여건을 고려할 때 ASP(평균판매단가)와 실적에는 여전히 업사이드가 있다"고 짚었다.

NH투자증권 역시 SK하이닉스의 주가가 50만원에 도달할 것으로 봤다. 3분기 최대 실적이 기대된다는 분석이다. 류 연구원은 "현재 메모리 환경은 제한적인 공급 상황 속에서 강력한 수요로 기대 이상의 가격 상승세를 지속하고 있다"면서 "아직 HBM 가격을 보수적으로 적용한 만큼 추가적인 업사이드가 존재한다. HBM의 경우 아직 계약들이 마무리되지 않았으나 주요 고객사 스펙 상향에 따른 수율, 고객사 다양화, 일반 D램 가격 상승 등을 고려 시 메모리 업체에게 유리한 상황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이날 오전 9시 30분께 삼성전자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4400원(4.94%) 오른 9만3400원을 기록하고 있다. 같은 시간 SK하이닉스는 3만원(7.59%) 뛴 42만5500원에 거래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AI 낙관론 재확산…'12만전자'·'56만닉스' 목표가 등장

기사등록 2025/10/10 09:42:55 최초수정 2025/10/10 10:04:23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