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규 장비 주문의 47%가 메모리…전분기비 186%↑
메모리 설비투자 확대 주목…슈퍼사이클 기대감도
"EUV 성장 두드러질 것" 미중 갈등에도 내년 자신감
![[펠트호번=AP./뉴시스] 네덜란드 펠트호번에 있는 반도체 장비 회사 ASML 본사의 로고(뉴시스 DB) 2024.12.11.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4/12/11/NISI20241211_0001725926_web.jpg?rnd=20241211125638)
[펠트호번=AP./뉴시스] 네덜란드 펠트호번에 있는 반도체 장비 회사 ASML 본사의 로고(뉴시스 DB) 2024.12.1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인준 기자 = 네덜란드 반도체 장비 회사인 ASML에 메모리 업체들의 주문이 밀려들며 '메모리 슈퍼사이클' 전망에 힘이 실린다.
메모리 산업은 그동안 업황 침체로 보수적 생산 기조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최근 상황이 반전되며 설비투자를 늘리려는 모습이다.
19일 ASML에 따르면 이 회사의 올해 3분기 신규 장비 주문은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36억유로를 포함한 총 54억유로다. 이는 전년 동기(26억3000만유로)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특히 메모리 고객사의 장비 주문량이 25억3753만유로로, 전체의 47%를 차지한다. 이는 전년 같은 분기 14억2182만유로 대비 78% 증가한 수치다.
또 미국발 관세 악재 커진 지난 2분기(8억8656만유로) 대비 186% 폭증한 것이다.
이에 최근 D램 범용 메모리 품귀 현상 속으로 메모리 업체들의 장비 투자가 속도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업체에서 생산하는 EUV(극자외선) 노광장비는 최신 D램 제품의 생산성과 성능 개선을 위한 필수 장비다. HBM(고대역폭메모리)의 전력 효율과 성능도 D램 칩 경쟁력에서 오는 만큼, 이 장비는 메모리 업계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
이런 차세대 EUV 장비 확보 경쟁은 내년 슈퍼사이클 전망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로 여겨진다.
SK하이닉스는 지난달 경기 이천 M16팹(Fab)에 메모리 업계 최초로 양산용 차세대 EUV(하이 NA EUV) 장비를 반입하며, 차세대 메모리 생산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장비는 대당 가격이 5500억원 수준으로 기존 EUV 장비(3000억원)보다 80% 정도 높지만, 제품 성능과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삼성전자도 연내 차세대 EUV 장비를 들여올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현재 연구개발(R&D)용 하이 NA EUV 장비를 운영 중인데 양산용 장비를 추가 구매하는 것이다.
ASML은 내년 1월 '2026년 실적 전망'을 통해 차세대 EUV 등 실적 전망에 대해 밝힐 예정이다.
크리스토프 푸케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사업 매출 감소에도 내년 EUV 중심 성장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내년 매출은 올해 대비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메모리 산업은 그동안 업황 침체로 보수적 생산 기조에서 벗어나지 못했지만, 최근 상황이 반전되며 설비투자를 늘리려는 모습이다.
19일 ASML에 따르면 이 회사의 올해 3분기 신규 장비 주문은 극자외선(EUV) 노광장비 36억유로를 포함한 총 54억유로다. 이는 전년 동기(26억3000만유로) 대비 2배 이상 증가한 것이다.
특히 메모리 고객사의 장비 주문량이 25억3753만유로로, 전체의 47%를 차지한다. 이는 전년 같은 분기 14억2182만유로 대비 78% 증가한 수치다.
또 미국발 관세 악재 커진 지난 2분기(8억8656만유로) 대비 186% 폭증한 것이다.
이에 최근 D램 범용 메모리 품귀 현상 속으로 메모리 업체들의 장비 투자가 속도를 내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 업체에서 생산하는 EUV(극자외선) 노광장비는 최신 D램 제품의 생산성과 성능 개선을 위한 필수 장비다. HBM(고대역폭메모리)의 전력 효율과 성능도 D램 칩 경쟁력에서 오는 만큼, 이 장비는 메모리 업계의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
이런 차세대 EUV 장비 확보 경쟁은 내년 슈퍼사이클 전망을 가늠할 수 있는 바로미터로 여겨진다.
SK하이닉스는 지난달 경기 이천 M16팹(Fab)에 메모리 업계 최초로 양산용 차세대 EUV(하이 NA EUV) 장비를 반입하며, 차세대 메모리 생산에 활용할 계획이다.
이 장비는 대당 가격이 5500억원 수준으로 기존 EUV 장비(3000억원)보다 80% 정도 높지만, 제품 성능과 원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한다.
삼성전자도 연내 차세대 EUV 장비를 들여올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전자는 현재 연구개발(R&D)용 하이 NA EUV 장비를 운영 중인데 양산용 장비를 추가 구매하는 것이다.
ASML은 내년 1월 '2026년 실적 전망'을 통해 차세대 EUV 등 실적 전망에 대해 밝힐 예정이다.
크리스토프 푸케 최고경영자(CEO)는 "중국 사업 매출 감소에도 내년 EUV 중심 성장이 두드러질 것"이라며 "내년 매출은 올해 대비 하락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