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무서운 당뇨합병증…1년에 1000건 꼴로 '당뇨발 절단' 수술

기사등록 2025/10/26 07:00:00

건보공단 통계, '당뇨발 절단' 6년 8개월간 6912건

72%는 60세 이상 고령층…男 환자가 女의 4배

5명중 1명은 진단 뒤 1년 내 사망…치명적 합병증

김미애 의원 "조기검진·교육, 예방급여에 넣어야"

[서울=뉴시스] 당뇨족이란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발생한 발에 관한 모든 문제를 말한다. 전체 당뇨병 환자의 약 15~25%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사진=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2021.04.01
[서울=뉴시스] 당뇨족이란 당뇨병을 앓고 있는 환자에게 발생한 발에 관한 모든 문제를 말한다. 전체 당뇨병 환자의 약 15~25%에서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사진= 분당서울대병원 제공) 2021.04.01
[서울=뉴시스]정유선 기자 = 당뇨환자 발에 궤양이 생기는 합병증 '당뇨발'로 인해 한 해에 1000건 꼴로 신체 절단이 이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미애 국민의힘 의원이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6년 8개월간 이뤄진 '당뇨병성 족부병증(당뇨발)' 절단 수술은 수족 절단술 3923건, 상완·전완·하퇴 절단술 2989건을 합쳐 총 6912건으로 집계됐다. 연간 1000건 가량 당뇨발 절단 수술이 수행되는 셈이다.

당뇨발이란 발에 궤양이 발생하는 당뇨 합병증으로 심하면 절단까지 가는 치명적인 질환이다. 당뇨병 환자 5명 중 1명이 당뇨발을 앓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공단에 따르면 2019년부터 올해 8월까지 당뇨발 절단 수술 환자의 72.3%를 60세 이상이 차지하는 등 고령층 환자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503건, 50대 1297건, 60대 2094건 등 나이대가 높아질수록 수술 건수가 많았는데 20대 11건, 30대 104건 등 비교적 젊은 나이에 절단까지 간 사례도 소수 있었다. 

성별로는 남성 비율이 79.6%로 여성의 4배에 달했다. 당뇨병 합병증은 전반적으로 남성에게서 발병 위험이 더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환자 1명이 2회 이상 수술을 받는 사례도 적지 않아 수족절단술의 2회 이상 수술률은 11.1%(437건), 상완·전완·하퇴 절단술은 4.8%(142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감염이 재발해 재수술을 받거나 한 명의 환자가 좌·우측을 각각 수술한 경우가 포함된 수치다.

당뇨발 진료비는 가파르게 오르는 추세다. 작년 당뇨발 환자의 총진료비는 2019년보다 46% 증가한 992억341만원으로 나타났다. 1인당 진료비도 같은 기간 362만원에서 474만원으로 31% 상승했다.

당뇨발은 절단을 넘어 사망으로 이어지기도 한다. 공단 분석에 따르면 당뇨발 환자의 1년 생존율은 2019년부터 2023년까지 79.01%~83.75% 사이를 오갔다. 당뇨발 환자 5명 가운데 1명은 최초 진단 뒤 1년 내 사망하고 있다는 의미다.

김미애 의원은 "당뇨발은 단순한 합병증이 아니라 생명을 위협하는 만성 감염 질환으로, 절단 이후 삶의 질 저하와 사회경제적 손실이 막대하다"며 "정부는 혈당관리 중심의 치료에서 벗어나 '당뇨발 조기검진·발관리 교육'을 건강보험 예방급여 항목으로 포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단독]무서운 당뇨합병증…1년에 1000건 꼴로 '당뇨발 절단' 수술

기사등록 2025/10/26 07:00:00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