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택지 오답 매력도 전반적으로 높여 변별력 확보"
"32·34·37·37번 문항 제외 시 중·하위권 부담 경감"
![[전주=뉴시스] 김얼 기자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3일 전북 전주시 전북여자고등학교에서 시험을 마친 수험생들이 장내를 빠져나오고 있다. 2025.11.13. pmkeul@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1/13/NISI20251113_0021057170_web.jpg?rnd=20251113173049)
[전주=뉴시스] 김얼 기자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일인 13일 전북 전주시 전북여자고등학교에서 시험을 마친 수험생들이 장내를 빠져나오고 있다. 2025.11.13.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용윤신 정예빈 한민아 인턴 기자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영어 영역은 작년 수능 및 올해 9월 모의평가와 유사한 출제 기조를 유지했다는 평가가 13일 나왔다.
EBS 영어 대표강사인 김예령 대원외고 교사는 이날 오후 정부세종청사에서 브리핑을 통해 "작년 수능 및 올해 9월 모의평가와 유사한 출제 기조를 유지했다"며 "내용이 지나치게 복잡하고 어려운 지문은 배제하면서도 선택지의 오답 매력도를 전반적으로 높여 변별력을 확보했다"고 설명했다.
김예령 교사는 "학교 수업을 충실하게 들어 지문을 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학생들은 쉽게 풀 수 있는 문항들이 다양한 유형에서 골고루 출제됐다"고 분석했다.
김 교사는 "영어 영역은 듣기 17문항, 읽기 28문항 출제했으며 신유형 없이 작년 수능의 출제 경향을 유지하며 소위 '킬러문항'의 요소는 배제했다"며 "공교육을 통해 지문을 충실하게 읽고 이해하는 능력을 갖춘 수험생들이 정답을 맞힐 수 있도록 다양한 유형에서 지문의 정확한 해석을 요하는 문항으로 변별력을 확보했다"고 했다.
김 교사는 "사교육에서 문제풀이 기술을 익히고 반복적으로 훈련한 학생들에게 유리한 문항은 배제했으며 공교육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적정 난이도의 문항이 고루 출제됐다"고 말했다.
중상위권 학생들을 변별할 문항으로는 32번, 34번(빈칸 추론), 37번(글의 순서), 39번(문장 삽입) 등을 꼽았다.
김 교사는 "해당 문항을 통해 변별력을 확보하고자 하면서도, 듣기 및 읽기와 쓰기 영역의 연계율을 일정 수준 이상 유지하면서 그 외의 다른 문항들은 평이하게 출제돼 중·하위권 수험생들의 시험 부담을 경감시키고자 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했다.
EBS 수능 연계교재와의 연계율은 55.6%(25문항)로 집계됐다. 듣기 및 말하기 문항은 EBS 수능 연계교재에 나온 대화·담화를 재구성하거나 소재, 그림 및 도표 등을 활용한 문항이 12개 출제됐고 읽기와 쓰기 문항의 경우에는 EBS 수능 연계교재에서 지문과 도표, 그리고 안내문 등을 활용한 문항이 13개 출제됐다.
김 교사는 "우리말로 번역해도 이해하기 어려운 과도하게 추상적인 표현이 사용된 지문 사용을 배제해 공교육 내에서도 충실하게 공부한 학생들이 좋은 성적을 받을 수 있는 시험으로 구성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