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시장, 14일 오후 2시, 안전점검회의 주재
철도 건설구간 5곳 및 주변 도로 집중 GPR 탐사
신고·접수·조치 원스톱, '신속 현장 점검 시스템'
![[서울=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4일 오후 ‘안전점검 회의’에서 지반침하 안전관리 대책 등 주요 시민안전 대책을 점검하고 있다. 2025.04.14 (사진 제공=서울시)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14/NISI20250414_0001817427_web.jpg?rnd=20250414171724)
[서울=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4일 오후 ‘안전점검 회의’에서 지반침하 안전관리 대책 등 주요 시민안전 대책을 점검하고 있다. 2025.04.14 (사진 제공=서울시)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고가혜 기자 = 오세훈 서울시장이 대선 불출마 선언 후 시정 복귀 첫날인 14일,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지반침하(싱크홀) 사고와 인파 밀집 등 봄철 안전사고 점검 및 대책 마련에 나섰다.
오 시장은 이날 오후 2시, 서울시청 집무실에서 행정1·2·정무부시장 및 기획조정실장과 재난안전실, 물순환안전국, 서울아리수본부, 정원도시국, 건설기술정책관, 소방재난본부 등 시민 안전 관련 실·국·본부장이 참석한 가운데 대책 회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오 시장은 세심한 점검과 신속한 조치, 철저한 원인조사를 통해 안전 사각지대가 발생하지 않도록 총력을 기울여 달라고 관련부서에 요청했다.
우선 시는 지반침하 관련 안전 점검강화를 위해 동북선·신안산선·GTX 등 관내 도시·광역철도 건설공사 구간 5곳(49.3㎞)과 주변 도로에 대한 지표투과레이더(GPR) 탐사를 5월 말까지 집중적으로 실시하기로 했다. 또 자치구가 선정한 우선 점검지역 50곳(45㎞)에 대한 탐사도 4월 말까지 완료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전국 최초로 지반 변화를 실시간 계측할 수 있는 신기술인 '지반침하 관측망'도 시범 설치·운영한다. 아울러 사고 징후에 대한 시민 신고부터 접수, 조치까지 원스톱으로 처리 가능한 '신속 현장 점검시스템'을 구축, 위험 발생을 최소화하고 시민 불안을 해소한다는 계획이다.
이는 시와 구청, 경찰서 등 관계기관들이 사전 협력체계를 구축해 사고 발생시 협의 등의 절차와 시간을 대폭 줄이는 것이 핵심이다. 시민이 시, 자치구 및 도로사업소, 120다산콜 등 어느 채널로든 신고하면 협력체계를 즉각 가동해 현장에 출동, 신속하게 복구·조치하는 방식이다. 또 보수공사가 완료되면 안전성 확보를 위해 GPR 탐사를 추가로 시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시민 불안감을 줄이기 위해 GPR 탐사 결과도 즉각적으로 투명하게 공개할 예정이다. 전문가 자문을 거쳐 GPR 탐사 구간과 공동 발견 위치 및 복구 내용 등을 시민누구나 확인 가능한 '서울안전누리(https://safecity.seoul.go.kr)'을 비롯한 공사장 현장 게시판 등에 공개하는 방식이다.
![[서울=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4일 오후 ‘안전점검 회의’에서 지반침하 안전관리 대책 등 주요 시민안전 대책을 점검하고 있다. 2025.04.14 (사진 제공=서울시)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14/NISI20250414_0001817436_web.jpg?rnd=20250414172142)
[서울=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14일 오후 ‘안전점검 회의’에서 지반침하 안전관리 대책 등 주요 시민안전 대책을 점검하고 있다. 2025.04.14 (사진 제공=서울시)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오 시장은 "시민들의 안전의식이 높아지고 불안으로 인한 신고 늘고 있다"며 "신고가 접수되면 통상적인 대응에 머물지 말고 신속하고 민감하게 반응해 현장의 미세한 변화를 놓치지 않고 사고를 예방할 수있도록 만전을 기해 달라"고 거듭 당부했다.
장기 사용 노후 상·하수관로에 대한 전수조사와 연차별 정비도 실시한다. 이와 함께 지반침하 발생 지역 주변에 대한 사고 재발 방지 하수관로 공사와 안전성이 높은 PVC 상수도관 단계적 도입 등 선제적 누수 대응 등 정비계획도 마련했다.
시는 공공·민간공사장과 화재에 취약한 연립·다세대주택 밀집 지역, 쪽방·무허가 주택, 전통시장 등에 대한 맞춤형 안전관리도 추진한다고 밝혔다. 우선 민간 대형공사장에 대해선 정기점검(연4회)과 특별점검을 철저하게 실시하고, 중소형공사장은 해체·굴토 등 위험 공종작업시 안전점검을 진행한다. 특히 올해 상반기 중 사고위험이 높은 해체공사 관련 안전강화 제도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또 주요 공공공사장 58개소에 대해서도 특별점검을 이어간다.
쪽방·무허가 주택 등 화재 취약주거시설에 대해서는 합동점검을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소방시설 설치를 지원한다. 산림인접 무허가주택 밀집 지역엔 회전식 살수 방수 및 호스릴 방수 등 신속한 초기 진압이 가능하도록 화재확산방지장치도 투입한다.
아울러 시내 전통시장에는 노후전선 정비, 화재알림시설 및 자동화재감지 설치 등을 지원하고, 재난재해 피해복구에 필요한 전통시장 화재공제 보험 가입도 연중 지원예정이다.
이 외에도 주최자 유무에 상관없이 인파가 집중하는 봄철지역축제에 대한 지도 감독을 강화하고 지능형 폐쇄회로(CCTV) 등을 활용한 스마트 인파관리, 재난안전현장상황실(버스)운영 등을 통해 신속하게 현장을 관리하기로 했다.
오세훈 시장은 "도시철도·지하복합개발 등 공사 현장 안전에 위험 요소가 발생하지 않도록 중앙정부와 더 긴밀하게 협력, 철저히 점검하고 안전을 향상시키기 위한 신기술 도입에도 주저하지 말 것"을 강조하며 "무엇보다 시민의 일상과 믿음이 흔들리지 않도록 어떤 상황에도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응해달라"고 주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