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관세 충격 얼마나 컸나…산업생산·물가 지표 주목[경제전망대]

기사등록 2025/04/26 12:00:00

최종수정 2025/04/26 15:22:24

통계청, 30일 '3월 산업활동동향' 발표…생산·소비·투자 주목

5월1일 '3월 온라인쇼핑동향', 2일 '4월 소비자물가동향' 발표

[인천=뉴시스] 김명년 기자 = 24일 오후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트레일러가 이동하고 있다. 2025.04.24. kmn@newsis.com
[인천=뉴시스] 김명년 기자 = 24일 오후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트레일러가 이동하고 있다. 2025.04.24.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 안호균 기자 = 한국과 미국이 2+2 통상 협의를 통해 관세 면제를 목표로 한 '7월 패키지' 마련에 공감대를 형성했지만 아직까지 관세 조치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 진행형이다.

다음주(4월28~5월2일)에는 산업생산과 소비, 투자, 물가 등 각종 경제지표들이 발표된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 출범 이후 발표된 관세 조치들이 최근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가 지표를 통해 확인될 전망이다.

26일 정부 부처에 따르면 통계청은 오는 30일 '3월 산업활동동향'을 발표한다.

2월에는 전산업생산이 전월 대비 0.6% 증가했다. 소매판매는 1.5%, 설비투자는 18.7% 증가하면서 생산·소비·투자가 '트리플' 증가세를 이어갔다. 하지만 미국 관세정책에 대한 우려로 3월부터는 수출 부진이 시작되고 경제 심리 위축도 심화됨에 따라 경제 지표가 악화했을 가능성이 높다.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15일 서울시내 한 전통시장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5.04.15. kmn@newsis.com
[서울=뉴시스] 김명년 기자 = 15일 서울시내 한 전통시장이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5.04.15. [email protected]

5월2일에는 통계청의 '4월 소비자물가 동향'이 발표된다.

3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2.1% 상승했다. 3개월 연속 2%대다. 최근 환율 급등과 미국의 관세 정책 등이 물가 상승 압력을 자극하면서 축산물(3.1%), 가공식품(3.6%), 전기·가스·수도(3.1%), 외식(3.0%) 등의 가격이 비교적 크게 올랐다.
 
국제유가가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전반적인 수입 물가는 안정적인 흐름을 나타내고 있다. 하지만 환율이 여전히 높은 수준인데다, 기후 변화 등으로 먹거리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는 점은 불안 요인이다.

통계청은 1일 '3월 온라인쇼핑 동향'을 발표한다.

2월 온라인 쇼핑 총 거래액은 전년 동월 대비 3.5% 증가했다. 티메프(티몬·위메프) 정산 지연 사태의 여파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소폭의 회복세를 나타냈다. 3월에는 최근 경기 부진이 심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온라인 쇼핑이 증가세를 이어갈 수 있을지가 관심사다.

경기 부진 속 나라 살림 여건에도 관심이 쏠린다. 기획재정부는 30일 '3월 국세수입 현황'을 발표한다.

올해 2월까지 누적 국세수입은 61조원으로 전년 동기(58조원) 대비 2조9000억원(5.1%) 증가했다. 소득세, 법인세, 교통세, 상속증여세 등의 세수가 늘었다. 하지만 전체 국세 수입 예산에서 현재까지 걷힌 세금의 비율을 뜻하는 '세수 진도율'은 15.9%로 전년 동기(17.2%) 대비 하락했다.

[서울=뉴시스] 한-미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참석차 미국 워성턴D.C.를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현지 시간) 미국-한국간 기재부 1급 간부 화상회의를 주재하며 경제현안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2025.04.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한-미 통상협의(Trade Consultation)와 주요 20개국(G20) 재무장관회의 및 국제통화금융위원회(IMFC)에 참석차 미국 워성턴D.C.를 방문중인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24일(현지 시간) 미국-한국간 기재부 1급 간부 화상회의를 주재하며 경제현안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기획재정부 제공) 2025.04.25.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美관세 충격 얼마나 컸나…산업생산·물가 지표 주목[경제전망대]

기사등록 2025/04/26 12:00:00 최초수정 2025/04/26 15:22:24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