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 찾은 김문수, 5·18민주묘지 참배…박관현 열사 묘역서 '눈물'

기사등록 2025/05/17 09:41:55

최종수정 2025/05/17 11:00:13

"박관현 방에서 수감 생활…너무나 아픈 추억 떠올라"

민주묘지 헌화…방명록엔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

김용태 비대위원장, 박대출 사무총장 등 지도부도 참여

[광주=뉴시스] 조성봉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17일 오전 광주 북구 5.18민주묘지를 찾아 무명열사의 묘비를 살펴보고 있다.(공동취재) 2025.015.17. p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 조성봉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17일 오전 광주 북구 5.18민주묘지를 찾아 무명열사의 묘비를 살펴보고 있다.(공동취재) 2025.015.1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이재우 우지은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5·18민주화운동 45주년을 하루 앞둔 17일 국립 5·18민주묘지를 참배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전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 5·18민주묘지를 찾아 헌화했다. 그는 방명록에 "오월 광주 피로 쓴 민주주의"라고 적었다.

김 후보는 5·18시민군 대변인 윤상원 열사 묘역과 전남대 총학생회장으로 단식 투쟁 중 옥중 사망한 박관현 열사 묘역을 참배했다. 김 후보는 박 열사 묘역에서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김 후보와 박 열사는 세월을 달리하지만 광주교도소 같은 독방에 수감된 인연이 있다.

박 열사는 1982년 4월 신군부에 의해 내란중요임무종사 등 혐의로 체포돼 고문을 받았고 광주교도소에 수감돼 50일간 단식투쟁을 하다 사망했다. 김 후보는 1986년 직선제 개헌 투쟁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된 뒤 1988년 10개월간 박 열사가 갇혔던 방에서 옥살이를 하다가 개천절 특사로 출소했다.

김 후보는 "제가 박관현 (열사) 방에서 수감 생활했다. 박관현 (열사가) 죽은 뒤 제가 들어가서 1년 동안 생활했다"며 "(박 열사가) 교도소에서 계속 단식하다가 지병으로 돌아가셨다"고 말했다. 이어 "(박 열사) 누님이 살아계신데 누님이 매년 오신다. 너무나 아픈 추억이 떠오른다"고 했다.

[광주=뉴시스] 조성봉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17일 오전 김 후보의 광주 방문을 반대하는 대학생들의 피켓 시위를 뒤로 하고 5.18민주묘지로 이동하고 있다.(공동취재) 2025.05.17. photo@newsis.com
[광주=뉴시스] 조성봉 기자= 김문수 국민의힘 대통령 후보가 17일 오전 김 후보의 광주 방문을 반대하는 대학생들의 피켓 시위를 뒤로 하고 5.18민주묘지로 이동하고 있다.(공동취재) 2025.05.17. [email protected]
이번 참배에는 김용태 비상대책위원장과 박대출 사무총장, 이정현·양향자 공동선거대책위원장, 인요한 호남특별위원장 등이 함께 했다.

김 후보 방문에 항의하는 광주지역단체들의 항의 시위도 벌어졌다. 광주전남촛불행동 소속 회원 5명은 김 후보가 5·18민주묘지에 도착하자 "내란세력은 지금 당장 광주를 떠나라", "내란세력은 지금 당장 사퇴하라", "내란세력 청산하고 민주정부 건설하자" 등 구호를 외치며 항의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호남 찾은 김문수, 5·18민주묘지 참배…박관현 열사 묘역서 '눈물'

기사등록 2025/05/17 09:41:55 최초수정 2025/05/17 11:00:13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