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문수, 이재명 '커피값 120원' 발언에 "자영업자들 분노"
이재명 "2019년에는 커피 원재료값 120원, 발언 왜곡"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준비하고 있다. 2025.05.18.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5/18/NISI20250518_0020814802_web.jpg?rnd=20250518202353)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이재명(왼쪽)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 시작에 앞서 준비하고 있다. 2025.05.1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하지현 김경록 한재혁 기자 = 김문수 국민의힘 대선 후보는 18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불법 대북 송금 혐의로 재판받고 있는 것을 두고 "이런 상태에서 어떻게 경제를 살릴 수 있겠나"라고 했다. 이 후보는 "억지 기소"라며 반발했다.
김 후보는 이날 오후 서울 마포구 상암동 SBS 스튜디오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이 후보께서는 불법 대북 송금으로 재판받고 있지 않나"라고 물었다.
이 후보가 "네"라고 답하자, 김 후보는 "(이 후보가 경기지사 당시) 바로 밑에 있던 이화영 부지사가 징역 7년8개월을 받았다. 지사가 모르는 게 가능한가"라고 말했다.
이에 이 후보는 "억지 기소"라며 "김 후보는 김문수 후보 캠프에서 정치자금을 수천만원 받았을 때 모른다고 무혐의를 받지 않았나. 본인이 정치자금을 받았는데, 본인이 몰랐다는 이유로 무혐의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대북 사업 자체야 당연히 안다. 그런데 민간업자가 나를 위해 북한에 100억을 몰래 줬다는 게 있을 수 있는 일인가"라고 반박했다.
그러자 김 후보는 "저도 경기도지사를 해봤다. (부지사가) 대북 사업을 하는데, 모르는 지사가 있나"라며 "지사가 모르는데 부지사가 북한에 돈을 보내는 게 가능한가. 이 후보는 어떻게 딱 잡아떼시나"라고 비판했다.
김 후보는 이 후보의 '커피 한잔 판매가 8000원, 원가 120원' 발언 논란에 대해 "유세에서 커피 한잔 원가가 120원이라고 했는데 지금도 그렇게 생각하시나"라며 "커피 파는 사람들이 굉장히 폭리를 취하는 것처럼 돼서 분노하고 있다"고 했다. 이 후보는 이와 관련 "2019년 봄경에는 커피 원재룟값이 120원 정도 한 것이 맞다. 인건비와 시설비가 감안되지 않은 것"이라며 "일부 발언을 떼내서 왜곡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김 후보는 민주당이 노란봉투법을 강행 추진하는 것을 두고도 "그동안 정부가 거부권을 2번 행사했는데, 대통령이 되면 또 밀어붙일 건가"라며 "헌법과 민법에도 안 맞고, 이런 부분을 계속 밀어붙이면 우리나라에서 기업을 할 수가 있나"라고 지적했다. 이에 이 후보는 "(김 후보의 발언이) 질문이었나"라고 반문했다.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 민주노동당 권영국, 개혁신당 이준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2025.05.18.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5/18/NISI20250518_0020814796_web.jpg?rnd=20250518202353)
[서울=뉴시스] 국회사진기자단 = 18일 서울 마포구 SBS프리즘타워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1대 대통령선거 후보자 토론회에서 각 정당 대선 후보들이 선전을 다짐하고 있다. 왼쪽부터 국민의힘 김문수, 민주노동당 권영국, 개혁신당 이준석,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선후보. 2025.05.18. [email protected]
이외에 김 후보가 반도체특별법의 '주 52시간제 예외' 조항 필요성을 주장하자, 이 후보는 "김 후보가 노동부 장관으로서 3개월 유연근무제를 6개월 늘리면 충분하다고 하지 않았나. 6개월을 늘린다는 게 정부 입장이었다"고 반박했다.
이에 김 후보가 "그렇다"라고 답하자, 이 후보는 "근데 뭐 어쩌라고"라며 더 이상 입장을 표하지 않았다.
그러자 김 후보는 "반도체는 속도전인데, 열심히 따라잡지 않으면 중국이 추격하고 대만은 이미 우리를 추월했다. 일정 연봉이 되는 분들은 52시간제 예외 (근무를) 보장하자는 것"이라며 "이것도 안 하면서 어떻게 우리나라 기술을 개발하고 딴 나라와 경쟁할 수 있겠나"라고 강조했다.
이 후보는 "(전직) 노동부 장관답지 않은 말씀"이라며 "본인이 말해놓고 (왜 그러나). 총 (근무) 시간을 늘리지 않고 변형에 따른 수당을 다 지급하면 (주 52시간제 예외는) 기존보다 못한 제도라 필요 없다고 결론이 났다"고 했다.
이에 김 후보는 "규제를 이렇게 많이 하면 과연 우리나라 산업이 어떻게 경쟁력을 가질 수 있겠느냐는 점에서 매우 우려가 된다"고 지적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