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뉴시스] 전진환 기자 = 30일 오전 인천 계양구 계양산 정상에서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 무리가 등산로와 등산객들에게 들러붙으며 불쾌감을 주고있다. 2025.06.30. amin2@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6/30/NISI20250630_0020869147_web.jpg?rnd=20250630101625)
[인천=뉴시스] 전진환 기자 = 30일 오전 인천 계양구 계양산 정상에서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 무리가 등산로와 등산객들에게 들러붙으며 불쾌감을 주고있다. 2025.06.3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하다임 인턴 기자 = 전국 곳곳에 일명 '러브버그'로 불리는 붉은등우단털파리가 출몰하면서, 러브버그의 천적이 없는 이유에 대한 궁금증도 커지고 있다.
30일 온라인 커뮤니티에는 '러브버그의 천적에 대해 알아보자!'라는 제목의 글이 화제를 모았다.
작성자는 러브버그의 천적이 없는 이유에 대한 전문가들의 설명도 이 글에 포함시켰다.
전문가들은 러브버그 성충이 특별한 천적이 거의 없는 곤충이라고 설명하는 것으로 전해진다. 새, 개구리, 두꺼비 같은 대표적인 포식자들도 러브버그를 좀처럼 먹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 이유로는 러브버그가 몸에 지닌 산성 체액이 꼽힌다.
미국 플로리다대 국제환경대학원 사라소타 카운티 캠퍼스의 연구원 캐럴 와이엇 이븐스는 2020년 기고문에서 "러브버그는 산성 맛 때문에 포식자들의 위협에서 벗어날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해외 비영리 환경단체 환경 리터러시 협의회도 "러브버그는 신맛이 강하고 껍질이 단단해 개구리와 같은 양서류들이 먹기를 꺼린다"고 분석했다.
![[인천=뉴시스] 전진환 기자 = 30일 오전 인천 계양구 계양산 정상에서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 무리가 등산로와 등산객들에게 들러붙으며 불쾌감을 주고있다. 2025.06.30. amin2@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6/30/NISI20250630_0020869145_web.jpg?rnd=20250630101625)
[인천=뉴시스] 전진환 기자 = 30일 오전 인천 계양구 계양산 정상에서 러브버그(붉은등우단털파리) 무리가 등산로와 등산객들에게 들러붙으며 불쾌감을 주고있다. 2025.06.30. [email protected]
이처럼 천적이 없는데다 익충으로 분류돼 생태계 교란을 우려해 살충제를 이용한 방역이 제한된 상황이다.
결국 러브버그가 대량 출몰하는 몇 주를 참고 넘기는 방법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러브버그는 장마가 시작될 무렵 나타나 약 2주 정도 지나면 개체 수가 급격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고 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