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 6.4 역대 최고
상위 20% 평균 매매가 31억4419만원
선도아파트 50지수 역대 최대 상승률

서울 아파트 단지 모습.
[서울=뉴시스] 홍세희 기자 = 서울 강남과 한강변 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치솟으면서 고가 단지와 저가 단지간 가격 격차가 역대 최대로 벌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2일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6월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은 6.4를 기록했다. 이는 KB부동산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최고치다.
5분위 배율은 상위 20%(5분위)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하위 20%(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지수가 높을수록 집값 양극화가 심하다는 의미다.
서울 상위 20%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31억4419만원으로 나타났다. 하위 20% 평균 매매가는 4억9085만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아파트 5분위 배율도 11.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가 아파트 1채 가격으로 저가 아파트 11.9채를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수도권 아파트 5분위 배율 역시 8.2로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전국 시가총액 상위 50위권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4.49% 오르며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6월 KB선도아파트 50지수는 전월 대비 4.49%p 상승한 120.1을 기록했다. 이는 KB부동산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선도아파트 50지수는 전국 아파트단지 중에서 시가총액(세대수X가격) 상위 50개 단지를 매년 선정해 시가총액의 지수와 변동률을 나타낸 것이다. 이 지수에는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인 은마아파트, 잠실주공5단지, 압구정 현대를 비롯해 헬리오시티, 반포 래미안원베일리, 마포 래미안푸르지오 등이 포함돼 있다.
이같이 서울 강남과 한강변 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치솟자, 정부는 초강력 대출규제 카드를 꺼냈다. 6억원 초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제한, 대출시 6개월 내 전입의무, 다주택자 추가 주택 구입시 주담대 금지 등이 주요 내용이다.
초강력 대출규제가 시행으로 과열 됐던 서울 아파트 시장은 숨 고르기에 들어갈 전망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상급지 갈아타기와 똘똘한 한 채 선호가 강남권과 한강변 일대 집중되는 현상은 일부 주춤할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 급등하던 서울 집값 상승에 제동이 걸리면서 5~6월 과열 양상을 보였던 한강벨트 주거지 내 아파트 거래량도 숨을 고를 전망"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2일 KB부동산 월간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6월 서울 아파트 5분위 배율은 6.4를 기록했다. 이는 KB부동산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최고치다.
5분위 배율은 상위 20%(5분위)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을 하위 20%(1분위) 가격으로 나눈 값이다. 지수가 높을수록 집값 양극화가 심하다는 의미다.
서울 상위 20%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31억4419만원으로 나타났다. 하위 20% 평균 매매가는 4억9085만원으로 집계됐다.
전국 아파트 5분위 배율도 11.9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고가 아파트 1채 가격으로 저가 아파트 11.9채를 살 수 있다는 뜻이다. 수도권 아파트 5분위 배율 역시 8.2로 역대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전국 시가총액 상위 50위권 아파트값은 전월 대비 4.49% 오르며 역대 최고 상승률을 기록했다.
6월 KB선도아파트 50지수는 전월 대비 4.49%p 상승한 120.1을 기록했다. 이는 KB부동산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08년 12월 이후 최대 상승률이다.
선도아파트 50지수는 전국 아파트단지 중에서 시가총액(세대수X가격) 상위 50개 단지를 매년 선정해 시가총액의 지수와 변동률을 나타낸 것이다. 이 지수에는 서울 주요 재건축 단지인 은마아파트, 잠실주공5단지, 압구정 현대를 비롯해 헬리오시티, 반포 래미안원베일리, 마포 래미안푸르지오 등이 포함돼 있다.
이같이 서울 강남과 한강변 단지를 중심으로 집값이 치솟자, 정부는 초강력 대출규제 카드를 꺼냈다. 6억원 초과 주택담보대출(주담대) 제한, 대출시 6개월 내 전입의무, 다주택자 추가 주택 구입시 주담대 금지 등이 주요 내용이다.
초강력 대출규제가 시행으로 과열 됐던 서울 아파트 시장은 숨 고르기에 들어갈 전망이다.
함영진 우리은행 부동산리서치랩장은 "상급지 갈아타기와 똘똘한 한 채 선호가 강남권과 한강변 일대 집중되는 현상은 일부 주춤할 것으로 보인다"며 "최근 급등하던 서울 집값 상승에 제동이 걸리면서 5~6월 과열 양상을 보였던 한강벨트 주거지 내 아파트 거래량도 숨을 고를 전망"이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