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재까지 총 21개국…관세율 20~40%
필리핀 17%→20% vs 스리랑카 44%→30%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 시간) 14개국에 이어 9일 7개국에 추가로 '관세 서한'을 보냈다. 사진은 지난 4월2일 미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는 모습. 2025.07.10.](https://img1.newsis.com/2025/04/03/NISI20250403_0000227410_web.jpg?rnd=20250403053135)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7일(현지 시간) 14개국에 이어 9일 7개국에 추가로 '관세 서한'을 보냈다. 사진은 지난 4월2일 미 워싱턴DC 백악관에서 국가별 상호관세를 발표하고 있는 모습. 2025.07.10.
[서울=뉴시스]신정원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9일(현지 시간) 7개국에 상호 관세 서한을 추가로 발송했다.
CNBC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을 통해 필리핀과 브루나이, 몰도바, 알제리, 이라크, 리비아, 스리랑카 등 7개국에 새로운 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이번에 통보한 관세율은 필리핀 20%, 브루나이·몰도바 25%, 알제리·이라크·리비아·스리랑카 30% 등이다.
이른바 4월2일 '해방의 날' 발표한 상호 관세 대비 필리핀은 3%포인트, 브루나이는 1%포인트 높아진 반면 알제리는 같았고 이라크(9%포인트)와 리비아(1%포인트)와 스리랑카(14%포인트)는 오히려 낮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틀 전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 정상에게 먼저 관세 서한을 발송했다. 4월과 비교해 한국은 25%로 같았고 일본은 24%→25%로 1%포인트 높아졌다.
이 외에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남아프리카공화국, 라오스, 미얀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튀니지,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세르비아, 캄보디아, 태국 등에 서한을 보냈다.
당초 이달 9일까지였던 유예 기간은 8월1일까지로 연장했다.
지금까지 타깃이 된 21개국에 대한 관세율은 20%~40% 사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CNBC 등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을 통해 필리핀과 브루나이, 몰도바, 알제리, 이라크, 리비아, 스리랑카 등 7개국에 새로운 관세율을 적시한 서한을 보냈다고 밝혔다.
이번에 통보한 관세율은 필리핀 20%, 브루나이·몰도바 25%, 알제리·이라크·리비아·스리랑카 30% 등이다.
이른바 4월2일 '해방의 날' 발표한 상호 관세 대비 필리핀은 3%포인트, 브루나이는 1%포인트 높아진 반면 알제리는 같았고 이라크(9%포인트)와 리비아(1%포인트)와 스리랑카(14%포인트)는 오히려 낮아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틀 전 한국과 일본 등 14개국 정상에게 먼저 관세 서한을 발송했다. 4월과 비교해 한국은 25%로 같았고 일본은 24%→25%로 1%포인트 높아졌다.
이 외에 말레이시아, 카자흐스탄, 남아프리카공화국, 라오스, 미얀마,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튀니지, 인도네시아, 방글라데시, 세르비아, 캄보디아, 태국 등에 서한을 보냈다.
당초 이달 9일까지였던 유예 기간은 8월1일까지로 연장했다.
지금까지 타깃이 된 21개국에 대한 관세율은 20%~40% 사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