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이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 민원실 앞에서 '조국혁신당 당직자(성명불상) 및 최강욱 민주연구원장' 등에 대해 성폭력방지법 위반 등으로 고발한 후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9.08. sccho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9/08/NISI20250908_0020965090_web.jpg?rnd=20250908100648)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이 8일 오전 서울 종로구 서울경찰청 민원실 앞에서 '조국혁신당 당직자(성명불상) 및 최강욱 민주연구원장' 등에 대해 성폭력방지법 위반 등으로 고발한 후 발언을 하고 있다. 2025.09.0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박지혁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의 TV 예능프로그램 '냉장고를 부탁해(냉부해)' 촬영을 두고 정치권의 공방이 더욱 격해지고 있다. 주진우 국민의힘 의원은 "'냉부해' 출연 의혹 규명을 위해 강유정 대변인을 형사 고발할 것"이라고 했다.
주 의원은 4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냉부해' 출연 시점을 묻자 대통령실은 대뜸 법적 조치를 하겠다고 했다. 끝내 출연 시점은 은폐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남준 대변인이 '냉부해 촬영은 화재 이후'라고 실토해 기사가 났다. 어제 브리핑이 눈속임이었다는 자백"이라며 "먹통 정부가 됐고, 이 대통령이 밤샘 복구를 지시한 공무원은 안타까운 죽음을 맞았다"고 보탰다.
이어 "국정자원 화재가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된 위기 상황에, 대통령 내외가 예능에 출연해 희희낙락해도 되느냐"며 진상 규명을 위한 세 가지를 조치하겠다고 했다.
주 의원은 우선 "허위 브리핑을 통해 명예를 훼손했다. 법적 조치 엄포는 나한테 통하지 않는다. 냉부해 촬영 시점을 수사로 밝히겠다"며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을 형사 고발하겠다고 했다.
이어 "복수의 관계자로부터 냉부해 촬영이 국정자원 화재 후인 '9월 28일'이고, 해당 언론사에 함구령이 내려졌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언론사에 경찰이 대거 출동한 사진의 메타정보를 공개한다. 9월 28일 13시 44분에 찍힌 사진이다. 경찰버스는 대통령 경호나 집회에 동원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대통령실에 회의록과 촬영 시점 공개를 강력히 요구한다. 이틀간 국민 앞에 안 나타나고, 대통령실 내부 회의했다고 우긴다. 대통령기록물법상 회의록 남기도록 돼 있다. 공개해 국민 심판 받아라"며 "이진숙 석방과 응원을 위한 체포 첼린지. 나도 체포하라"고 전했다.
앞서 대통령실은 주 의원의 의혹 제기에 허위 사실이라고 반박한 상태다.
강 대변인은 전날 "화재가 발생한 9월 26일 오후 8시 20분경 이 대통령은 유엔총회 참석 후 귀국하는 비행기 안에 있었다"며 "또한 귀국 직후이자 화재 발생 다음날인 27일 오전 9시 39분경 이규연 홍보수석은 '이재명 대통령이 화재와 관련하여 전 부처별 행정정보시스템 재난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른 대응 체계, 대국민 서비스의 이상유무, 데이터 손상, 백업 여부 등을 국가위기관리센터장과 국무위원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밤새 상황을 점검했다'는 공지문을 대통령실 출입 기자들 단체창에 올렸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날인 9월 28일 오전 10시 50분에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긴급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비서실장, 안보실장, 정책실장 등이 대통령에게 직접 화재 관련 상황을 대면 보고 했고, 같은 날 오후 5시 30분에는 이 대통령이 직접 정부서울청사에 가서 관계부처 장관과 17개 시도지사 등과 대면 및 화상 회의를 주재했다"고 했다 .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주 의원은 4일 자신의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해 "이재명 대통령의 '냉부해' 출연 시점을 묻자 대통령실은 대뜸 법적 조치를 하겠다고 했다. 끝내 출연 시점은 은폐한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김남준 대변인이 '냉부해 촬영은 화재 이후'라고 실토해 기사가 났다. 어제 브리핑이 눈속임이었다는 자백"이라며 "먹통 정부가 됐고, 이 대통령이 밤샘 복구를 지시한 공무원은 안타까운 죽음을 맞았다"고 보탰다.
이어 "국정자원 화재가 최고 단계인 '심각'으로 격상된 위기 상황에, 대통령 내외가 예능에 출연해 희희낙락해도 되느냐"며 진상 규명을 위한 세 가지를 조치하겠다고 했다.
주 의원은 우선 "허위 브리핑을 통해 명예를 훼손했다. 법적 조치 엄포는 나한테 통하지 않는다. 냉부해 촬영 시점을 수사로 밝히겠다"며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을 형사 고발하겠다고 했다.
이어 "복수의 관계자로부터 냉부해 촬영이 국정자원 화재 후인 '9월 28일'이고, 해당 언론사에 함구령이 내려졌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언론사에 경찰이 대거 출동한 사진의 메타정보를 공개한다. 9월 28일 13시 44분에 찍힌 사진이다. 경찰버스는 대통령 경호나 집회에 동원된다"고 주장했다.
마지막으로 "대통령실에 회의록과 촬영 시점 공개를 강력히 요구한다. 이틀간 국민 앞에 안 나타나고, 대통령실 내부 회의했다고 우긴다. 대통령기록물법상 회의록 남기도록 돼 있다. 공개해 국민 심판 받아라"며 "이진숙 석방과 응원을 위한 체포 첼린지. 나도 체포하라"고 전했다.
앞서 대통령실은 주 의원의 의혹 제기에 허위 사실이라고 반박한 상태다.
강 대변인은 전날 "화재가 발생한 9월 26일 오후 8시 20분경 이 대통령은 유엔총회 참석 후 귀국하는 비행기 안에 있었다"며 "또한 귀국 직후이자 화재 발생 다음날인 27일 오전 9시 39분경 이규연 홍보수석은 '이재명 대통령이 화재와 관련하여 전 부처별 행정정보시스템 재난 위기대응 매뉴얼에 따른 대응 체계, 대국민 서비스의 이상유무, 데이터 손상, 백업 여부 등을 국가위기관리센터장과 국무위원으로부터 보고를 받고 밤새 상황을 점검했다'는 공지문을 대통령실 출입 기자들 단체창에 올렸다"고 말했다.
이어 "다음날인 9월 28일 오전 10시 50분에는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 관련 긴급 비상대책회의'를 열고 비서실장, 안보실장, 정책실장 등이 대통령에게 직접 화재 관련 상황을 대면 보고 했고, 같은 날 오후 5시 30분에는 이 대통령이 직접 정부서울청사에 가서 관계부처 장관과 17개 시도지사 등과 대면 및 화상 회의를 주재했다"고 했다 .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