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윤 대통령 5차 변론기일
경찰버스들에 둘러싸인 헌재
인도는 사람 1명 간신히 통행
[서울=뉴시스]우지은 기자 = 윤석열 대통령 출석이 예고된 4일 헌법재판소 앞은 결집하는 대통령 지지자들과 경계를 강화하는 경찰들 사이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서울경찰청은 이날 오전 충돌에 대비해 서울 종로구 헌재 인근에 기동대 약 50개 부대(약 3000명)를 배치했다.
헌재는 현재 경찰버스 차벽에 둘러싸인 상황이다. 헌재 정문 앞 차도에는 경찰버스 약 36대가, 건너편 차도에도 경찰버스 약 28대가 세워졌다. 현재 헌재 앞 북촌로는 4차로 중 2개 차로만 통행할 수 있다.
서울지하철 3호선 안국역에서 헌재 정문으로 가는 인도에는 투명 아크릴벽이 세워졌다. 사람이 1명씩 간신히 지나다닐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된 상태다. 지난 지지자 다수가 몰려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헌재 옆 유적지인 능성위궁터를 보호하기 위해 그 앞에도 아크릴벽이 설치되고 경찰들이 배치됐다.
헌재 정문뿐만 아니라 헌재로 들어갈 수 있는 길목에도 질서유지선이 설치되고 경찰버스가 세워졌다. 그 앞에는 경찰들이 통행하는 사람들을 경계하고 있다. '제2의 서부지법 난입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헌재로 들어갈 수 있는 통로를 사전 차단해 대비하는 모양새다.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이 열리는 오후 2시가 다가오자 지지자들이 하나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오전 9시께 팻말을 든 지지자가 1인 시위 중이던 헌재 정문 앞은 지지자들의 기자회견, 소규모 시위가 진행 중이다.
지지자들은 '탄핵심리보다 이재명 재판이 먼저다'라고 적힌 현수막과 '탄핵폭주 내란선동' 손팻말을 들고 탄핵심리를 규탄했다. 정문 건너편 인도에 있는 지지자들이 이에 호응하듯 "부정선거 검증해라 대통령 석방하라"고 외쳤다.
앞서 지난달 19일께 서울서부지법 앞에 윤 대통령 지지자 다수가 결집해 법원에 난입하는 일이 벌여졌다. 이 과정에서 법원의 유리창과 문 등이 파손됐고 경찰과 기자 등이 다쳤다.
경찰은 이를 '폭동'이라고 지적했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지난달 23일 서울서부지법 난입 사태에 대해 "폭동이라는 데 동의한다"며 "끝까지 찾아내서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서울경찰청은 이날 오전 충돌에 대비해 서울 종로구 헌재 인근에 기동대 약 50개 부대(약 3000명)를 배치했다.
헌재는 현재 경찰버스 차벽에 둘러싸인 상황이다. 헌재 정문 앞 차도에는 경찰버스 약 36대가, 건너편 차도에도 경찰버스 약 28대가 세워졌다. 현재 헌재 앞 북촌로는 4차로 중 2개 차로만 통행할 수 있다.
서울지하철 3호선 안국역에서 헌재 정문으로 가는 인도에는 투명 아크릴벽이 세워졌다. 사람이 1명씩 간신히 지나다닐 수 있을 정도로 개방된 상태다. 지난 지지자 다수가 몰려가는 상황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헌재 옆 유적지인 능성위궁터를 보호하기 위해 그 앞에도 아크릴벽이 설치되고 경찰들이 배치됐다.
헌재 정문뿐만 아니라 헌재로 들어갈 수 있는 길목에도 질서유지선이 설치되고 경찰버스가 세워졌다. 그 앞에는 경찰들이 통행하는 사람들을 경계하고 있다. '제2의 서부지법 난입 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헌재로 들어갈 수 있는 통로를 사전 차단해 대비하는 모양새다.
탄핵심판 5차 변론기일이 열리는 오후 2시가 다가오자 지지자들이 하나둘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오전 9시께 팻말을 든 지지자가 1인 시위 중이던 헌재 정문 앞은 지지자들의 기자회견, 소규모 시위가 진행 중이다.
지지자들은 '탄핵심리보다 이재명 재판이 먼저다'라고 적힌 현수막과 '탄핵폭주 내란선동' 손팻말을 들고 탄핵심리를 규탄했다. 정문 건너편 인도에 있는 지지자들이 이에 호응하듯 "부정선거 검증해라 대통령 석방하라"고 외쳤다.
앞서 지난달 19일께 서울서부지법 앞에 윤 대통령 지지자 다수가 결집해 법원에 난입하는 일이 벌여졌다. 이 과정에서 법원의 유리창과 문 등이 파손됐고 경찰과 기자 등이 다쳤다.
경찰은 이를 '폭동'이라고 지적했다. 이호영 경찰청장 직무대행은 지난달 23일 서울서부지법 난입 사태에 대해 "폭동이라는 데 동의한다"며 "끝까지 찾아내서 수사할 예정"이라고 밝힌 바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