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금 161건, 기소유예 105건, 내사종결 69건
올해 검거율 46%…산불 진화 고도화 필요해
![[대전=뉴시스] 최근 5년간 연도별 산불가해자 검거 및 처벌현황. (사진=산림청 제공) 2025.03.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25/NISI20250325_0001800126_web.jpg?rnd=20250325133731)
[대전=뉴시스] 최근 5년간 연도별 산불가해자 검거 및 처벌현황. (사진=산림청 제공) 2025.03.25.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작은 불꽃이 삶의 터전을 파괴하고 있습니다. 산불에 대한 경각심, 생명을 지키는 일입니다."
산림청은 25일 최근 전국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하는 대형산불에 인명피해는 물론 산림이 초토화되면서 다시한번 산불조심을 요청했다. 이번 산불 발생원인은 대부분 인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산림당국은 지난 21일 발화해 닷새째 이어지고 있는 경남 산청 산불은 예초기를 사용하다 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2일 경북 의성 산불도 성묘객의 실화, 같은 날 발생한 울산 산불은 용접하다 산불이 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청산불로 이재민 1300여명이 발생했고 인명피해도 12명에 이른다.
산림청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3월까지 모두 2116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2021년 349건, 2022년 756건, 2023년 596건, 지난해 279건으로 크게 줄었다. 하지만 올해 들여 3개월도 안되는 사이 136건이 발생해 지난해 절반을 채우고 있다.
산림 피해는 2022년에 2만4797㏊가 발생하는 등 지난 4년 동안 3만690㏊가 잿더미가 됐다. 피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1조68200억원에 이른다.
같은 기간 연도별 가해자 검거건수는 2021년 132건(검거율 37.8%) , 2022년 247건(검거율
32.7%), 2023년 269건(검거율 45.1%), 지난해 110건(39.4%)이었다. 올해는 46%의 검거율을 기록하고 있다.
산림청은 25일 최근 전국에서 동시다발로 발생하는 대형산불에 인명피해는 물론 산림이 초토화되면서 다시한번 산불조심을 요청했다. 이번 산불 발생원인은 대부분 인위적 요인에 의한 것으로 추정된다.
산림당국은 지난 21일 발화해 닷새째 이어지고 있는 경남 산청 산불은 예초기를 사용하다 불이 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22일 경북 의성 산불도 성묘객의 실화, 같은 날 발생한 울산 산불은 용접하다 산불이 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산청산불로 이재민 1300여명이 발생했고 인명피해도 12명에 이른다.
산림청에 따르면 2021년부터 올해 3월까지 모두 2116건의 산불이 발생했다. 연도별로는 2021년 349건, 2022년 756건, 2023년 596건, 지난해 279건으로 크게 줄었다. 하지만 올해 들여 3개월도 안되는 사이 136건이 발생해 지난해 절반을 채우고 있다.
산림 피해는 2022년에 2만4797㏊가 발생하는 등 지난 4년 동안 3만690㏊가 잿더미가 됐다. 피해를 금액으로 환산하면 1조68200억원에 이른다.
같은 기간 연도별 가해자 검거건수는 2021년 132건(검거율 37.8%) , 2022년 247건(검거율
32.7%), 2023년 269건(검거율 45.1%), 지난해 110건(39.4%)이었다. 올해는 46%의 검거율을 기록하고 있다.
![[산청=뉴시스] 차용현 기자 =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4일째로 접어든 24일 오후 시천면 인근 야산에 산불이 번지고 있다. 2025.03.24. con@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24/NISI20250324_0020745352_web.jpg?rnd=20250324215037)
[산청=뉴시스] 차용현 기자 = 경남 산청군에서 발생한 대형 산불이 4일째로 접어든 24일 오후 시천면 인근 야산에 산불이 번지고 있다. 2025.03.24. [email protected]
처별유형별로는 2021년 징역(집행유예 포함) 3건, 벌금 22건, 기소유예 22건, 내사종결 및 기타 85건 등 2021년부터 올해 3월까지 징역형 43건, 벌금 161건, 기소유예 105건, 내사종결 69건으로 집계됐다.
최근 10년간 산불진화 도중 사망한 진화대원은 총 15명이다. 올해만 대형산불로 산불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4명이 순직했다.
산림과 국민재산·생명을 지키기 위해 화염 속에 뛰어든 진화대원들의 안타까운 순직이 계속되면서 산불의 최대변수인 돌풍에 대한 철저한 예측과 전망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산불진화를 위해 임도 확충의 필요성과 지상 및 공중진화대원 간 긴밀한 입체작전의 강화도 조언한다.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 문현철 교수(호남대 경찰행정학과)는 "산불진화대원들은 산불이 발생하면 조를 짜서 지자체 등 기관별로 불길을 따라 진화구역을 맡는다"며 "접근이 어렵거나 지형이 험한 곳은 산림청의 공중진화대와 특수진화대가 투입되고 임도 등 접근로가 있거나 비교적 위험이 덜한 곳은 일반 산불진화대원들이 진압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교수는 "실제로 이번 산청산불로 사고를 당한 일반 대원들 역시 진화 현장에 접근로로 진입이 가능한 곳 위주로 당초 배치됐다"며 "산불현장은 일반적으로 돌풍에 의해 바람의 방향이 급격히 바뀌는 상황이 자주 관찰되고 당시에도 예상치 못한 방향에서 불과 연기가 차 올라 피해자들이 질식, 의식을 잃어 대피할 여력이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지상진화와 헬기를 이용하는 공중진화 간의 입체진화작업이 산불진화에 효율적"이라며 "산림헬기가 철수하는 야간에는 지상진화작전 투입자체도 어렵고 효율도 떨어지니 임도 확충 등 진화여건 및 시설 고도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최근 10년간 산불진화 도중 사망한 진화대원은 총 15명이다. 올해만 대형산불로 산불진화대원과 공무원 등 4명이 순직했다.
산림과 국민재산·생명을 지키기 위해 화염 속에 뛰어든 진화대원들의 안타까운 순직이 계속되면서 산불의 최대변수인 돌풍에 대한 철저한 예측과 전망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산불진화를 위해 임도 확충의 필요성과 지상 및 공중진화대원 간 긴밀한 입체작전의 강화도 조언한다.
한국재난관리학회 부회장 문현철 교수(호남대 경찰행정학과)는 "산불진화대원들은 산불이 발생하면 조를 짜서 지자체 등 기관별로 불길을 따라 진화구역을 맡는다"며 "접근이 어렵거나 지형이 험한 곳은 산림청의 공중진화대와 특수진화대가 투입되고 임도 등 접근로가 있거나 비교적 위험이 덜한 곳은 일반 산불진화대원들이 진압에 나서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교수는 "실제로 이번 산청산불로 사고를 당한 일반 대원들 역시 진화 현장에 접근로로 진입이 가능한 곳 위주로 당초 배치됐다"며 "산불현장은 일반적으로 돌풍에 의해 바람의 방향이 급격히 바뀌는 상황이 자주 관찰되고 당시에도 예상치 못한 방향에서 불과 연기가 차 올라 피해자들이 질식, 의식을 잃어 대피할 여력이 없었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말했다.
그는 "지상진화와 헬기를 이용하는 공중진화 간의 입체진화작업이 산불진화에 효율적"이라며 "산림헬기가 철수하는 야간에는 지상진화작전 투입자체도 어렵고 효율도 떨어지니 임도 확충 등 진화여건 및 시설 고도화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