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시장 주재 '탄핵집회 안전대책회의' 안전점검
종로·중구·용산·영등포 등 자치구, 소방, 경찰 협력체계
일 최대 2400명 투입…안국역 폐쇄, 따릉이 71곳 중지
![[서울=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일 열린 탄핵집회 안전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4.02 (사진 제공=서울시)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02/NISI20250402_0001807533_web.jpg?rnd=20250402112951)
[서울=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일 열린 탄핵집회 안전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4.02 (사진 제공=서울시)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 고가혜 기자 = 대통령 탄핵 심판 선고일이 오는 4일 오전 11시로 확정된 가운데, 서울시가 자치구·소방·경찰 등 관계기관과 함께 안전관리대책 최종 점검에 나섰다.
서울시는 2일 오전 10시 30분 서울시청 기획상황실에서 오세훈 서울시장의 주재로 '탄핵집회 안전대책회의'를 열었다고 밝혔다.
이날 회의에는 행정1·2·정무부시장과 재난안전실장·교통실장·시민건강국장·소방재난본부장·자치경찰위원회 위원장 등 시민 안전대책 관련 부서 실·국장, 그리고 인파 밀집 지역인 종로구·중구·용산구·영등포구에서 참석했다.
시는 우선 선고일 하루 전날인 오는 3일부터 선고 다음날인 5일까지 총 3일간 자치구, 소방·경찰 등 유관기관과 협력, 일 최대 2400여명의 현장대응 인력을 안국역·광화문역·시청역·한강진역·여의도역 등 주요 지하철역과 인파 밀집지역에 투입하기로 했다.
시 재난안전상황실 상황관리도 강화한다. 상황실과 연결된 교통·방범용 폐쇄회로(CC)TV를 활용해 주요 집회 장소에 대한 인파 밀집도를 모니터링하고, 상황을 실시간으로 공유하는 등 협력체계를 가동한다. 재난안전현장상황실(재난버스)도 현장에 배치한다.
또 여의도 지역 혼잡을 막기 위해 영등포구청과 협의해 '여의도 봄꽃축제'의 경우 기존 4일에서 8일로 시작일을 순연했다.
지난 3월 중순부터 구성한 '시민안전대책본부'도 본격 가동했다. 대규모 탄핵집회 안전관리를 위해 지휘부와 8개 실무반으로 구성된 시민안전대책본부는 사전에 준비한 안전관리대책을 재차 점검하고 협조 체계를 철저히 확인할 예정이다.
교통 불편 최소화를 위한 시내버스·지하철 등 대중교통 운행 조치도 추진한다. 특히 헌법재판소에서 가까운 '3호선 안국역'은 당장 이날부터 1~4번 출입구를 우선 폐쇄하고, 선고 당일에는 하루 종일 폐쇄 및 무정차 통과한다.
지하철 24개 역사에도 하루 약 415명의 안전관리 인력을 배치해 승강장·개찰구 질서 안내, 출입구 안내를 지원한다. 관계기관이 합동으로 상황을 관리하며 실시간 혼잡도에 따라 무정차 통과, 임시열차 편성·전동차 추가 투입 등 탄력운행에도 나선다.
광화문 교차로, 세종대로 사거리, 안국역, 여의대로, 한남동 등 주요 집회 구간을 경유하는 노선의 시내버스는 경찰의 교통 통제에 따라 무정차 또는 임시 우회가 있을 예정이다.
![[서울=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일 열린 탄핵집회 안전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4.02 (사진 제공=서울시)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4/02/NISI20250402_0001807534_web.jpg?rnd=20250402113026)
[서울=뉴시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2일 열린 탄핵집회 안전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4.02 (사진 제공=서울시)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한편 시는 외국인 관광객 안전과 편의를 위해 서울 관광 누리집 '비짓서울' 및 SNS 채널을 통해 4일 지하철 역사 폐쇄 등 정보를 다국어로 전파하고, 서울시관광협회 소속 500여 개 여행사·호텔에도 집회 관련 정보와 우회 경로 안내 등을 협조 요청했다.
아울러 시는 이동형 화장실 5개 동을 주요 집회 장소에 설치하고, 개방화장실과 이동형 화장실의 위치 정보를 '스마트서울맵'과 민간지도(네이버·카카오), 지하철 역사 등에 공개했다.
따릉이와 공유 개인형 이동장치(PM·Personal Mobility), 가로쓰레기통 등도 이날까지 집회 지역 밖으로 이동 조치를 완료한다. 선고 전후 3일간 안국·세종사거리·광화문·여의대로·한남대로 주변 따릉이 대여소 71개소의 이용이 전면 중지된다. 선고 당일 서울공예박물관과 운현궁도 휴관한다.
재난응급의료 대책도 본격 가동된다. 안국·청계광장·한남동·여의대로에 각 1개소씩 총 4개의 현장진료소를 설치한다. 현장진료소는 3일 오후 1시부터 본격 운영되며, 진료소별로 관할 보건소 및 시립병원 의료진을 포함해 7명(의사 2명, 간호사 4명, 운전 1명)을 1개 조로 3일간 총 140명의 인력을 운영한다.
'서울시 재난응급의료 상황실'은 현장 상황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25개 자치구와 관계기관 비상연락 체계(핫라인)를 통해 신속한 응급의료 대처가 가능토록 한다.
소방재난본부와 관할 소방서에는 '특별상황실'이 설치·운영돼 소방력 배치 및 지원 현황, 구조·구급 출동 상황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한다. 주요 집회 장소 4개 지역에 펌뷸런스·구급차 등 일 최대 136대의 소방차량과 소방대원 712명을 현장에 배치한다. 비상 상황에 대비해 신속대응팀, 구조·구급지원반, 상황관리반을 별도로 구성하고, 예비 소방력도 추가 배치한다.
이날 회의에 참석한 종로구·중구·용산구·영등포구에서도 자치구 차원의 안전관리대책을 점검했다. 불법 노점 및 적치물 단속, 폐기물 처리, 보도 파손 등 위험요소 정비, 불법주정차 단속, 인근 주민불편 해소 방안 등이다.
한편, 앞서 오 시장은 이날 오전 8시30분 정부서울청사 9층 대회의실에서 열린 치안관계장관회의(권한대행 주재)에도 참석해 선고일 하루 전날인 3일부터 선고 다음 날인 5일까지 3일간 자치구·소방·경찰 등 유관기관과 안전관리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히기도 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서울시는 시민 생명과 안전을 그 어떤 가치보다 우선에 두고, 선제적 대응을 중심으로, 혼란 속에서도 흔들리지 않아야 한다는 세 가지 원칙 하에 시민 단 한 분도 다치지 않게 지킨다는 각오"라며 "현장의 안전은 경찰이나 서울시 노력만으로는 지키기 어렵다. 시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