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압도적 득표율로 민주 대선 후보로 선출
김동연·김경수, 한 자릿수 득표율…성과 '글쎄'
결국 '착한 2등'…차기 주자·당권 경쟁 등 나설 듯
![[고양=뉴시스] 조성우 기자 =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합동연설회에서 김경수, 김동연 후보가 인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27.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27/NISI20250427_0020787707_web.jpg?rnd=20250427171945)
[고양=뉴시스] 조성우 기자 =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합동연설회에서 김경수, 김동연 후보가 인사를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2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신재현 기자 = 이재명 전 대표가 27일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로 확정된 가운데 경쟁자였던 김동연 경기도지사, 김경수 전 경남도지사는 경선 국면에서 정책 경쟁 등으로 정치 체급을 키웠다는 평가를 받는다. 하지만 두 사람 모두 한 자릿수에 불과한 득표율로 대중에게 강한 인상을 남기지 못한 만큼 이번 대선 출마가 향후 정치 행보에 큰 영향을 주지 못할 것이라는 평가도 나온다.
민주당은 이날 오후 경기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수도권·강원·제주 순회경선에서 이 후보를 최종 후보로 선출했다.
이재명 후보는 지난 16일부터 이날까지 진행된 권역별 순회 경선(권리당원·대의원·재외국민)과 일반국민 여론조사 결과를 합산한 누적 득표율 89.77%를 기록하며 결선 투표 없이 본선 직행을 확정지었다. 김동연 후보는 6.87%, 김경수 후보는 3.36%로 각각 집계됐다.
이 전 대표 지지율이 두 사람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아 '어대명(어차피 대통령 후보는 이재명)'이라는 표현까지 나왔던 만큼 이번 경선에선 이 전 대표 선출에 큰 변수가 없을 것이라는 평가가 주를 이뤘다. 이런 상황에서 두 사람의 출마는 이들이 차기 대권 또는 당권 주자로 자리매김하기 위한 정치 행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김 지사는 현직 경기도지사로서 행정 경험이 풍부하다는 점을 내세우며 경선 기간 동안 정책 공약에 방점을 찍었다. 기본소득, 개헌, 증세 등 정책 면에서 이 전 대표와 각을 세우며 존재감을 드러내는 모습을 보였다.
![[고양=뉴시스] 조성우 기자 =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왼쪽부터), 김경수, 김동연 후보가 박수를 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27.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27/NISI20250427_0020787720_web.jpg?rnd=20250427171945)
[고양=뉴시스] 조성우 기자 =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왼쪽부터), 김경수, 김동연 후보가 박수를 치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27. [email protected]
당이 경선룰을 정하는 과정에서는 이 전 대표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규칙이 정해졌다고 직접 목소리를 내는 등 '비명계(비이재명계)' 입장을 대변하기도 했다. 정책, 정무적으로 이 전 대표와 차별화를 꾀한 것이다.
당 관계자는 "이 전 대표와 각을 세우면서도 단순 네거티브전이 아닌 합리적 비판에 집중했던 김 지사가 차기 경기도지사의 재임에 성공하면 5년 뒤에 또 민주당의 유력한 대통령 후보로 자리매김하게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김 전 지사도 대선 출마를 기회로 당권 확보, 지방선거 출마 등 향후 정치 행보를 위한 몸풀기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8월 복권 이후 정치 휴식기를 가지던 김 전 지사가 계엄 사태 이후 급작스럽게 정치권에 복귀, 대선까지 출마해 당의 차기 주자로서 존재감을 키웠다는 분석이다.
경선 과정에서 김 전 지사를 도운 한 의원은 "김 전 지사는 이번 출마로 지방 분권, 균형 발전 분야 메가시티 정책을 본인의 브랜드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고 평가했다.
대선 출마가 정치 복귀 선언과 마찬가지였던 김 전 지사는 '압도적 정권 교체'를 강조하며 연대와 통합을 기치로 내걸었다. 이 전 대표 지지세가 강한 당원들의 지지를 받아 당내 입지를 공고화하기 위한 움직임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그는 향후 이 전 대표 본선 캠프 선대위원장으로 합류할 가능성도 제기된다.
다만, 두 사람 모두 이 전 대표와 각을 세우기 보다는 원만한 관계 설정에 집중하는 '착한 2등'을 목표로 경선을 준비해 대권 주자로서 존재감 부각에는 실패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이 전 대표로 표가 쏠린 경선 결과로 두 사람은 성과를 입증하기 애매해졌다는 것이다.
한 중진 의원은 "승부가 너무 싱거워서 사람들도 경선을 자세히 안 들여다 본 측면이 크다. 기억에 남는 정책이나 장면이 없지 않느냐"라며 "향후 5년간 어떤 정치력을 보여주는지에 따라 차기 주자로 성장할지 여부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