땀 많이 흘리면 소변농도 높아져 수분섭취 중요
방치하면 수신증·신우신염 등 합병증 생길 수도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8일 서울 세종대로사거리 인근에서 출근길 시민의 셔츠가 땀으로 젖어 있다. 2025.07.08. myjs@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08/NISI20250708_0020879732_web.jpg?rnd=20250708092710)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폭염이 이어지고 있는 8일 서울 세종대로사거리 인근에서 출근길 시민의 셔츠가 땀으로 젖어 있다. 2025.07.0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폭염으로 땀이 줄줄 흐르는 요즘같은 시기에는 딱딱한 결석이 소변을 내보내는 길을 막는 요로결석에 주의해야 한다.
8일 의료계에 따르면 요로결석은 요로계에 요석이 생성돼 소변의 흐름에 문제가 생겨 산통과 맞먹을 정도의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거나 요로 감염, 신부전, 수신증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여름철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소변의 농도가 높아져 요로결석이 생성되기 쉽다. 또 무더위로 짭짤한 음식 섭취가 늘어나면서 체내 염분의 농도가 높아지고, 결석 형성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수분 섭취 감소는 요로결석의 가장 주요한 원인이다. 수분 섭취가 감소하면 요석 결정이 소변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 요석 형성이 증가하게 된다.
결석의 위치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지만, 흔한 양상으로는 옆구리와 하복부 통증이 있다. 통증은 수 분에서 수 시간 동안 지속되다가 사라지는 간헐적인 특징을 보인다. 통증의 강도는 심하고 진통제를 복용해도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
남성의 경우 통증이 하복부, 고환, 음낭으로, 여성은 음부까지 뻗어가기도 한다. 결석이 방광까지 내려와 위치하는 경우 빈뇨, 배뇨통 등의 방광 자극 증상이 발생한다. 구토, 구역, 복부팽만 등이 동반되며 혈뇨가 생길 수도 있다. 세균 감염이 동반될 경우 고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치료법으로는 요로결석의 크기가 작으면 자연 배출을 기다리는 대기 요법이 있다. 대기요법에도 반응이 없거나 결석의 크기가 큰 경우 체외충격파 쇄석술 혹은 요관경이나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 방법이 있다.
요로결석을 예방하려면 하루에 최소 2리터 이상의 물을 마셔 소변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발이 잦은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검사가 권장된다.
요로결석 치료가 늦어지면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결석으로 인해 요관 또는 신장이 폐색돼 소변의 흐름이 막히고 신장에 물이 차는 수신증이 발생할 수 있다. 수신증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신장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신부전증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신장에 세균감염이 생기는 신우신염으로 신장 기능이 손상될 수 있다.
안순태 고려대 구로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요로결석 환자들은 치료 후에도 1년에 평균 7%씩 재발하며 절반 이상이 10년 이내 재발을 경험한다”면서 ”충분한 수분 섭취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커피, 음료수보다는 미지근한 온도의 물을 많이 마시는 게 좋다“면서 ”동물성 단백질 섭취를 줄이고 저염 식사와 함께 규칙적인 운동도 바람직하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8일 의료계에 따르면 요로결석은 요로계에 요석이 생성돼 소변의 흐름에 문제가 생겨 산통과 맞먹을 정도의 극심한 통증이 발생하거나 요로 감염, 신부전, 수신증 등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여름철 땀을 많이 흘리게 되면 소변의 농도가 높아져 요로결석이 생성되기 쉽다. 또 무더위로 짭짤한 음식 섭취가 늘어나면서 체내 염분의 농도가 높아지고, 결석 형성의 요인으로 작용한다.
특히 수분 섭취 감소는 요로결석의 가장 주요한 원인이다. 수분 섭취가 감소하면 요석 결정이 소변에 머무르는 시간이 길어져 요석 형성이 증가하게 된다.
결석의 위치에 따라 증상은 다양하지만, 흔한 양상으로는 옆구리와 하복부 통증이 있다. 통증은 수 분에서 수 시간 동안 지속되다가 사라지는 간헐적인 특징을 보인다. 통증의 강도는 심하고 진통제를 복용해도 사라지지 않을 수 있다.
남성의 경우 통증이 하복부, 고환, 음낭으로, 여성은 음부까지 뻗어가기도 한다. 결석이 방광까지 내려와 위치하는 경우 빈뇨, 배뇨통 등의 방광 자극 증상이 발생한다. 구토, 구역, 복부팽만 등이 동반되며 혈뇨가 생길 수도 있다. 세균 감염이 동반될 경우 고열이 발생하기도 한다.
치료법으로는 요로결석의 크기가 작으면 자연 배출을 기다리는 대기 요법이 있다. 대기요법에도 반응이 없거나 결석의 크기가 큰 경우 체외충격파 쇄석술 혹은 요관경이나 복강경을 이용한 수술 방법이 있다.
요로결석을 예방하려면 하루에 최소 2리터 이상의 물을 마셔 소변량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재발이 잦은 환자의 경우 정기적인 검사가 권장된다.
요로결석 치료가 늦어지면 합병증이 생길 수 있다. 결석으로 인해 요관 또는 신장이 폐색돼 소변의 흐름이 막히고 신장에 물이 차는 수신증이 발생할 수 있다. 수신증 기간이 길어질수록 점차 신장 기능을 상실하게 되며 오랫동안 방치할 경우 신부전증 발생을 초래할 수 있다. 신장에 세균감염이 생기는 신우신염으로 신장 기능이 손상될 수 있다.
안순태 고려대 구로병원 비뇨의학과 교수는 “요로결석 환자들은 치료 후에도 1년에 평균 7%씩 재발하며 절반 이상이 10년 이내 재발을 경험한다”면서 ”충분한 수분 섭취가 가장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커피, 음료수보다는 미지근한 온도의 물을 많이 마시는 게 좋다“면서 ”동물성 단백질 섭취를 줄이고 저염 식사와 함께 규칙적인 운동도 바람직하다”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