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관위원장 지낸 윤상현 의원 등 상대 압수수색
당초 검찰 수사는 김 여사 소환만 남겨뒀던 상태
추가 압색에 공천개입 연관성 '빈 칸 채우기' 평가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 수사하는 특별검사팀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실을 압수수색 하고 있다. 2025.07.08. kgb@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08/NISI20250708_0020880627_web.jpg?rnd=20250708154217)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 수사하는 특별검사팀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실을 압수수색 하고 있다. 2025.07.0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정현 박선정 김남희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와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의 소위 '공천개입 의혹'은 특별검사팀의 방대한 수사 대상 중 핵심으로 꼽힌다.
앞서 검찰에서 김건희 여사를 상대로 세 차례 소환을 통보하기도 했던 만큼 수사가 어느 정도 진척됐던 것으로 평가되는데, 특검은 강제수사가 이뤄지지 않았던 관련자들까지 압수수색을 진행하면서 윤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 수사가 본격화하고 있다.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은 8일 김영선 전 국민의힘 국회의원의 자택과 김상민 전 검사의 자택을 비롯한 10여곳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에 나섰다.
이번 의혹과 관련해 그간 강제수사를 받은 적이 없었던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을 지낸 윤상현 의원의 자택과 국회 사무실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해당 의혹은 특검의 '1호 수사'인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달리 검찰 단계에서 조사가 상당 부분 이뤄졌고 명씨와 김 전 의원 등은 이미 기소된 상황이다.
그럼에도 특검은 윤 의원, 김 전 검사 등을 상대로도 강제수사에 나섰는데, 앞선 검찰 수사가 명씨의 혐의 입증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특검은 윤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그 자체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 아니냐는 해석이다.
공천개입 의혹이 제기된 과거 선거에서 국민의힘 공관위가 어떤 방식으로 관여했는지, 윤 전 대통령 부부 등과의 연관성을 새로 들여다봐야 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한 검찰 고위직 출신 변호사는 "검찰의 명태균 수사 당시 진행했던 압수수색과 특검 수사에서 필요한 자료가 다를 가능성이 있다"며 "윤 전 의원과의 연관성이 있었다면 대화 기록이나 휴대폰, 메모 등을 집중적으로 보기 위해 영장을 발부 받았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검팀은 김 전 검사가 법률특보로 근무하고 있는 국가정보원이나 국민의힘 기획조정국·공천관리위원회 등은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특검 관계자는 이날 오후 "구체적인 압수 대상을 일일이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디지털 자료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생각해주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앞서 검찰에서 김건희 여사를 상대로 세 차례 소환을 통보하기도 했던 만큼 수사가 어느 정도 진척됐던 것으로 평가되는데, 특검은 강제수사가 이뤄지지 않았던 관련자들까지 압수수색을 진행하면서 윤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 수사가 본격화하고 있다.
김건희 특검팀(특별검사 민중기)은 8일 김영선 전 국민의힘 국회의원의 자택과 김상민 전 검사의 자택을 비롯한 10여곳을 대상으로 압수수색에 나섰다.
이번 의혹과 관련해 그간 강제수사를 받은 적이 없었던 당시 국민의힘 공천관리위원장을 지낸 윤상현 의원의 자택과 국회 사무실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다.
해당 의혹은 특검의 '1호 수사'인 삼부토건 주가조작 의혹과 달리 검찰 단계에서 조사가 상당 부분 이뤄졌고 명씨와 김 전 의원 등은 이미 기소된 상황이다.
그럼에도 특검은 윤 의원, 김 전 검사 등을 상대로도 강제수사에 나섰는데, 앞선 검찰 수사가 명씨의 혐의 입증에 집중했던 것과 달리 특검은 윤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그 자체에 초점을 맞췄기 때문이 아니냐는 해석이다.
공천개입 의혹이 제기된 과거 선거에서 국민의힘 공관위가 어떤 방식으로 관여했는지, 윤 전 대통령 부부 등과의 연관성을 새로 들여다봐야 할 수 있다는 이야기다.
한 검찰 고위직 출신 변호사는 "검찰의 명태균 수사 당시 진행했던 압수수색과 특검 수사에서 필요한 자료가 다를 가능성이 있다"며 "윤 전 의원과의 연관성이 있었다면 대화 기록이나 휴대폰, 메모 등을 집중적으로 보기 위해 영장을 발부 받았을 수 있다"고 분석했다.
특검팀은 김 전 검사가 법률특보로 근무하고 있는 국가정보원이나 국민의힘 기획조정국·공천관리위원회 등은 이날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특검 관계자는 이날 오후 "구체적인 압수 대상을 일일이 확인하기는 어렵지만, 디지털 자료가 중요하다는 점에서 일반적으로 생각해주면 될 것"이라고 전했다.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 수사하는 특별검사팀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실 압수수색을 하고 있다. 2025.07.08. kgb@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08/NISI20250708_0020880560_web.jpg?rnd=20250708151209)
[서울=뉴시스] 김금보 기자 = 김건희 여사의 '공천개입 의혹' 수사하는 특별검사팀이 8일 서울 여의도 국회 의원회관에서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실 압수수색을 하고 있다. 2025.07.08. [email protected]
휴대폰 등 통신기록도 이번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을 것으로 여겨져 당시 공천 과정에서 윤 전 대통령 부부 등과의 대화와 같은 정황 증거 확보를 시도했을 수 있다.
공천개입 의혹 사건은 지난 2022년 5월 9일 윤 전 대통령이 '그거(공천)는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다'는 명씨와의 통화 내용이 알려지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김 여사는 당시 경남 창원 의창 선거구에 김 전 검사가 공천을 받도록 지역구 현역인 김 전 의원을 김해갑으로 옮겨 출마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당시 정치 브로커 명씨를 통해 김 여사가 '김 전 검사를 도와달라'고 말하는 통화 내용이 전해지기도 했다.
같은 해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남도지사·강원도지사 공천에 개입했으며, 김 전 검사를 위해 지난해 국회의원 선거에 관여했다는 의혹도 특검의 수사 대상이다.
앞서 창원지검 수사팀은 지난해 12월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2022년 6월 보궐선거 공천 등을 청탁하기 위해 세비 8070만원을 명씨에게 건넨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로 김 전 의원과 명씨 등을 재판에 넘긴 바 있다.
이 사건을 창원지검에서 이첩 받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전담수사팀은 명씨 등 핵심 관계자들에 대한 소환 조사를 마치고 김 여사에게 세 차례 출석을 통보했지만, 김 여사는 건강 악화나 특검 출범으로 인한 중복 수사 우려 등을 이유로 끝내 출석에 응하지 않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공천개입 의혹 사건은 지난 2022년 5월 9일 윤 전 대통령이 '그거(공천)는 김영선이를 좀 해줘라 그랬다'는 명씨와의 통화 내용이 알려지면서 수면 위로 떠올랐다.
김 여사는 당시 경남 창원 의창 선거구에 김 전 검사가 공천을 받도록 지역구 현역인 김 전 의원을 김해갑으로 옮겨 출마하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받는다.
당시 정치 브로커 명씨를 통해 김 여사가 '김 전 검사를 도와달라'고 말하는 통화 내용이 전해지기도 했다.
같은 해 전국동시지방선거 경남도지사·강원도지사 공천에 개입했으며, 김 전 검사를 위해 지난해 국회의원 선거에 관여했다는 의혹도 특검의 수사 대상이다.
앞서 창원지검 수사팀은 지난해 12월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게 2022년 6월 보궐선거 공천 등을 청탁하기 위해 세비 8070만원을 명씨에게 건넨 혐의(정치자금법 위반)로 김 전 의원과 명씨 등을 재판에 넘긴 바 있다.
이 사건을 창원지검에서 이첩 받아 수사한 서울중앙지검 명태균 전담수사팀은 명씨 등 핵심 관계자들에 대한 소환 조사를 마치고 김 여사에게 세 차례 출석을 통보했지만, 김 여사는 건강 악화나 특검 출범으로 인한 중복 수사 우려 등을 이유로 끝내 출석에 응하지 않았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