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대·조선대 학년말 유급처리…본과생 50%이상 유급 대상
특혜 시비 불가피…휴학생 대거복귀에도 교육인프라 그대로
24·25·26학번 수업 몰리는 '트리플링' 우려…"후속 대책 중요"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휴학계를 낸 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이 만료된 31일 오전 광주 동구 전남대 의대 의예과학생회실 앞 복도가 불이 꺼진 채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5.03.31. leeyj2578@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3/31/NISI20250331_0020753750_web.jpg?rnd=20250331115234)
[광주=뉴시스] 이영주 기자 = 의대 정원 증원에 반발해 휴학계를 낸 의대생들의 복귀 시한이 만료된 31일 오전 광주 동구 전남대 의대 의예과학생회실 앞 복도가 불이 꺼진 채 한산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2025.03.31. [email protected]
[광주=뉴시스]변재훈 기자 = 의과대학 증원에 반대해 집단 휴학에 나선 지 17개월 만에 의대생들이 전격 복귀하겠다고 했지만 각 대학 학사정상화까지는 상당한 진통이 예상된다.
13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전날 "학생 전원이 학교에 돌아감으로써 의과대학 교육·의료체계 정상화에 힘쓰겠다"고 전격 선언했다.
지난해 2월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하며 집단 휴학한 지 17개월, 1년5개월 만이다.
다행히 기나긴 의정 갈등의 출구는 찾았지만, 일선 대학에서 돌아온 의대생들의 학사 정상화까지는 풀어야 할 과제도 만만치 않다.
전남대·조선대 의대의 경우, 그동안 수업에 불참해왔던 의대생들의 유급·제적 처분을 학년 말로 연기했다. 수업 일수 미달 등 유급 대상자에 대한 개별 통보까지 마쳤지만 행정상 공식 처리는 일단 미뤄 놓은 셈이다.
전남대 의대 재학생 737명, 조선대 의대 697명 중 현재 수업 참여율은 10%대를 겉돌고 있다. 이대로라면 지역 의대생 대다수가 유급 또는 제적이 불가피하다.
국회 교육위원회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이 지난달 공개한 국립대 의대 유급·제적 현황을 보면 전남대 의대는 예과생 중 89% 가량이 학사 경고 대상자다. 본과생은 357명 중 183명(51.26%)이 유급 대상으로 분류된다. 정확히 집계되지 않은 조선대 의대 역시 집단휴학 참여율을 고려하면 상황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실제 최종 유급 처리는 되지 않았지만 정부가 학사 유연화 또는 특례로서 복귀 의대생의 퇴로를 열어줘야 하는 상황이다.
다만 정부·대학의 설득에도 휴학을 고수한 학생과 강의실을 지킨 의대생 간의 형평성 문제가 불거질 수 밖에 없다. 복귀 의대생·전공의에 대한 특혜 시비로 번질 수도 있다.
의대 학사가 대체로 1년 단위인 점을 감안하면, 1학기 수업 일수가 부족한 학생이 당장 2학기에 복학하기도 쉽지 않다.
행정 절차 상 유급을 면하고 강의실로 돌아온다고 해도, 더 큰 문제는 의대 교육의 질이다.
24·25·26학번이 한 번에 한 학년에서 수업을 듣는 초유의 '트리플링(tripling)' 사태가 벌어지면 의대 교육 전반에 차질을 빚을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정부가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증원 전 수준(3058명)으로 줄인 상황이라지만, 의대마다 각 학년 이수 과목 이수대상자가 수업 정원을 웃돌 수 밖에 없다.
2025학년도 한 해에만 4500여 명이 이미 의대에 입학한 상황이지만, 증원에 맞춰 뒤따라야 할 의대 교원 확충·교육 시설 증설은 의정갈등 국면에서 답보 상태였다.
1년 넘게 파행을 빚은 의료교육이 정상화되려면 일선에서 크고작은 혼선은 불가피하다.
지역 의료계 관계자는 "의대생들의 복귀는 환영할 일이지만, 실제 유급 요건이 된 학생 다수의 학사행정 문제를 해소하려면 각 대학 차원 해법으로는 불가능하다. 정부가 의대생단체와 머리를 맞대고 대승적으로 풀어야 할 문제다"고 지적했다.
이어 "사실상 예과 과정을 제대로 이수 못한 24학번, 정원이 급증한 25학번, 올해 신입생까지 잘 추스리고 의대 교육을 정상화하려면 상당한 진통이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대화의 물꼬는 텄지만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여러 후속 대책들이 더욱 중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