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훈 전 경호처 차장, 尹변호인 나가자 진술 바꿔
강의구 전 부속실장도 검찰 진술 번복하고 새 진술
실세 김태효도 'VIP 격노설' 순직해병 특검에 진술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직권남용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를 마친 뒤 대기 장소인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기 위해 법원을 나서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의 '정점'으로 조은석 특별검사가 이끄는 내란 특검팀에 구속영장이 청구된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8일 내란우두머리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를 받은 지 172일 만에 재구속 기로에 서게 됐다. 2025.07.13.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09/NISI20250709_0020882608_web.jpg?rnd=20250709213758)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지난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직권남용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를 마친 뒤 대기 장소인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기 위해 법원을 나서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의 '정점'으로 조은석 특별검사가 이끄는 내란 특검팀에 구속영장이 청구된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8일 내란우두머리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를 받은 지 172일 만에 재구속 기로에 서게 됐다. 2025.07.13.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정현 고재은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에게 맹종했던 '충성파'들이 과거 윤 전 대통령을 옹호했던 진술을 거둬들이고 특별검사팀 조사에서 말을 바꿔 불리한 진술을 하면서 윤 전 대통령이 사면초가에 놓인 모양새다.
그간 부인하거나 기억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던 이들의 과거 진술이 번복되면서 윤 전 대통령의 각종 혐의를 규명하는 특검 수사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그간 '강경 충성파'로 분류되던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은 최근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에 윤 전 대통령이 총기를 보여주는 등 체포 저지를 지시했다고 인정하는 진술을 했다.
내란 특검팀이 앞서 청구한 사전구속영장에는 윤 전 대통령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등의 2차 체포영장 집행을 막기 위해 경호처에 총기 소유 사실을 노출하라고 지시하는 등 구체적인 진술이 담겼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1일 김성훈 당시 대통령경호처장 직무대리 등과의 오찬 자리에서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특공대와 기동대가 들어온다고 하는데 걔들 총 쏠 실력도 없다"며 "경찰은 니들이 총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여주기만 해도 두려워할 거다. 총을 가지고 있다는 걸 좀 보여줘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7일에도 비화폰으로 김 전 차장에게 연락해 "비화폰이 누군가의 손에 들어가서 함부로 쉽게 볼 수 있으면 그게 비화폰인가", "빨리 조치해야 되지 않겠나"라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내용은 윤 전 대통령과 대화를 나눈 김 전 차장의 진술 없이는 파악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김 전 차장은 앞서 1월 경찰과 공수처가 한남동 관저에서 윤 전 대통령 체포를 시도했을 당시 이를 저지하는 데 앞장섰던 인물이다.
특검은 사전구속영장에서 김 전 차장의 태도 변화를 지적하며 윤 전 대통령의 구속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특검은 "경찰 조사 초기에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에 속한 변호사들이 참여하여 피의자에게 유리하게 진술하다가, 변호인이 더는 참여하지 않게 되자 비로소 윤 전 대통령의 혐의 부분에 대해 진술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계엄 사후 선포문에 관여했다는 의심을 받는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도 최근 기존 검찰 진술을 번복하고 새로운 진술을 내놓은 인물이다. 강 전 부속실장은 윤 전 대통령이 사후 계엄선포문에 사인하고 폐기를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특검은 사전구속영장에서 윤 전 대통령 변호인이 강 전 부속실장 조사에 '원포인트'로 입회해 답변을 유도하고 검사 질문을 중단시키는 행위를 반복했다고 전했다.
윤석열 정부에서 실세 참모로 꼽힌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도 최근 순직해병 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의 추궁에 이른바 'VIP 격노설'을 인정하는 진술을 내놨다.
특검팀은 지난 11일 김 전 1차장에게 격노설이 제기된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회의 상황을 추궁했고, 당시 회의 참석자였던 김 전 1차장으로부터 '윤 전 대통령이 화내는 것을 들은 것 같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김 전 차장은 지난해 7월 국회에서 격노설에 대해 부인한 바 있는데, 이 같은 입장을 180도 바꾼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은 당시 회의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가 명시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 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느냐'며 격노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과거의 복심들이 불리한 진술을 쏟아내면서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특검의 출석 요구도 거부하면서 대책을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그간 부인하거나 기억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던 이들의 과거 진술이 번복되면서 윤 전 대통령의 각종 혐의를 규명하는 특검 수사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13일 법조계에 따르면 그간 '강경 충성파'로 분류되던 김성훈 전 대통령경호처 차장은 최근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에 윤 전 대통령이 총기를 보여주는 등 체포 저지를 지시했다고 인정하는 진술을 했다.
내란 특검팀이 앞서 청구한 사전구속영장에는 윤 전 대통령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등의 2차 체포영장 집행을 막기 위해 경호처에 총기 소유 사실을 노출하라고 지시하는 등 구체적인 진술이 담겼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1일 김성훈 당시 대통령경호처장 직무대리 등과의 오찬 자리에서 "2차 체포영장 집행을 위해 특공대와 기동대가 들어온다고 하는데 걔들 총 쏠 실력도 없다"며 "경찰은 니들이 총기를 가지고 있는 것을 보여주기만 해도 두려워할 거다. 총을 가지고 있다는 걸 좀 보여줘라"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전 대통령은 지난해 12월 7일에도 비화폰으로 김 전 차장에게 연락해 "비화폰이 누군가의 손에 들어가서 함부로 쉽게 볼 수 있으면 그게 비화폰인가", "빨리 조치해야 되지 않겠나"라 지시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런 내용은 윤 전 대통령과 대화를 나눈 김 전 차장의 진술 없이는 파악하기 어렵다는 평가다. 김 전 차장은 앞서 1월 경찰과 공수처가 한남동 관저에서 윤 전 대통령 체포를 시도했을 당시 이를 저지하는 데 앞장섰던 인물이다.
특검은 사전구속영장에서 김 전 차장의 태도 변화를 지적하며 윤 전 대통령의 구속 필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 특검은 "경찰 조사 초기에 윤 전 대통령 변호인단에 속한 변호사들이 참여하여 피의자에게 유리하게 진술하다가, 변호인이 더는 참여하지 않게 되자 비로소 윤 전 대통령의 혐의 부분에 대해 진술하기 시작했다"고 전했다.
계엄 사후 선포문에 관여했다는 의심을 받는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도 최근 기존 검찰 진술을 번복하고 새로운 진술을 내놓은 인물이다. 강 전 부속실장은 윤 전 대통령이 사후 계엄선포문에 사인하고 폐기를 지시했다고 진술했다.
특검은 사전구속영장에서 윤 전 대통령 변호인이 강 전 부속실장 조사에 '원포인트'로 입회해 답변을 유도하고 검사 질문을 중단시키는 행위를 반복했다고 전했다.
윤석열 정부에서 실세 참모로 꼽힌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도 최근 순직해병 특검팀(특별검사 이명현)의 추궁에 이른바 'VIP 격노설'을 인정하는 진술을 내놨다.
특검팀은 지난 11일 김 전 1차장에게 격노설이 제기된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회의 상황을 추궁했고, 당시 회의 참석자였던 김 전 1차장으로부터 '윤 전 대통령이 화내는 것을 들은 것 같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했다.
김 전 차장은 지난해 7월 국회에서 격노설에 대해 부인한 바 있는데, 이 같은 입장을 180도 바꾼 것이다.
윤 전 대통령은 당시 회의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 1사단장의 업무상 과실치사 혐의가 명시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조사 결과를 보고 받고 '이런 일로 사단장을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하느냐'며 격노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윤 전 대통령은 과거의 복심들이 불리한 진술을 쏟아내면서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는 모습이다. 특검의 출석 요구도 거부하면서 대책을 고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