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림과학원, '우리 동네 산사태 위험정보' 실시간 제공
![[대전=뉴시스] 마을(산림유역) 기준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 예시.(사진=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7/16/NISI20250716_0001894229_web.jpg?rnd=20250716132748)
[대전=뉴시스] 마을(산림유역) 기준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 예시.(사진=국립산림과학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대전=뉴시스] 김양수 기자 = 집중호우가 예보되면서 산사태 위험가능성이 커지자 산림청이 인명·재산피해 최소화를 위해 실시간 산사태 위험정보 활용을 당부하고 나섰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6일 "비가 오는 양에 따라 실시간으로 산사태 위험 변화를 분석해 제공하는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축, 운용중"이라며 "우리 동네·마을 단위로 분석한 산사태 위험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집중호우에 따른 대응판단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는 산사태 예·경보 시스템(KLES)이 실시간 강우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토양 내 물의 양과 산사태 위험 지도를 결합해 산사태가 위험한 지역이 어디인지 실시간으로 표출한다.
전국 산사태 발생 위험을 1등급(매우 높음)부터 5등급(매우 낮음)까지 100㎡ 격자형태로 제공하며 지도를 확대·축소하면서 마을→동·리→읍·면·동→시·군 단위로 산사태 위험도를 단계별 확인 가능하다.
올해는 경북·경남·울산 등 대형 산불로 피해가 심각한 지역의 산사태 위험등급도 긴급 조정해 반영됐다.
산림과학원은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해 전국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 정보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산사태 취약지역 내 대피소 위치도 누구나 알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
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산사태의 위험은 비가 얼마나 오느냐에 따라 계속 달라지기 때문에 현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전국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주민들이 마을별 산사태 위험을 미리 파악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16일 "비가 오는 양에 따라 실시간으로 산사태 위험 변화를 분석해 제공하는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 정보제공 시스템을 구축, 운용중"이라며 "우리 동네·마을 단위로 분석한 산사태 위험정도를 확인할 수 있어 집중호우에 따른 대응판단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는 산사태 예·경보 시스템(KLES)이 실시간 강우 정보를 바탕으로 분석한 토양 내 물의 양과 산사태 위험 지도를 결합해 산사태가 위험한 지역이 어디인지 실시간으로 표출한다.
전국 산사태 발생 위험을 1등급(매우 높음)부터 5등급(매우 낮음)까지 100㎡ 격자형태로 제공하며 지도를 확대·축소하면서 마을→동·리→읍·면·동→시·군 단위로 산사태 위험도를 단계별 확인 가능하다.
올해는 경북·경남·울산 등 대형 산불로 피해가 심각한 지역의 산사태 위험등급도 긴급 조정해 반영됐다.
산림과학원은 산사태정보시스템을 통해 전국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 정보를 서비스하고 있으며 산사태 취약지역 내 대피소 위치도 누구나 알 수 있도록 공개하고 있다.
산림과학원 관계자는 "산사태의 위험은 비가 얼마나 오느냐에 따라 계속 달라지기 때문에 현재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전국 실시간 산사태 위험도를 운영하고 있다"며 "주민들이 마을별 산사태 위험을 미리 파악해 신속히 대피할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