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례 기자 간담회…한미 관세협상 농산물 분야 설명
8단계 검역 간소화 요구 "속도 낸다고 되는 것 아냐"
"여론·정치 아닌 전문영역…더 성의 보이겠단 의미"
LMO 감자 개방엔 "가격·품질경쟁력서 경쟁 안돼"
"작은 나라가 살아남으려면 수출시장 다변화해야"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농식품 주요 정책과 현안을 설명하고 있다. 2025.08.07. ppkjm@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8/07/NISI20250807_0020920131_web.jpg?rnd=20250807134815)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농식품 주요 정책과 현안을 설명하고 있다. 2025.08.07. [email protected]
[세종=뉴시스]임소현 박광온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7일 한국과 미국이 관세 협상에서 미국산 과채류 수입위생절차 관련 협력을 강화하기로 합의한 것과 관련 "검역 절차를 간소화하는 건 불가능하고 시간을 인위적으로 앞당기는 것도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송미령 장관은 이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진행된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검역 8단계라는 장치는 우리 혼자 빨리 속도를 낸다고 혹은 상대방 국가 혼자 빨리 속도를 낸다고 되는 게 아니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송 장관은 "미국 입장에서 보면 사과에 대한 검역 협상을 시작했는데 그게 한 30년 됐다, 그런데 아직 2단계에 머무르고 있지 않느냐 이런 이야기"라며 "이 부분을 우리는 소통을 조금 더 강화할 필요가 있지 않겠나라고 설명한 것"이라고 전했다.
이어 "(검역은) 양국 간 커뮤니케이션 과정이고 여론으로, 정치로 하는 게 아니라 전문가적 영역"이라며 "검역 절차를 개선한다라는 표현은 소통을 조금 더 강화한다는 것, 그리고 전문가적 단계에서 인공지능(AI)을 투입하는 등 과학적 역량을 높이겠다는 의미"라고 언급했다.
현재 외국산 농산물이 국내에 수입되려면 세계무역기구(WTO)의 동식물 위생·검역(SPS) 규정에 따라 8단계의 수입위험분석 절차를 거쳐야한다. 미국산의 경우 사과(2단계), 배(3단계), 감자(6단계) 등 10여 품목이 검역절차를 진행 중이다. 한미 관세협상 당시 미국 측은 검역 절차가 너무 느리다는 의견을 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농식품 주요 정책과 현안을 설명하고 있다. 2025.08.07. ppkjm@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8/07/NISI20250807_0020920126_web.jpg?rnd=20250807134815)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서 농식품 주요 정책과 현안을 설명하고 있다. 2025.08.07. [email protected]
정부는 미국산 과채류 신규 수입 승인 절차 등을 전담할 'US 데스크'를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현재 우리는 북미, 남미, 중동 등 대륙별로 담당자를 배정하고 있다.
이에 대해 송 장관은 US 데스크의 의미에 대한 질문에 "US 데스크는 컨택 포인트를 분명하게 하는 것"이라며 "검역본부 인력이 대륙별로 11명 정도 있는데 여기서 미국의 컨택 포인트가 생기는 것"이라고 답변했다.
송 장관은 "국제적으로 통용되고 있는 8단계 절차를 다 없앨 수는 없고 미국도 그건 알고 있다"며 "(검역절차 개선은) 그럼 우리가 조금 더 성의를 보일게라는 답"이라고 강조했다.
유전자변형생물체(LMO) 감자 개방 가능성에 대해서는 "11개 주의 감자가 검역절차 6단계에 와있어 아마 한다면 가장 빨리 개방이 될 것 같다"면서도 "이미 22개주 감자가 열려있기 때문에 경험해봤는데 가격이나 품질 경쟁력에 있어 적어도 22개주 감자는 우리 감자와 별로 경쟁이 안 됐다"고 설명했다.
한미 FTA는 여전히 유효하다는 입장도 분명히 했다. 송 장관은 "일본의 경우 '플러스(+) 15%'지만 우리나라는 15%인 것은 한미 FTA 때문"이라며 "한미 FTA 틀은 여전히 유효하기 때문에 최종적으로 2031년이 되면 1591개 중 35개를 제외한 품목 97.8%는 과세가 '0'이 된다"고 했다.
쌀과 소고기 추가 시장 개방 합의를 막아냈지만 향후 남아있는 과제에 대해서는 국력을 길러야 한다는 답을 내놨다. 송 장관은 "이번 한미 통상 협상하면서 굉장히 여러 도전이 있었고 압박이 있었다"며 "우리 협상단이 잘해서 그래도 소나기는 잘 막았지만 앞으로 시장이라는 게 어떻게 될지 모르니 우리 좀 미리 준비를 해 나가자는 게 우리한테 주는 교훈이 아닌가라는 생각이 든다"고 했다.
그는 "우리같이 작은 나라가 살아남으려면 수출시장 다변화를 해야겠다고 생각했다"며 "수출 시장을 미국에 집중하지 않고 유럽, 남미, 중동까지 확장하도록 최선을 다해야겠다고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 참석, 자리에 앉고 있다. 2025.08.07. ppkjm@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8/07/NISI20250807_0020920134_web.jpg?rnd=20250807134815)
[세종=뉴시스] 강종민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7일 세종시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출입기자 간담회에 참석, 자리에 앉고 있다. 2025.08.07.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