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회담 한일 관계 선순환 기여…이시바 과거 문제에 진솔한 반응"
"역사문제 국민 신뢰 심화 필요성 논의…한일 관계 고민 함께 나눠"
![[도쿄=뉴시스] 고범준 기자 =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24일(현지 시간) 일본 도쿄 한 호텔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한일 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8.24. bjk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8/24/NISI20250824_0020944502_web.jpg?rnd=20250824085228)
[도쿄=뉴시스] 고범준 기자 = 위성락 국가안보실장이 24일(현지 시간) 일본 도쿄 한 호텔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이재명 대통령의 한일 정상회담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2025.08.24. [email protected]
[도쿄·서울=뉴시스] 김지은 조재완 기자 =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24일 전날 열린 한일 정상회담과 관련해 "과거 문제에 대해서도 논의가 있었다"며 "한일이 이 문제를 어떻게 풀어갈지에 대한 기본적 접근에 주안점을 뒀다"고 밝혔다.
위 실장은 이날 오전 일본 도쿄에 마련된 프레스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번 방일은 셔틀 외교 복원에 주안점을 두고 추진했고, 또 방미와 연계에 준비했다"며 "그런 맥락에서 볼 때 과거 문제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를 추구한 바는 아니었다. 공동언론발표(문)을 만들 때 과거 문제에 대한 정교한 플랜(계획), 표현을 도출하려고 한 건 아니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협의 과정에서는 과거 문제가 충분히 논의됐다"며 "이 대통령은 평소 말하던 것을 충분히 말했다. 과거 문제를 어떻게 해야 현재와 미래 협력에 도움이 될 것인가에 대한 입장을 개진했고, 일본 측에서도 진솔한 반응이 있었다. 이시바 총리의 과거 문제에 대한 입장도 알려져 있다. 일본의 정치인 중에서 건설적인, 전향적 입장을 가지신 분이다. 그렇게 갈음하겠다"고 설명했다.
대통령실은 이번 방일과 관련해 한일 협력의 선순환 모멘텀을 우선 구축해 과거사에 대해서도 유연하고 전향적인 논의가 가능하도록 여건을 조성하는 데 방점을 둔 것으로 풀이된다.
위 실장은 '이재명 정부 임기 내에 일본 측의 전향적 입장 변화가 가능하다고 보느냐'는 물음에 "일본의 반응을 어디까지 견인할 수 있을지는 확실하지 않다"면서도 "그런 기대는 여전히 있다. 이번 정상회담은 한일 관계에 선순환을 가져가는 데 큰 기여를 했다고 생각한다"고 답했다.
그는 "금세 가시적 성과로 이어진다고 장담하긴 쉽지 않다. 일본 내 다양한 지형이 있고, 전반적인 사회 분위기 흐름도 있을 것이다. 한국 사회의 정지 지형과 사고 방식의 추세 등도 있다"며 그걸 감안하면서 (협력 관계) 선순환이 성과를 내도록 노력하겠다"고 보탰다.
그러면서 이번 한일 회담에 대해 "국민 정서와 역사 측면, 국민 신뢰를 심화해야 할 필요성에 대해서도 솔직하고 심도 있게 얘기했다"며 "한일 관계에 대한 고민과 인식을 함께 나눈 시간이었다"고 총평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방미를 앞두고 이시바 시게루 일본 총리와 한미일 협력 관계에 대해서도 전략적 소통을 했다. 한미 정상회담에 앞서서 일본을 먼저 찾은 것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한미일 협력에 대한 의지를 과시하려는 측면도 있다.
위 실장은 "한일 정상은 두 분간 소인수 대화에서 대미 관계, 관세 협상에도 상당한 시간을 할애했다"며 "일본과 좋은 관계를 발전시키면서 미국과 협의를 하러 간다는 것은 일본은 물론, 미국에서도 긍정적인 움직임이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그는 "일본과 미국을 연계 방문함으로써 한일, 한미일 협력 강화를 실현했다고 할 수 있다"며 "그간 한일 양국 관계가 좋지 않으면 미국이 주도해 한미일 3국을 협력하도록 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번엔 우리가 주도해 일본을 방문하고 미국을 이어 방문하는 모양이 나왔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