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들 김정은 베이징 전승절 80주년 열병식 참석 의미 다양한 분석
북중러 3각 구도 강화에 대응한 한미일 3국은 ‘관세 전쟁’으로 불안
우크라 파병으로 밀접 북러, 김정은 초청으로 북중 관계 건재 과시

【서울=뉴시스】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부인 리설주 여사가 2019년 6월 22일 평양국제비행장에서 국빈방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부인 펑리위안 여사를 환송했다. 2025.08.29. (사진=조선중앙TV 캡쳐)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구자룡 기자 =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다음달 3일 중국 베이징 전승절 80주년 기념 열병식에 참석한 것은 세계 전략 지형의 변화를 보여주는 것이다.
김정은의 깜짝 참석이 가져 올 파장 촉각
동북아에서는 앞으로 북중러 3자 구도가 형성될 조짐이다. 반면 이에 대응했던 한미일 공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으로 흔들리고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안보는 세력 균형에서 얻어질 수 있다는 원칙에 따른다면 전승절을 계기로 북중러 3국이 뭉치는 것에 상응하는 한미일 협력 구도가 형성되지 않는다면 균형이 흔들리고 안보 지형도 불안해질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김정은의 전승절 깜짝 참석이 초래할 동북아 안보 환경 변화는 어느 때보다 불확실해 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6·25 전쟁은 북한과 중공, 소련이 미군이 철수한 남한의 공백을 함께 파고 들면서 시작됐다.
BBC “김정은 초청으로 지정학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신호 보내”
영국 BBC 방송은 김정은의 베이징 열병식 참석 초청으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은 트럼프 대통령에게 카드를 누가 쥐고 있는 지 보여준 외교적 승리라고 28일 전했다.
방송은 김정은 위원장의 참석은 깜짝 발표였지만 중요성은 결코 작지 않다며 트럼프 대통령이 25일 이재명 대통령을 만나 올해 안에 김정은 위원장을 다시 만나고 싶다고 밝힌 직후였다는 것을 강조했다.
시 주석은 김정은 초청으로 지정학적 우위를 점할 수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으며, 김정은과 푸틴 두 사람에 대한 영향력은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트럼프보다는 크다는 것을 보여줬다는 것이다.
워싱턴포스트(WP)도 트럼프가 김 위원장을 만날 계획을 밝힌 지 불과 3일 만에 김 위원장은 시 주석의 초대를 수락했다며 푸틴, 시진핑과 함께 서방이 주도하는 세계 질서에 대한 저항의 뜻을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럼프는 10월 말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의체(APEC) 등을 계기로 동아시아를 방문해 베이징에서 시 주석을 만날 것이라는 보도도 이어지고 있다.
회담이 이뤄질 경우 시 주석은 김정은과 푸틴을 모두 만난 뒤 트럼프를 만나게 되는 모양새다.
핵무력 개발로 유엔의 제재를 받고 있는 김정은이 여러 국가의 지도자들과 함께 톈안먼 성루에 서는 것은 고립와 은둔의 지도자 이미지를 탈피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북한 최고지도자가 톈안먼 성루에 오르는 것은 1959년 김일성 주석이 중국 사회주의 정부 수립 5주년 기념 열병식 참석 이후 71년 만이다.
김정은이 시 주석을 만나는 것도 2019년 김정은이 베이징을 방문하고 시진핑 주석이 평양을 방문한 이후 처음이다.
중국의 영향력 보여주는 열병식
김정은은 푸틴과 시진핑 뿐만 아니라 인도네시아, 이란 등 다른 국가 지도자들과 함께 무대에 서는 것 역시 정통성을 부여받는 요소가 될 전망이라고 방송은 전했다.
시 주석은 트럼프와의 정상회담을 앞두고 외교적 영향력을 행사하기 위한 수단이 하나 더 생겼다.
양국은 11월 초까지 미뤄진 관세 협상을 계속하고 있는 가운데 시 주석은 협상이 진행되는 동안 최대한 강력한 힘을 발휘하고자 하고 있으며 김정은과의 관계도 하나의 지렛대가 될 수 있다.
뉴욕타임스(NYT)는 다음달 열병식은 미국이 가장 강력하게 반대하는 국가 지도자, 세계 주요 권위주의 정부 지도자들이 서로 직접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북중러 3국 외에 시 주석은 미국 주도의 세계 질서에 오랫동안 저항해 온 이란과 쿠바 등 여러 국가의 지도자들을 불렀기 때문이다.
김 위원장은 주요 다자 외교 무대에 첫 발을 내딛는 기회가 될 전망이다.
김 위원의 베이징 방문은 그가 러시아와의 관계를 확대하는 동시에 중국과도 관계를 소홀히 하지 않음을 강조한 것이다. 북한은 무엇보다 중국 관광객 유치를 희망하고 있다.
이번 방문은 전통적으로 강력한 중국과 북한의 관계가 최근 몇 년 동안 경색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이루어졌다.
SCMP “북러 협력속, 중국 소외 분석 중 김정은 방중”
훙레이 외교부 부장조리(차관보)는 28일 김 위원장의 참석을 발표하면서 “중국과 북한은 산과 강으로 연결된 우호적인 이웃”이라며 “양국은 서로를 지원했으며 전쟁 승리에 상당한 공헌을 했다”고 말했다.
6·25 전쟁을 항미원조전쟁이라고 부르며 참전했던 것을 언급한 것이다.
훙 부장조리는 “중국은 북한과 협력을 심화하고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증진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하며 두 나라 간 우호의 새로운 장을 열 의향이 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