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 인허가 간소화·용적률 상향…공공주택 공급 속도[9·7 주택공급 확대]

기사등록 2025/09/07 15:06:38

최종수정 2025/09/07 19:41:02

2030년까지 수도권 2만3000호 착공

신속한 사업 인가 추진 인허가 단축

국토1차관 위원장 '통합 분쟁위' 신설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20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서울시내 아파트가 보이고 있다.  2025.08.20.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20일 서울 중구 남산에서 서울시내 아파트가 보이고 있다.  2025.08.2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홍찬선 기자 = 정부가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호를 신규 착공하는 공급대책을 발표했다. 연평균 27만호가 착공될 계획이며 정부는 공급을 확대하기 위해 공공청사와 유휴부지를 활용한다.

국토교통부와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구윤철 경제부총리는 이날 부동산관계장관회의를 열고 유휴부지·공공청사 등을 활용한 주택공급 확대방안을 발표했다.

우선 정부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직접 시행과 도심 주택 공급 등을 통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총 135만호를 신규 착공하는 내용을 주요 골자로 한다. 특히 노후 공공청사와 국유지 등을 재정비해 수도권 2만8000호를 착공한다.

정부는 신속한 사업시행계획 인가를 추진하기 위해 인허가 등을 획기적으로 단축한다.

인허가는 부지의 용적률을 상향하고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 등을 통해 주도적으로 개발할 수 있도록 국토부가 직접 건설사업을 승인한다.

[서울=뉴시스] 정부가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 호(서울 33만4000호)를 신규 착공하겠다는 주택공급 계획을 내놨다. 정부는 수도권 주택 수요를 고려할 때 연간 25만호가 공급되는 게 적정 수준이라고 봤다. 이에 따라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평균 15만8000호 수준이던 공급을 내년부터 2030년까지 연간 11만2000호 늘린 27만호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부가 2030년까지 수도권에 135만 호(서울 33만4000호)를 신규 착공하겠다는 주택공급 계획을 내놨다. 정부는 수도권 주택 수요를 고려할 때 연간 25만호가 공급되는 게 적정 수준이라고 봤다. 이에 따라 2022년부터 지난해까지 최근 3년간 평균 15만8000호 수준이던 공급을 내년부터 2030년까지 연간 11만2000호 늘린 27만호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그래픽=안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특히 인허가 신청시 절차를 간소화하고 사업시행계획과 관리처분계획 인사를 동시에 신청할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인허가 지연 방지를 위해 주택건설사업 '신속 인허가 지원센터'를 통해 인허가 과정에서의 관계기관 이견 등을 조정하는 법적근거를 마련한다.

인허가 사업 완료이후 후속절차 소요기간도 단축하고 분쟁을 조정을 위해 국토부 1차관을 위원장으로하는 '통합 분쟁위원회'도 신설해 공사비 분쟁 조정의 권한을 부여하게 된다.

대규모 사업장에서 공사비 갈등시에는 갈등조정 전문가 파견을 위무화하고 조합의 입찰 공고와 공사도급계약 변경시에도 컨설팅(부동산원)을 제공하도록 한다.

[서울=뉴시스] 정부가 서울의 준공 30년 이상 노후 영구임대 등 공공임대주택을 추가 용적률을 최대 500%까지 확보하는 고밀 개발 방식으로 재건축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2만3000호를, 노후 공공청사·국유지 재정비로 2만8000호를 착공한다. 도심 내 학교, 미사용 학교 용지, 폐교 부지에 공공주택과 교육시설, 생활SOC를 복합개발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3000호+α'를 착공한다.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활성화도 추진한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부가 서울의 준공 30년 이상 노후 영구임대 등 공공임대주택을 추가 용적률을 최대 500%까지 확보하는 고밀 개발 방식으로 재건축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2만3000호를, 노후 공공청사·국유지 재정비로 2만8000호를 착공한다. 도심 내 학교, 미사용 학교 용지, 폐교 부지에 공공주택과 교육시설, 생활SOC를 복합개발해 2030년까지 수도권에 '3000호+α'를 착공한다.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 활성화도 추진한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email protected]
또한 관리처분계획 기간 단축을 위해 감정평가액 통지와 관리처분계획공람을 총회 전 병행해 사업인가 고시 전 감정평가업체 선정을 명문화 할 방침이다.

도시 규제 개선을 위해서는 건축물 높이 제한과 공원녹지 기준을 건축위 또는 도시계획위의 심의를 거쳐 재개발·재건축·재정비 촉진지구로 완화한다.

또한 정부는 용적률 확대를 통해 주거지역과 동일하게 준공지역도 현재용적율을 정비계획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허용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주거지역은 용적률 기준을 초과했더라도 새 부담없이 현 수준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정부는 주민이 선호하는 정비사업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공공재개발·재건축 사업 등에 대한 지원확대하기 위해 용적률 인센티브를 법적상한 초과 용적률을 최고수준으로 확대한다. 추가 인센티브 부여시 공공임대 기여 등도 추가 확대할 방침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주택 인허가 간소화·용적률 상향…공공주택 공급 속도[9·7 주택공급 확대]

기사등록 2025/09/07 15:06:38 최초수정 2025/09/07 19:41:02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