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KT 소액결제 피해, 모든 가능성 열어두고 철저히 조사해야"

기사등록 2025/09/10 18:36:45

최종수정 2025/09/10 19:24:24

"알뜰폰 포함, 이용자 피해 실태 파악 신속히 이뤄져야"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KT 가입자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 사고 원인으로 가상의 유령기지국 운영 의혹이 제기되자 정부가 긴급 점검에 돌입한 10일 서울 한 KT대리점에 KT로고가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8일 KT가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원인의 하나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언급했다고 밝혔다. 해커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활용해 정보를 탈취했는지 여부 및 어떤 방식으로 무단 소액결제가 이뤄졌는지에 대해 정밀 조사 중이다. 2025.09.10.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KT 가입자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 사고 원인으로 가상의 유령기지국 운영 의혹이 제기되자 정부가 긴급 점검에 돌입한 10일 서울 한 KT대리점에 KT로고가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8일 KT가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원인의 하나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언급했다고 밝혔다. 해커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활용해 정보를 탈취했는지 여부 및 어떤 방식으로 무단 소액결제가 이뤄졌는지에 대해 정밀 조사 중이다. 2025.09.1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수정 기자 = KT 소액결제 피해가 확산되면서 각 시민단체가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철저히 조사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참여연대는 10일 논평을 내고 "정부와 민관합동조사단은 섣불리 불법 초소형 기지국으로 그 원인을 단정하지 말고 이미 해외 해킹 전문지를 통해 해킹 의심 사실이 확인된 만큼 KT를 포함한 이통사 전반의 해킹 취약지점 전수점검에 나서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참여연대는 "SKT 유심 개인정보 유출사고와 KT 소액결제 사태의 책임을 엄중히 묻고, 피해자들이 제대로 된 피해구제를 받을 수 있도록 조치해야 한다"고도 강조했다.

이어 "KT는 소액결제 피해 사태에 대해 열흘 가까이 방치하고 사태를 축소 은폐하려 한 시도에 대해 엄중히 사과하고 경영진을 포함한 관련 책임자들을 문책해야 한다"며 "소액결제 피해 외에 추가적인 개인정보 유출피해가 확산된다면 피해사실에 대한 정보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피해구제와 재발방지에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YMCA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알뜰폰을 포함한 KT망을 이용하는 이용자 피해 실태 파악이 신속히 이뤄져야 한다"며 "KT가 이미 보유하고 있는 새벽 시간대 소액결제 내역 등 이상 거래 데이터를 즉시 공개하고, 해당 고객에게 개별 고지를 즉시 시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부는 이번 KT 해킹 사태의 조사 범위를 '소액결제 시스템 등'에 한정해 또다시 우를 범하지 말고, 개인정보 유출 여부를 포함한 전면적인 서버 전수조사로 확대해 진상을 철저히 규명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6일까지 경기 광명시 소하동과 하안동, 서울 금천구 등에 거주하는 KT 가입자 휴대전화에서 모바일 상품권을 구매하거나 교통카드 결제가 이뤄져 수십만원이 빠져 나가는 피해가 발생했다.

경기남부경찰청에 따르면 소액결제 등 피해가 이뤄진 사례는 지난 8일 기준 74건이다. 피해 규모는 4580만원 상당에 달한다.

피해가 확산되면서 전날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사태와 관련해 민관합동조사단을 구성하고 원인 조사에 착수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시민단체 "KT 소액결제 피해, 모든 가능성 열어두고 철저히 조사해야"

기사등록 2025/09/10 18:36:45 최초수정 2025/09/10 19:24:24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