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단체 "이통사, 통신보안 강화…재발방지 대책 마련해야"

기사등록 2025/09/15 11:44:08

최종수정 2025/09/15 12:24:24

민생경제연구소, 서울YMCA 시민중계실 등 공동 기자회견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27일 서울시내에 위치한 SKT매장에 정보보호 관련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5.08.27. jhope@newsis.com
[서울=뉴시스] 정병혁 기자 = 27일 서울시내에 위치한 SKT매장에 정보보호 관련 안내문이 붙어있다. 2025.08.2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이수정 기자 = 소비자 시민단체가 SKT 유심정보 유출, KT 소액결제 사태와 관련해 무책임한 행태를 규탄하며 철저한 조사와 재발방지 대책 마련,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피해구제 등을 촉구했다.

민생경제연구소, 서울YMCA 시민중계실, 참여연대 민생희망본부, KT새노동조합, 한국소비자연맹은 15일 오전 11시 KT 광화문 빌딩 앞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은 ▲이동통신사의 제대로 된 책임과 통신보안 강화 ▲정부·국회의 철저한 조사와 제재, 재발방지 대책 마련 ▲개인정보 유출 피해자에 대한 실효성 있는 피해구제 등을 요구했다.

특히 초소형 기지국 외에도 통신3사 보안을 전수점검할 것과 민관합동조사에 피해자 소비자 시민단체 참여를 보장할 것 등을 강조했다. 피해구제 방안에 대해서는 ▲SKT 피해보상 확대, 위약금 면제기간 확대 및 결합상품 위약금 면제 ▲KT 소액결제 피해금액 전적으로 KT 부담, 피해보상 이행 등을 제시했다.

김주호 참여연대 민생경제팀 팀장은 "이동통신사의 대주주인 국민연금은 적극적인 주주권 행사를 통해 경영진과 회사의 책임을 엄중히 물어야 한다"며 "과징금 상한을 주요 선진국 수준으로 늘리고 과징금 감면 기준도 축소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석현 YMCA 시민중계실장은 KT 소액결제 피해 사태와 관련해 "투명한 피해 상황 공개와 함께 KT 가입자 및 망 이용자들의 추가 피해 가능성을 차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러면서 KT 전 가입자 및 KT망 이용 알뜰폰 사용자 대상 유심 교체, 소액결제 피해자 단말 교체 및 전체 가입자 단말 보안 강화, 전체 고객 대상 문자 고지 등을 즉각 시행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시민단체 "이통사, 통신보안 강화…재발방지 대책 마련해야"

기사등록 2025/09/15 11:44:08 최초수정 2025/09/15 12:24:24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