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25∼4.50%→4.00∼4.25%…연내 두 차례 추가 인하 시사
파월 "이번 인하는 리스크 관리 차원"…美 증시 혼조 마감
증권가 "국내 증시 상승 추세 변함 없어…단기 변동성은 유의"
![[워싱턴=AP/뉴시스]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7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연준 이사회 건물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연준은 이틀간 FOMC 정례회의를 진행한 결과 기준금리를 연 4.25~4.50%에서 4.0~4.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2025.09.18.](https://img1.newsis.com/2025/09/18/NISI20250918_0000644582_web.jpg?rnd=20250918034330)
[워싱턴=AP/뉴시스]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17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DC 연준 이사회 건물에서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회의 결과 기자회견을 열고 발언하고 있다. 연준은 이틀간 FOMC 정례회의를 진행한 결과 기준금리를 연 4.25~4.50%에서 4.0~4.25%로 0.25%포인트 인하했다. 2025.09.18.
[서울=뉴시스]이지민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9월 연방공개장위원회(FOMC)에서 시장 예상대로 스몰컷(0.25%p 인하)을 발표했지만, 뉴욕 증시는 혼조 마감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이번 금리 인하 성격을 '리스크 관리 차원'이라고 언급했지만 경기 침체나 고용 둔화에 대한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는 않은 영향이다. 증권가는 단기적 변동성은 커질 수 있지만 강세장을 이끈 요인들은 훼손되지 않았다고 분석했다.
연준은 18일 오전 3시(한국 시간) 이틀간의 FOMC 회의를 마무리하면서 기준금리를 기존 4.25~4.50%에서 4.00~4.25%로 내리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앞선 5번의 동결 결정 이후 9개월 만에 나온 올해 첫 금리 인하다.
파월 의장은 "최근 지표들은 경제 활동의 성장이 올해 상반기에 완화됐음을 시사한다"며 "일자리 증가는 둔화했고, 실업률은 소폭 상승했으나 여전히 낮은 수준"이라고 말했다. 또 "인플레이션은 상승했으며, 다소 높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그러면서 "경제 전망에 대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태로 고용에 대한 하방 위험이 증가했다고 판단해 금리 인하를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또 연준은 이날 올해 2차례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도 내비쳤다. 올해 말 기준금리 예상치의 중간값을 지난 6월 FOMC 발표(3.9%) 보다 낮춘 3.6%로 제시했는데, 이를 고려하면 10월과 12월 FOMC 회의에서 추가 금리 인하가 나올 수 있다.
이번 금리 인하는 고용하방 위험에 대응하는 보험 성격의 조치인지, 침체가 이미 시작됐다고 판단한 것인지 묻는 질문에는 "리스크 관리 차원의 인하 조치(a risk management cut)"라고 설명했다.
뉴욕증시는 등락을 반복하다 혼조 마감했다. 파월 의장이 금리 인하 성격을 리스크 관리 차원의 조치라고 했지만, 고용 불안을 지속 언급하면서 경기에 대한 우려가 완전히 해소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전날 대비 0.57% 올랐고,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와 나스닥 종합지수는 각각 0.10%, 0.33% 하락 마감했다.
이 같은 상황에 국내 증시는 보합권에서 출발한 것으로 예상된다. 또 향후 단기적인 변동성이 커질 수 있지만, 기존의 모멘텀이 훼손되지 않는다면 상승세가 이어질 전망이다.
박상현 IM증권 연구원은 "9월 파월의장의 기자회견 내용과 성명서 그리고 점도표를 보면 트럼프 대통령의 연준 개입이 본격화되고 있음과 함께 파월 의장 등 미 연준 분위기가 이전처럼 일사분란하기보다 다소 갈팡질팡한다는 뉘앙스를 던져주었다"면서도 "금리 결정의 배경과 상관없이 일단 금융시장은 원하는 결과를 얻었다"고 평가했다.
이어 "미 연준의 금리 인하가 일회성이 아닌 추세적 금리 인하 사이클 진입을 확인시켜 주었다"며 "주식시장을 중심으로 자산 가격 추가 랠리, 즉 에브리씽 랠리가 재연될 가능성이 커졌다"고 전망했다.
한지영 키움증권 연구원은 "일부 매파적인 이야기도 있었으나, 큰 틀에서는 시장의 예상에 벗어나지 않은 결과"라며 "이번 금리 인하는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는 선제적 대응, 보험성 금리 인하로 연말까지 증시에 상방 모멘텀을 부여해줄 수 있는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또 "코스피는 9월 폭등 이후 단기 가격 부담을 소화 중, 9월 FOMC 단기 여진, 엔비디아발 노이즈 등으로 일시적인 가격 변동성에 노출될 수 있겠지만, 이익, 수급, 정책의 긍정적인 조합이 생성되고 있는 상태이기에 연말까지 증시 방향성을 위로 잡고 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조언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