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건스탠리도 돌아섰다"…삼성전자 목표가 상향 러시

기사등록 2025/09/23 05:00:00

최종수정 2025/09/23 10:06:24

삼성전자 8만3500원 마감…14개월 만에 최고치

모건스탠리, 반도체 비관론 접고 '8만전자' 견인

[서울=뉴시스] 배요한 기자 = 미국계 투자은행(IB) 모건스탠리가 반도체 업황에 대한 낙관론을 제시하며 삼성전자에 대한 투자 의견을 상향했다. 지난해까지 반도체 비관론의 '선봉장'이던 모건스탠리의 태세 전환에 힘입어 삼성전자는 '8만전자' 안착에 성공했다. 국내 증권사들도 삼성전자의 목표가를 잇따라 상향하면서 추가 상승 기대감이 더욱 커지고 있다.

23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삼성전자는 전 거래일보다 4.77%(3800원) 오른 8만3500원에 마감했다. 이는 종가 기준으로 지난해 7월 31일(8만3900원) 이후 약 14개월 만의 최고치다. 외국인과 기관은 각각 6675억원, 1595억원을 순매수하며강세 흐름을 주도했다.

이번 주가 상승의 촉매는 모건스탠리의 낙관적 분석이었다. 모건스탠리는 21일(현지 시간) 발표한 '메모리 슈퍼사이클' 보고서에서 한국 반도체 산업에 대한 투자 의견을 기존 '시장 평균 수준(in-line)'에서 '매력적(attractive)'으로 상향 조정했다. 삼성전자에 대해서는 '최선호주(Top Pick)' 의견을 유지하며, 목표주가를 기존 8만6000원에서 9만6000원으로 12% 올렸다.

모건스탠리는 보고서를 통해 "고대역폭메모리(HBM)를 둘러싼 기회가 업계 전반의 성장률을 상회하고 있으며, 인공지능(AI) 서버와 모바일 D램 수요 확대에 따라 범용 메모리 가격 상승세도 탄력을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공급 부족이 전방위적으로 심화되고 있으며, 메모리 산업은 2027년경 정점에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앞서 모건스탠리는 '겨울이 다가온다(Winter Looms)'와 '빙산이 다가온다(The Iceberg Looms)'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반도체 시장에 대한 부정적 전망을 제시한 바 있다. 하지만 5개월 만에 긍정론으로 돌아서며 기존 전망 기조를 뒤집었다. 특히 전날 삼성전자 순매수 상위 창구에서는 모건스탠리가 약 253만주를 사들이며 1위를 차지했다.

모건스탠리의 낙관적 전망을 계기로 국내 증권사들도 삼성전자 목표주가를 잇따라 상향하고 있다. 전날에만 4곳이 목표가를 조정했으며, 미래에셋증권은 가장 높은 목표가인 11만1000원을 제시했다. 이달 들어 삼성전자의 목표가를 상향 조정한 증권사는 총 11곳에 달한다.

김영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예상보다 빠른 메모리 가격 회복에 따라 삼성전자의 내년 D램 평균판매단가(ASP) 상승률을 6.2%포인트 상향 조정했다"며 "HBM4(6세대 HBM)와 1c 나노미터(nm) 공정 전환으로 공급은 여전히 제한적이며, 세트 수요가 회복되면 메모리 가격 강세는 장기화될 수 있다"고 전망했다.

HBM 경쟁이 본격화되며 업황에 대한 기대감도 한층 높아지고 있다. 올해 2분기 기준 HBM 시장 점유율(매출액 기준)은 SK하이닉스가 61%로 1위를 차지했고, 마이크론이 20%, 삼성전자가 19%로 뒤를 이었다. 업계는 삼성전자가 향후 속도전을 통해 점유율을 확대해 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동원 KB증권 연구원은 "삼성전자는 최근 엔비디아로부터 HBM3E 12단 제품의 품질 테스트를 통과해 구매 주문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는 지난해 2월 해당 제품 개발을 완료한 이후 약 18개월 만에 이룬 성과"라고 평가했다.

나아가 "내년 출시될 엔비디아의 차세대 그래픽처리장치(GPU) '루빈(Rubin)'에 탑재될 HBM4에서는 삼성전자가 경쟁사 대비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크다"며 "삼성전자의 HBM4는 데이터 처리 속도에서 공급사 중 가장 높은 수준인 11Gbps를 구현해, 엔비디아의 스펙 상향 요구와 물량 확대 수요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모건스탠리도 돌아섰다"…삼성전자 목표가 상향 러시

기사등록 2025/09/23 05:00:00 최초수정 2025/09/23 10:06:24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