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통증·호흡곤란 유발하는 기흉…흡연자 위험
젊은층에도 예외 없어…자발성 기륭 재발률 50%
![[서울=뉴시스] 26일 의료 인공지능(AI) 뷰노에 따르면 뷰노 메드 체스트 엑스레이는 흉부 엑스레이 영상을 분석해 주요 5개 소견(결절·경화·간질성 음영·흉막 삼출·기흉) 유무를 검출하고 소견의 조합을 통해 판독 가능한 관련 질환(결핵·폐렴)을 제시한다. 높은 판독 정확성으로 임상 환경에서 의료진의 영상 판독 및 폐질환 진단을 보조한다. (사진=뷰노 제공) 2025.03.2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3/28/NISI20250328_0001803476_web.jpg?rnd=20250328115750)
[서울=뉴시스] 26일 의료 인공지능(AI) 뷰노에 따르면 뷰노 메드 체스트 엑스레이는 흉부 엑스레이 영상을 분석해 주요 5개 소견(결절·경화·간질성 음영·흉막 삼출·기흉) 유무를 검출하고 소견의 조합을 통해 판독 가능한 관련 질환(결핵·폐렴)을 제시한다. 높은 판독 정확성으로 임상 환경에서 의료진의 영상 판독 및 폐질환 진단을 보조한다. (사진=뷰노 제공) 2025.03.2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개그계의 대부로 불리던 '전유성'이 폐기흉(기흉) 악화로 별세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기흉에 대한 증상, 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기흉은 폐에 생긴 구멍으로 공기가 새면서 폐 밖(흉막강) 안에 공기가 차는 질환이다.
기흉은 자발성 기흉과 외상성 기흉으로 구분된다. 자발성은 일차성 기흉과 이차성 기흉으로 나뉜다. 일차성 기흉은 건강한 사람에게 발생하며, 폐의 가장 윗부분 흉막에 있는 작은 공기주머니에 의해 발생한다. 일차성 기흉의 원인은 분명하지 않지만 환자의 대부분이 키가 크고 말랐거나 흡연자라는 보고도 있다. 이차성 기흉은 폐질환을 앓고 있던 사람에게 발생한다. 여기에는 결핵, 악성 종양, 폐섬유증,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기종 등이 있다.
외상성 기흉은 교통사고나 뾰족한 것에 가슴을 다쳐 발생하는 것 등을 말한다. 중환자실에서 인공호흡기 등과 같은 기계로 인해 긴장성 기흉이 발생하기도 한다. 긴장성 기흉은 흉강 내 압력이 높아져 호흡곤란, 청색증, 저혈압이 나타나므로 신속한 응급처치가 필요하다.
기흉은 흉통(가슴통증)과 호흡곤란이 주요 증상이다. 흉통은 운동과 관계없이 발생한다. 호흡곤란은 기존에 앓고 있는 폐질환이 없다면 대부분 가벼운 정도다. 하지만 이전에 폐질환이 있었거나 기흉의 정도가 큰 경우에 심하게 나타날 수 있다.
기흉 치료는 크기가 작고 심하지 않은 경우에는 산소를 투여하면서 폐의 구멍이 저절로 아물 때 까지 기다린다. 크기가 크거나 증상이 심하다면 흉강 천자나 흉관 삽관을 하게 된다. 흉관 천자는 주삿바늘로 흉강 내 공기를 빼내어 폐를 팽창시켜 주는 방법이다. 작은 기흉이나 증상이 별로 없는 경우 사용할 수 있다. 흉관 삽관은 기흉이 발생한 흉강 내에 흉관(튜브)을 삽입하고, 반대쪽 끝부분을 물이 담긴 특수한 용기에 연결한 뒤 공기를 뽑아내어 폐를 펴주는 치료법이다.
자발성 기흉은 재발이 매우 흔하다. 일반적으로 50%의 재발률을 보이며, 한번 재발하면 다시 생길 확률이 점점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2차 재발은 70%, 3차 재발은 90%의 확률을 보인다. 재발한 기흉은 수술적 치료가 필요하다.
기흉을 앓고 있다면 담배를 깊이 빨아들이는 행위, 격렬한 운동 후 숨을 가쁘게 쉬는 행위 등을 피해야 한다. 복압 상승과 함께 흉부압을 리는데, 이런 압력은 얇은 흉막에 풍선처럼 부풀어 오른 기포를 쉽게 터지게 하기 때문이다.
또 기흉 진단을 받았거나 재발할 가능성이 있는 사람은 장시간 비행기를 타거나 스킨스쿠버를 하기 전에 반드시 병원을 찾아 전문의와 상담해야 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