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 복구 진행 중…과기정통부 29개 시스템 중 8개만 가동

기사등록 2025/10/05 23:04:59

최종수정 2025/10/05 23:08:35

과방위 이주희 민주당 의원 "과기정통부 시스템 29개 중 21개 마비"

5층 전산실에 11개 시스템 위치…이달 말쯤 복구 가능할 듯

복구 시스템 중 6개는 화재 직접 영향 없는 2~4층 위치

[전주=뉴시스] 강경호 기자 = 29일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주민센터에 민원인들이 민원 업무를 보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2025.09.29. lukekang@newsis.com
[전주=뉴시스] 강경호 기자 = 29일 전북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주민센터에 민원인들이 민원 업무를 보기 위해 기다리고 있다. 2025.09.2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행정안전부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센터 화재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소관 29개 정보시스템 중 21개가 정상 작동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로 인해 과기정통부 대표 홈페이지, 민원처리시스템, 업무포털을 비롯해 국립전파연구원과 우정사업본부 등 산하기관 일부 시스템이 가동되지 않고 있다.

5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이주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과기정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손실 추정 및 지장 있는 소관 데이터 현황’ 자료에 따르면, 이날 오후 6시 기준 29개 시스템 중 복구가 완료된 것은 8개 수준이다.

화재가 발생한 국정자원 5층 7-1 전산실에는 주파수자원분석 시스템이 위치해 있으며, 데이터 소실이 예상된다. 다만 관련 데이터를 국립전파연구원 내부 시스템에도 추가로 보유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조사됐다.

7-1 전산실 외 5층에 위치한 9개 시스템은 1일에서 최대 1개월치 데이터 손실 가능성이 있다. 5층 미복구 시스템은 과기정통부 대표 홈페이지, 업무포털, 스마트국회, 자료공유시스템, 감사정보,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홈페이지, 우정사업본부 행정포털, 차세대 교육플랫폼 등이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우체국 쇼핑 데이터와 물류 데이터베이스는 기존 구 서버를 활용해 복구를 추진하고, 다른 시스템도 국정자원 백업 데이터와 개인 PC 보유 데이터를 활용해 최대한 복구를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5층 시스템의 복구 일정은 상당 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7-1 전산실의 주파수자원분석 시스템은 대구센터로 이전해 10월 말 복구를 목표로 하고 있으며, 7~8전산실에 위치한 8개 시스템은 국정자원 대전센터 4층으로 이전해 10월 중하순 복구될 예정이다.

직접적인 화재 영향이 없는 2~4층에는 18개 시스템 중 6개가 복구됐다. 냉각탑 전원케이블과 항온항습기 복구가 완료돼 행안부 조치계획에 따라 순차 재가동이 진행 중이다.

복구된 시스템은 우정사업본부 우체국차세대종합금융, 통합경영관리시스템, 인재원학사행정, 전자결재, 표준기록관리시스템, 인터넷우체국, 지능형우편정보 등이다. 국립전파연구원 중에서는 전파방송통신 부분이 정상화됐다.

현재 과기정통부와 산하기관들은 비상 대응 체계로 업무를 이어가고 있다. 대표 홈페이지가 중단된 기관들은 SNS 채널과 대표전화로 안내하고 있으며, 민원처리시스템이 마비된 곳은 콜센터 전화접수, 서신, 직접방문 등으로 접수를 받고 있다.

업무포털, 스마트국회, 도서관시스템, 자료공유, 감사정보공유 등은 이메일 등 대체 수단을 활용 중이고 회계정보분석시스템과 종합상황보고, IT종합상황관리는 수기 관리 중이다.

국립전파연구원 TVWS 가용채널은 기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오프라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정사업본부 행정포털시스템은 구메일 시스템으로 대체 운영 중이다.

국정자원 화재는 지난달 26일 발생했다. 화재로 멈춘 시스템 647개 가운데 전날 오후 6시 기준 134개(20.7%)가 복구됐다. 이 중 1등급 시스템 36개 중에서는 22개(61.1%)가 복구됐다. 화재로 직접 피해를 입은 정보시스템 96개는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 클라우드존으로 이전이 진행 중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국정자원 화재 복구 진행 중…과기정통부 29개 시스템 중 8개만 가동

기사등록 2025/10/05 23:04:59 최초수정 2025/10/05 23:08:35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