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이틀 지나도 가시지 않는 피로…혹시 '이 질환' 때문?

기사등록 2025/10/18 18:01:00

만성피로증후군, 활동 후 오히려 증상이 악화일

일부서 어지럼·심계항진·기억력·집중력 저하 동반

적절한 검사를 할 수 있는 의료기관 방문을 권장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추석을 하루 앞둔 지난 5일 경부고속도로 잠원IC 하행선에 귀성길 차량 행렬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서행하고 있다. 2025.10.05.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추석을 하루 앞둔 지난 5일 경부고속도로 잠원IC 하행선에 귀성길 차량 행렬이 꼬리에 꼬리를 물며 서행하고 있다. 2025.10.0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송종호 기자 = 연휴가 끝나면 대부분의 사람이 하루나 이틀 정도 느슨해진 몸 상태를 경험한다. 문제는 '며칠만 지나면 괜찮아지겠지' 하며 버텼는데도 피로감이 사라지지 않는 경우다. 잠을 충분히 자도 개운하지 않고, 가벼운 활동 뒤에 오히려 탈진이 심해지며 업무나 학업의 집중력이 확연히 떨어진다면 단순한 명절 후유증을 넘어 만성피로증후군을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18일 의료계에 따르면 명절 후유증은 수면·식사 시간의 불규칙, 과음·과식, 장거리 이동과 가사 노동이 겹치며 생기는 일시적 컨디션 저하로 보통 일주일 안팎에 회복된다.

반면 만성피로증후군은 뚜렷한 원인 없이 피로가 6개월 이상 지속되고, 활동 후 오히려 증상이 악화되며, 자고 일어나도 상쾌하지 않은 수면이 반복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부에서는 어지럼, 심계항진, 기억력·집중력 저하가 동반되기도 한다.

연휴가 끝난 뒤, 수 일이 지나도록 컨디션의 ‘회복 곡선’이 보이지 않으면 자기 점검이 필요하다. 연휴 이전의 생활패턴으로 돌아갈 필요가 있다. 우선 수면을 바로잡는다. 평일과 주말의 취침·기상 시차를 줄이고 낮잠은 짧게 제한해 밤잠의 질을 지킨다. 욕심내서 무리한 운동을 지속하는 것도 금물이다.

고려대학교 안암병원 가정의학과 김양현 교수는 "연휴 직후의 피로는 대개 생활 리듬을 회복하면 개선되지만, 일정 기간이 지나도, 평소 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의 피로감이 이어지고 활동 후 악화, 비회복성 수면, 인지·자율신경 증상 같은 핵심 징후가 겹친다면 만성화의 신호로 볼 수 있다"며 "주간 햇빛 노출과 야간 인공 빛 차단으로 생체 리듬을 재정렬하고, 가벼운 운동은 활력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생활습관의 개선으로도 피로가 가시지 않거나 집중력 저하 등의 증상이 지속된다면 만성피로증후군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원인을 확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빈혈, 갑상선 기능 이상, 간 기능, 신장 기능, 혈당, 비타민D, 철분 상태 등 기본 혈액검사를 통해 원인질환의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더불어 수면장애, 우울, 불안, 약물 부작용 여부도 확인해볼 필요가 있다.

김양현 교수는 "장기간 이어지는 피로감이 만성피로증후군 일수도 있지만, 다른 질병의 원인으로 피로감이 지속되는 경우도 많다"라며 "피로감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원인 질환 여부 감별 및 조기 발견을 위해 빠른 시간내에 적절한 검사를 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방문하는 것이 권장된다"라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하루, 이틀 지나도 가시지 않는 피로…혹시 '이 질환' 때문?

기사등록 2025/10/18 18:01:00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