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AP/뉴시스]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주에서 열린 만찬 행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사진을 찍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한국과의 무역 협상을 "거의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2025.10.29.](https://img1.newsis.com/2025/10/29/NISI20251029_0000752849_web.jpg?rnd=20251029192910)
[경주=AP/뉴시스]이재명 대통령이 29일 경주에서 열린 만찬 행사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사진을 찍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미국이 한국과의 무역 협상을 "거의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2025.10.29.
[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한국과 미국이 3500억 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 패키지의 세부 내용에 합의한 29일 미국 백악관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수십억 달러 규모의 추가적인 거래를 성사시켰다고 발표했다.
백악관은 이날 이 같은 내용의 한미 무역합의 관련 팩트시트를 발표해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계획을 소개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362억달러 규모의 보잉항공기 103대를 신규 구매하고, 137억달러 규모의 GE 에어로스페이스 최신 엔진 구매 계약도 체결했다.
또한 한국 공군은 23억달러 규모 계약을 통해 L3해리스 테크놀로지스를 새로운 공종조기경보통제기 개발 사업자로 선정했다. 미국의 리엘리먼트 테크놀로지스와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국 내 이동성 자석에 초점을 둔 희토류 분리 및 정제, 자석 생산 통합 단지를 공동 설립할 계획이라고도 전했다.
미국의 에너지 산업과 관련해서는 한국가스공사가 연간 330만톤 규모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를 구매하기로 했다고 적시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국의 센트러스 에너지와 협력해 오하이오주 파이크턴의 우라늄 농축 생산능력 확대를 지원하기로 합의했으며, LG 전선이 2030년까지 미국 전력망 인프라 분야에 총 3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란 점도 언급했다.
아울러 백악관은 한미가 기술 번영 협정을 체결해 미국의 인공지능(AI) 수출, AI 표준화, AI 도입 확대, 연구 보안, 6G, 바이오테크 공급망, 양자기술 혁신 등에 중점을 두고 과학기술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아마존은 2031년까지 50억달러를 투자해 한국 내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며, 미 항공우주국(NASA) 달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 II' 임무에 한국 위성이 탑재돼 우주 방사선 측정에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미는 핵심 광물 채굴 및 정제 과정서 공공과 민간 협력을 강화해 핵심 광물 공급망의 안정화와 다변화에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약속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백악관은 미국 조선 산업의 현대화와 생산 능력 확충을 위한 한국의 투자를 유치했다고도 알렸다.
HD현대와 서버러스 캐피털 매니지먼트가 손을 잡고 미국 조선소 현대화, 공급망 강화, 자율 항해·디지털화·자동화 등 신기술 적용을 위한 50억달러 공동 투자 프로그램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삼성중공업의 경우 비거 마린 그룹과 미 해군 선박 정비·수리·개조(MRO), 조선소 자동화, 미국 국적 선박의 신규건조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고 언ㅇ급했다.
필라델피아 조선소를 인수한 한화오션에 대해서도 생산능력을 10배 이상 확대하기 위한 50억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고 소개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국빈방문은 한미간 굳건한 동맹을 재확인하고,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진시켜 미국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가져다주고 있다"고 자평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백악관은 이날 이 같은 내용의 한미 무역합의 관련 팩트시트를 발표해 한국 기업들의 대미 투자 계획을 소개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대한항공은 362억달러 규모의 보잉항공기 103대를 신규 구매하고, 137억달러 규모의 GE 에어로스페이스 최신 엔진 구매 계약도 체결했다.
또한 한국 공군은 23억달러 규모 계약을 통해 L3해리스 테크놀로지스를 새로운 공종조기경보통제기 개발 사업자로 선정했다. 미국의 리엘리먼트 테크놀로지스와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국 내 이동성 자석에 초점을 둔 희토류 분리 및 정제, 자석 생산 통합 단지를 공동 설립할 계획이라고도 전했다.
미국의 에너지 산업과 관련해서는 한국가스공사가 연간 330만톤 규모의 미국산 액화천연가스(LNG)를 구매하기로 했다고 적시했다.
한국수력원자력과 포스코인터내셔널은 미국의 센트러스 에너지와 협력해 오하이오주 파이크턴의 우라늄 농축 생산능력 확대를 지원하기로 합의했으며, LG 전선이 2030년까지 미국 전력망 인프라 분야에 총 30억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란 점도 언급했다.
아울러 백악관은 한미가 기술 번영 협정을 체결해 미국의 인공지능(AI) 수출, AI 표준화, AI 도입 확대, 연구 보안, 6G, 바이오테크 공급망, 양자기술 혁신 등에 중점을 두고 과학기술 협력을 확대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아마존은 2031년까지 50억달러를 투자해 한국 내 클라우드 인프라를 구축할 예정이며, 미 항공우주국(NASA) 달탐사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 II' 임무에 한국 위성이 탑재돼 우주 방사선 측정에 나설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한미는 핵심 광물 채굴 및 정제 과정서 공공과 민간 협력을 강화해 핵심 광물 공급망의 안정화와 다변화에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약속했다고 백악관은 전했다.
백악관은 미국 조선 산업의 현대화와 생산 능력 확충을 위한 한국의 투자를 유치했다고도 알렸다.
HD현대와 서버러스 캐피털 매니지먼트가 손을 잡고 미국 조선소 현대화, 공급망 강화, 자율 항해·디지털화·자동화 등 신기술 적용을 위한 50억달러 공동 투자 프로그램을 추진한다고 설명했다.
삼성중공업의 경우 비거 마린 그룹과 미 해군 선박 정비·수리·개조(MRO), 조선소 자동화, 미국 국적 선박의 신규건조 분야에서 협력하기로 했다고 언ㅇ급했다.
필라델피아 조선소를 인수한 한화오션에 대해서도 생산능력을 10배 이상 확대하기 위한 50억달러 규모의 인프라 투자 계획을 발표했다고 소개했다.
백악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한국 국빈방문은 한미간 굳건한 동맹을 재확인하고, 미국의 경제적 이익을 증진시켜 미국 국민들에게 실질적인 혜택을 가져다주고 있다"고 자평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