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시스] 광주시의사회 . (사진=뉴시스DB).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2/09/20/NISI20220920_0001089333_web.jpg?rnd=20220920155953)
[광주=뉴시스] 광주시의사회 . (사진=뉴시스DB).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광주=뉴시스]변재훈 기자 = 광주시의사회장이 정부의 의과대학 정원 증원에 반발, 동맹 휴학한 의대생들의 제적(학적 말소) 등 피해를 우려하며 복귀를 호소했다.
26일 광주 지역 의료계에 따르면 최정섭 시 의사회 회장은 전날 오후 열린 39차 정기대의원 총회에서 "의대생들의 피해가 염려된다. 잘못된 증원 정책에 대한 투쟁 정신은 높히 존중하지만 이제는 잠시 숨을 고르고 휴전해 전열을 정비, 다음에 대비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가장 약자이며 희생자인 의대생들이 합당한 명분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의료계가 결집해야 한다"고도 했다.
의정 갈등에 따른 의료 붕괴 위기에 대한 정부 책임론을 거론하면서도 출구 전략 필요성을 강조했다.
최 회장은 "정부 오판에 따른 의료 농단으로 지역 의료 붕괴와 필수의료의 몰락, 대한민국 최선진의료가 급속히 파괴돼 회복에는 10년 이상 걸릴 수 있다. 정부에서 제시한 '필수의료 패키지'의 수정 보완과 전공의 7대 요구안 재심의, 1·2차 의료개혁 특위의 문제점을 대한의사협회에서 이의 제기해야 한다. 의협과 정부가 극적 합의, 전공의·의대생 복귀로 국가 의료시스템이 정상화가 되기를 기원한다"고 말했다.
시 의사회는 정기 총회에서 무책임한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의료사고처리법 조속 제정, '국민 건강 보호' 의료법 체계의 엄격 준수 등을 골자로 하는 결의문도 채택했다.
한편, 의대 증원 정책에 반발해 지난해부터 동맹 휴학 중인 전남대 의대생 650여 명과 조선대 의대생 689명 중 대다수는 올 1학기에도 복학을 신청하지 않고 있다.
정부와 각 대학들이 의대 휴학생들에 대해 올 1학기부터는 학사 유연화 등 특례는 없다고 거듭 강조하며 미등록에 따른 제적 방침을 고수하고 있어, 대규모 제적 우려가 현실화되고 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