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尹 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차기 대통령 언급도(종합)

기사등록 2025/04/04 22:50:00

尹 파면 관련 질의에 "민주적 제도·합법적 절차"

"새 대통령 선출까지 한덕수 대행과 협력 전념"

尹·트럼프 이른 통화로 기대감…파면으로 종지부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6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발언하고 있다. 2025.04.04.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지난달 26일(현지 시간) 백악관 집무실에서 기자들에게 발언하고 있다. 2025.04.04.
[워싱턴=뉴시스] 이윤희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4일(현지 시간) 헌법재판소가 만장일치로 윤석열 전 대통령을 파면한 것을 민주적 제도와 적법한 절차로 평하며 존중한다고 밝혔다.

미국 국무부는 이날 윤 전 대통령 파면과 관련한 뉴시스 서면논평 요청에 "미국은 한국의 민주적 제도, 합법적 절차 그리고 헌재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답변했다.

이어 "미국은 한미동맹의 안정성과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새로운 대통령이 선출될 때까지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항 겸 국무총리 그리고 한국 정부와 협력하는데 전념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미국은 양국 모두의 안보와 번영을 가져다줄 긴밀한 협력의 미래를 기대한다"며 "한미동맹의 지속적인 힘과 한국 방위에 대한 우리의 철통같은 공약을 재확인한다"고 부연했다.

트럼프 행정부가 윤 전 대통령 파면에 대한 입장을 밝힌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헌재는 전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한 탄핵심판 청구 선고기일을 열고 전원일치 의견으로 파면을 결정했다. 한국시간으로 오전 11시22분 선고가 이뤄지면서 윤 전 대통령의 대통령 신분도 사라졌다.

윤 전 대통령이 낙마하면서 트럼프 대통령과의 인연도 더이상 이어지기 어렵게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해 11월 대선 승리 직후 당선인 신분으로 윤 전 대통령과 통화하며 향후 협력을 다짐했다. 당시 통화는 미국의 아시아 최우방으로 꼽히는 일본보다도 빨리 이뤄져 기대감을 높였다.

하지만 윤 전 대통령의 비상 계엄 선포 이후 그러한 기대감은 수포로 돌아갔다. 조 바이든 당시 미국 행정부는 비상 계엄이 오판이라고 공개적으로 비판했고,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에도 양국 고위급 외교는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윤 전 대통령 지지세력 일각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취임 후 한국 상황에 적극 관여해 탄핵을 막을 것이란 주장도 제기됐으나,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 상황에 관심이 없었고 공개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취임 후 철강 및 알루미늄 관세, 자동차 관세에 더해 모든 한국산 수입품에 대한 25% 관세를 발표했다.

최고위급 협상이 간절하지만, 대통령이 파면되면서 첫 한미 정상회담은 아무리 빨라도 6월 이후에야 이뤄질 전망이다. 6월 초 대선이 치러지면 즉시 새정부가 출범하지만, 행정부를 정비한 뒤 실무회담이 선행돼야 하는 점을 감안하면 사실상 6월도 쉽지 않아 보인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美, 尹 파면에 "헌재 결정 존중"…차기 대통령 언급도(종합)

기사등록 2025/04/04 22:50:00 최초수정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