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지율 상승세에도 정권교체론 온전히 흡수 못해
'절대권력' 반감도 부담…국힘 '이재명 포비아' 공세
대법 속도전에 선거법 '대선 전 결론' 가능성도
![[고양=뉴시스] 조성우 기자 =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 후보가 두 팔을 들어 보이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27.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4/27/NISI20250427_0020787731_web.jpg?rnd=20250427172107)
[고양=뉴시스] 조성우 기자 = 27일 경기도 고양시 킨텍스에서 열린 제21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을 위한 수도권·강원·제주 합동연설회에서 이재명 후보가 두 팔을 들어 보이고 있다. (공동취재) 2025.04.2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이재명 전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27일 이변 없이 민주당 대선 후보로 선출되며 본선행 티켓을 거머쥐었으나 '대권의 꿈'까지 이루기 위해서는 넘어야 할 장애물이 적지 않다.
정권교체론이 정권연장론을 상회하는 여론 지형은 이 후보에게 유리하지만 오랜 숙제인 확장성 부족, 비토론, '절대 권력' 독주에 대한 견제 심리 등은 부담이다. 발목을 잡았던 사법 리스크도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로 부담을 더는 듯했지만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심리에 속도를 내며 '대선 전 결론' 가능성까지 점쳐지며 다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 후보에게 지지율 확장과 높은 비호감도는 고질적인 숙제다. 한국갤럽이 지난 22~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5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이 후보 지지율은 38%로 집계됐다. 40%의 벽을 뚫지 못했다. 특히 중도층은 29%, 무당층은 66%가 의견을 유보했다.
갤럽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6.5%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 후보 지지율은 상승하는 추세지만 이마저도 '정권 교체' 여론이 50%에 달한 점을 감안하면 "이 대표가 정권교체 민심을 온전히 흡수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력한 팬덤만큼 그에 상응하는 비토층이 존재해 중도 확장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
일방 독주에 대한 견제 심리도 이 후보가 넘어서야 할 산이다. 당 일각에서는 "지나친 이재명 쏠림 현상에 반감을 품은 여론도 적지 않다. 이재명 일극체제가 부각될수록 본선에서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동연 후보도 "특정 후보가 일방적인 표를 가져가는 것은 건강한 민주당을 위해, 또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더욱이 민주당을 포함한 구야권 의석수는 190석이다. 압도적 다수로 개헌(200석)만 빼면 모든 입법이 가능하다. 여기에 행정권까지 거머쥐면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을 무력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법부와 감사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국정원장 등 권력기관의 임명권 확보로 사실상 '단독 국정운영'이 가능해진다는 말도 나온다. 사실상의 '절대 권력'을 쥐어주는 것에 대한 반감이 존재한다.
사법 리스크도 대선을 40일도 채 남겨 놓지 않는 상태에서 되살아났다.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심리 중인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속도전에 나서며 대선 전 결론 가능성도 제기되면서다.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아 안심했던 이 후보와 민주당은 다시 긴장 모드에 들어갔다.
민주당은 대선 전 결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고 있지만 선거전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무죄가 확정될 경우 상관 없지만, 유죄 취지 파기환송이라도 될 경우 타격이 불가피해진다. 이 경우 대통령의 불소추 특권을 명시한 '헌법 84조'를 둘러싼 논쟁도 다시 불붙을 수 있다.
당장은 거세지는 국민의힘의 네거티브 공세를 방어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번 대선의 시대적 명령은 윤 전 대통령의 퇴장과 함께 이 전 대표가 정치 무대에서 동시에 사라지는 것이라며 일찌감치 '이재명 불가론'을 띄웠다. 국민의힘 잠룡들도 하나같이 이 전 대표를 정조준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포비아'도 부추기며 견제에 나서고 있다. 권 원내대표는 "이 전 대표가 의회 권력을 넘어 국가권력을 완전히 손에 쥔다면 독선과 보복의 칼을 잔인하게 휘두르며 대한민국을 분열과 내전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을 것이 불 보듯 뻔하다"고 주장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 전 대표가 현 지지층을 넘어 외연을 얼마나 넓힐 수 있을지가 조기 대선의 관전 포인트 중 하나"라며 "재점화하는 사법 리스크와 반이재명 비토 여론을 극복할 수 있을지도 관건"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정권교체론이 정권연장론을 상회하는 여론 지형은 이 후보에게 유리하지만 오랜 숙제인 확장성 부족, 비토론, '절대 권력' 독주에 대한 견제 심리 등은 부담이다. 발목을 잡았던 사법 리스크도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 항소심 무죄로 부담을 더는 듯했지만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심리에 속도를 내며 '대선 전 결론' 가능성까지 점쳐지며 다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
이 후보에게 지지율 확장과 높은 비호감도는 고질적인 숙제다. 한국갤럽이 지난 22~24일 전국 만 18세 이상 유권자 1005명을 대상으로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한 결과 이 후보 지지율은 38%로 집계됐다. 40%의 벽을 뚫지 못했다. 특히 중도층은 29%, 무당층은 66%가 의견을 유보했다.
갤럽 조사는 무작위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 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6.5%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 후보 지지율은 상승하는 추세지만 이마저도 '정권 교체' 여론이 50%에 달한 점을 감안하면 "이 대표가 정권교체 민심을 온전히 흡수하지 못하고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강력한 팬덤만큼 그에 상응하는 비토층이 존재해 중도 확장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시각도 적지 않다.
일방 독주에 대한 견제 심리도 이 후보가 넘어서야 할 산이다. 당 일각에서는 "지나친 이재명 쏠림 현상에 반감을 품은 여론도 적지 않다. 이재명 일극체제가 부각될수록 본선에서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김동연 후보도 "특정 후보가 일방적인 표를 가져가는 것은 건강한 민주당을 위해, 또 압도적 정권교체를 위해 바람직하지 않다"고 했다.
더욱이 민주당을 포함한 구야권 의석수는 190석이다. 압도적 다수로 개헌(200석)만 빼면 모든 입법이 가능하다. 여기에 행정권까지 거머쥐면 대통령 재의요구권(거부권)을 무력화할 수 있는 것은 물론 사법부와 감사원장, 검찰총장, 경찰청장, 국정원장 등 권력기관의 임명권 확보로 사실상 '단독 국정운영'이 가능해진다는 말도 나온다. 사실상의 '절대 권력'을 쥐어주는 것에 대한 반감이 존재한다.
사법 리스크도 대선을 40일도 채 남겨 놓지 않는 상태에서 되살아났다.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을 심리 중인 대법원 전원합의체가 속도전에 나서며 대선 전 결론 가능성도 제기되면서다. 항소심에서 무죄를 선고받아 안심했던 이 후보와 민주당은 다시 긴장 모드에 들어갔다.
민주당은 대선 전 결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보고 있지만 선거전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는 분위기다. 무죄가 확정될 경우 상관 없지만, 유죄 취지 파기환송이라도 될 경우 타격이 불가피해진다. 이 경우 대통령의 불소추 특권을 명시한 '헌법 84조'를 둘러싼 논쟁도 다시 불붙을 수 있다.
당장은 거세지는 국민의힘의 네거티브 공세를 방어해야 하는 상황에 놓였다. 권성동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번 대선의 시대적 명령은 윤 전 대통령의 퇴장과 함께 이 전 대표가 정치 무대에서 동시에 사라지는 것이라며 일찌감치 '이재명 불가론'을 띄웠다. 국민의힘 잠룡들도 하나같이 이 전 대표를 정조준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재명 포비아'도 부추기며 견제에 나서고 있다. 권 원내대표는 "이 전 대표가 의회 권력을 넘어 국가권력을 완전히 손에 쥔다면 독선과 보복의 칼을 잔인하게 휘두르며 대한민국을 분열과 내전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을 것이 불 보듯 뻔하다"고 주장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이 전 대표가 현 지지층을 넘어 외연을 얼마나 넓힐 수 있을지가 조기 대선의 관전 포인트 중 하나"라며 "재점화하는 사법 리스크와 반이재명 비토 여론을 극복할 수 있을지도 관건"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