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치매학회 '치매 대응 3대 정책' 제안
2050년 국가치매관리비용 103조 웃돌아
치매관리주치의 시범사업 본사업 전환을
![[서울=뉴시스]치매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선 초고령화 시대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치매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치매 관리 상담료 건강보험 적용, 치매관리 주치의 제도 활성화 등 치매 진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25.05.25.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3/09/19/NISI20230919_0001368949_web.jpg?rnd=20230919171248)
[서울=뉴시스]치매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선 초고령화 시대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치매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치매 관리 상담료 건강보험 적용, 치매관리 주치의 제도 활성화 등 치매 진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사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2025.05.25.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백영미 기자 = 치매 인구가 100만 명을 넘어선 초고령화 시대 사회·경제적 부담이 큰 치매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려면 치매 관리 상담료 수가 도입을 통한 보상 확대, 치매관리 주치의 제도 활성화 등 치매 진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이 확대돼야 한다는 제언이 나왔다.
대한치매학회는 새 정부를 향해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더 이상 고통받지 않도록 ▲치매 관리 상담료 수가 도입 등 치매 치료 혁신 ▲치매 정책 연구 활성화를 통한 K고령화 극복 모델 개발 ▲지역사회 중심 치매 환자 관리 시스템 확립 등 ‘치매 대응 3대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25일 밝혔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60세 이상 인구는 약 1365만 명이다. 이중 7.4%(약 101만400여 명)가 치매 환자로 추정되고 있다.
치매는 사회·경제적 부담이 매우 큰 질환이다. 보건복지부 '치매 관리 주치의 시범사업' 통계를 보면 지난 2023년 기준 의료비, 간병비 등 치매 환자 1인당 연간 관리 비용은 약 2200만 원에 달했다. 복지부가 2020년 발표한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을 보면 2050년 국가 치매 관리 비용은 약 103조1천억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약 3.8%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학회는 치매 치료 분야의 혁신을 위해 치매 관련 진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치매 환자의 경우 가족들에게 관리법을 설명할 필요가 있지만 보상이 부진해 진료 현장에서 원활한 설명이 어려운 실정이다.
학회는 "치매 관리 상담료(현재 1만5370원)에 대한 수가가 도입돼야 하고, 시범사업으로 진행 중인 치매관리주치의 제도도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본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치매 관리 상담료란 치매 환자나 가족이 치매안심센터나 보건소에서 제공받는 치매 관리 상담 서비스 비용을 말한다.
학회는 치매 관리 상담료에 수가를 도입해 치매환자 가족의 부양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치매 환자 치료 효과를 높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치매 관리 주치의 시범사업은 치매 환자가 지역의 치매 관리 주치의에게 치매 뿐만 아니라 고혈압·당뇨 등 전반적인 건강문제에 대해 체계적으로 치료와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서비스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켐비' 등 치매 신약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학회는 치매 신약 사용을 위한 생체지표 검사와 신약의 건강보험 급여화 등 국가 차원의 치료 보장성 강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도 밝혔다.
대한치매학회는 새 정부를 향해 치매 환자와 가족들이 더 이상 고통받지 않도록 ▲치매 관리 상담료 수가 도입 등 치매 치료 혁신 ▲치매 정책 연구 활성화를 통한 K고령화 극복 모델 개발 ▲지역사회 중심 치매 환자 관리 시스템 확립 등 ‘치매 대응 3대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25일 밝혔다.
중앙치매센터에 따르면 2023년 기준 국내 60세 이상 인구는 약 1365만 명이다. 이중 7.4%(약 101만400여 명)가 치매 환자로 추정되고 있다.
치매는 사회·경제적 부담이 매우 큰 질환이다. 보건복지부 '치매 관리 주치의 시범사업' 통계를 보면 지난 2023년 기준 의료비, 간병비 등 치매 환자 1인당 연간 관리 비용은 약 2200만 원에 달했다. 복지부가 2020년 발표한 '제4차 치매관리종합계획'을 보면 2050년 국가 치매 관리 비용은 약 103조1천억 원으로 국내총생산(GDP)의 약 3.8%에 달할 것으로 전망됐다.
학회는 치매 치료 분야의 혁신을 위해 치매 관련 진료 활성화를 위한 제도적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밝혔다. 치매 환자의 경우 가족들에게 관리법을 설명할 필요가 있지만 보상이 부진해 진료 현장에서 원활한 설명이 어려운 실정이다.
학회는 "치매 관리 상담료(현재 1만5370원)에 대한 수가가 도입돼야 하고, 시범사업으로 진행 중인 치매관리주치의 제도도 적극적인 지원을 통해 본사업으로 전환해야 한다"고 밝혔다.
치매 관리 상담료란 치매 환자나 가족이 치매안심센터나 보건소에서 제공받는 치매 관리 상담 서비스 비용을 말한다.
학회는 치매 관리 상담료에 수가를 도입해 치매환자 가족의 부양 스트레스를 경감하고 치매 환자 치료 효과를 높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치매 관리 주치의 시범사업은 치매 환자가 지역의 치매 관리 주치의에게 치매 뿐만 아니라 고혈압·당뇨 등 전반적인 건강문제에 대해 체계적으로 치료와 관리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의료 서비스다.
알츠하이머병 치료제 '레켐비' 등 치매 신약 개발이 활발한 가운데, 학회는 치매 신약 사용을 위한 생체지표 검사와 신약의 건강보험 급여화 등 국가 차원의 치료 보장성 강화를 적극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도 밝혔다.
![[안양=뉴시스] 안양시가 치매 예방에 주력하는 가운데 '찾아가는 치매 조기 검진' 현장을 찾은 한 사회복지사가 상담에 나서고 있다.(사진=안양시 제공). 2025.05.18.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5/18/NISI20250518_0001845031_web.jpg?rnd=20250518075319)
[안양=뉴시스] 안양시가 치매 예방에 주력하는 가운데 '찾아가는 치매 조기 검진' 현장을 찾은 한 사회복지사가 상담에 나서고 있다.(사진=안양시 제공). 2025.05.18. [email protected].
학회는 "치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 치매의 초기 단계인 경도인지장애·경증 치매 단계에서 보다 적극적인 의료적 개입이 이뤄질 경우 중증 치매로의 이환을 지연시키고 인지기능 상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면서 "적시에 효과적으로 치료해 치매로 인해 발생하는 의료비와 간병부담 등 사회경제적 비용의 절감을 유도할 수 있다"고 말했다.
정부의 상급종합병원 평가에서 치매 환자 비율이 높아도 병원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치매 진료 분야에서 혁신이 이어지려면 상급종합병원에서의 진단과 치료가 일정 부분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 치매는 중증질환으로 분류돼 있지 않아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를 꺼리는 실정이다. 정부의 상급종합병원 평가에서 병원이 높은 점수를 받으려면 중증 환자의 비율이 중요하다. 하지만 국내 사망 원인 7위인 알츠하이머 치매는 경증질환으로 분류돼 있다.
우리나라도 치매 신약 치료 환자군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투자가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세계 각국은 치매 신약 개발 이후 치매 신약 치료 대상 환자들을 위한 데이터 확보를 위한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다. 데이터는 효율적인 치매 환자 관리와 더불어 치매신약 시장 확대에 따른 정보 확보 차원에서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다고 학회는 보고 있다.
이 밖에도 학회는 치매 조기검진 사업 정비를 통해 지역사회 중심 치매 환자 관리 시스템을 확립해 사회적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현행 치매 검진 제도는 검진 건수 올리기에 치중하다 보니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신약 치료 대상 발굴에 한계가 있어 치매 예방과 관리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학회는 "치매 환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관련된 생체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생체 표지자 검사가 확대될 수 있도록 검사 건강보험 급여화 추진 및 최신 검사 기술의 적극적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정부의 상급종합병원 평가에서 치매 환자 비율이 높아도 병원이 불이익을 받지 않도록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치매 진료 분야에서 혁신이 이어지려면 상급종합병원에서의 진단과 치료가 일정 부분 이뤄져야 한다. 하지만 현재 치매는 중증질환으로 분류돼 있지 않아 상급종합병원에서 진료를 꺼리는 실정이다. 정부의 상급종합병원 평가에서 병원이 높은 점수를 받으려면 중증 환자의 비율이 중요하다. 하지만 국내 사망 원인 7위인 알츠하이머 치매는 경증질환으로 분류돼 있다.
우리나라도 치매 신약 치료 환자군에 대한 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해 투자가 필요하다는 제언도 나왔다. 세계 각국은 치매 신약 개발 이후 치매 신약 치료 대상 환자들을 위한 데이터 확보를 위한 투자에 적극 나서고 있다. 데이터는 효율적인 치매 환자 관리와 더불어 치매신약 시장 확대에 따른 정보 확보 차원에서 중요한 자산이 될 수 있다고 학회는 보고 있다.
이 밖에도 학회는 치매 조기검진 사업 정비를 통해 지역사회 중심 치매 환자 관리 시스템을 확립해 사회적 부담을 줄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다. 현행 치매 검진 제도는 검진 건수 올리기에 치중하다 보니 경도인지장애와 치매 신약 치료 대상 발굴에 한계가 있어 치매 예방과 관리가 미흡하다는 것이다.
학회는 "치매 환자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관련된 생체지표를 확인할 수 있는 검사들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면서 "생체 표지자 검사가 확대될 수 있도록 검사 건강보험 급여화 추진 및 최신 검사 기술의 적극적 도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