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용범 정책실장 주재 관계부처 대책회의
"조속한 협의보다 국익 관철이 더욱 중요"
'방미' 위성락 안보실장, 루비오 국무와 협상
위 "조속한 정상회담" 美 "관세부과 전까지 합의"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7.08. bjk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08/NISI20250708_0020879894_web.jpg?rnd=20250708104210)
[서울=뉴시스] 고범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8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5.07.08.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김지은 기자 = 미국이 다음 달 1일부터 우리나라에 25% 상호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통보하자 대통령실은 경제·안보 라인을 투입해 총력 대응에 나섰다. 미국이 애초 예고한 관세 부과 유예기간 만료일이 8일인 것을 고려하면 3주 정도 더 시간을 벌게 됐다고 보는 기류도 감지된다. 대통령실은 '속도보다 국익' 기조에 무게를 실으며 남은 기간 한-미 협상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대통령실은 8일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 주재하에 관계 부처 대책회의를 소집했다. 이날 회의에는 대통령실에선 하준경 경제성장수석, 오현주 국가안보실 3차장이 참여했다. 관계 부처에서는 윤창렬 국무조정실장, 이형일 기획재정부 1차관, 문신학 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김진아 외교부 2차관이 자리했다.
김 실장은 회의에서 "새 정부 출범 이후 한 달 남짓한 기간 동안 양국 간 호혜적 결과 도출을 위해 최선을 다했지만 최종 합의까지 도달하기에는 시간이 부족했다"면서도 "당장 관세율이 인상되는 상황은 피했고, 7월 말까지 대응 시간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조속한 협의가 중요하지만, 국익을 관철하는 것이 더욱 중요한 가치"라며 국익을 최우선으로 미국과의 협상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또 수출 등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점검하고, 관세 부과 시 직격탄을 맞게 될 자동차와 철강 등 관련 업종에 대한 지원 대책을 차질 없이 이행해달라고 주문했다. 대미국 무역 의존도를 줄이는 시장 다변화 등 수출대책 보강도 지시했다.
![[서울=뉴시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이 7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안보실장 협의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5.07.08.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7/08/NISI20250708_0020879931_web.jpg?rnd=20250708110036)
[서울=뉴시스] 위성락 국가안보실장과 마르코 루비오 미국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이 7일(현지 시간) 미국 워싱턴 D.C.에서 한미 안보실장 협의에 앞서 악수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제공) 2025.07.08.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방미 중인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관세 협상과 함께 한미 정상회담 성사에 주력했다. 위 실장은 7일(현지시간) '카운터 파트'인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 겸 국가안보보좌관과 면담해 고위급 교류를 포함한 한미 관계 발전 방안 등에 관해 심도 있게 논의했다. 미국이 우리 측에 관세 서한을 보낸 직후 이뤄진 일정이었다.
특히 위 실장은 "조속한 시일 내 한미 정상회담 개최를 통해 제반 현안에서 상호 호혜적인 결과를 진전시켜 나가길 희망한다"는 뜻을 전했다. 이에 미국 측은 공감을 표했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미국 측은 관세 협상에 집중했다. 이번 협의에서 "내달 1일 상호관세 부과 전까지 관세 합의를 이루기 위해 긴밀히 소통하기를 바란다"는 의사를 밝혔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한미 조선 협력과 관련한 언급도 주목된다. 대통령실은 "양측은 정부, 업계 등 다양한 영역의 역량을 결집하는 것이 실질적이고 상호 호혜적인 협력 방안 도출의 관건인 만큼 이 분야에서 긴밀한 조율해 나가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관세와 방위비 증액 등을 포괄한 이른바 '관세-안보 패키지' 협상이 불가피해졌다는 평가가 나오는 가운데 조선 분야를 비롯한 산업 협력이 협상의 지렛대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대통령실은 위 실장이 9일 귀국하면 정책실과 국가안보실 간 공동회의를 개최해 한미 간 협상 상황을 점검하고 대응책을 협의할 방침이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사실상 미국이 상호관세 부과 유예를 연장한 만큼 남은 3주를 최대한 활용할 것"이라며 "다른 주요국보다 불리한 상황에 처하는 것을 경계하며 미국과 상호 호혜적 관세협상 타결을 목표로 협상을 진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