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검, PPT 178쪽, 의견서 수백 장 제출
尹측 "회의 방해·비화폰 등, 재구속 제한"
尹, 서울구치소 이동 후 결과 기다릴 듯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직권남용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를 마친 뒤 대기 장소인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기 위해 법원을 나서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의 '정점'으로 조은석 특별검사가 이끄는 내란 특검팀에 구속영장이 청구된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8일 내란우두머리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를 받은 지 172일 만에 재구속 기로에 서게 됐다. 2025.07.09.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09/NISI20250709_0020882590_web.jpg?rnd=20250709213458)
[서울=뉴시스] 사진공동취재단 =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직권남용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를 마친 뒤 대기 장소인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기 위해 법원을 나서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의 '정점'으로 조은석 특별검사가 이끄는 내란 특검팀에 구속영장이 청구된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8일 내란우두머리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를 받은 지 172일 만에 재구속 기로에 서게 됐다. 2025.07.09.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최서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이 약 6시간40분 만에 종료됐다. 윤 전 대통령은 심사 막판에 직접 나서 최후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오후 2시22분부터 오후 9시1분까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 심사를 진행했다. 휴정 시간은 총 70여분이었다.
이날 굳은 표정으로 법정에서 나온 윤 전 대통령은 "두 번째 구속심사 받았는데 심경이 어떤가", "직접 소명했나", "총 꺼내라고 (경호처에) 지시했나, 체포영장 막으라 지시한 것 아닌가" 등 취재진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고 자리를 떠났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9일 공수처의 영장 청구로 4시간50분간 심문을 받은 끝에 구속이 결정됐다. 이번 구속 심사는 당시보다 두 시간 가까이 시간이 소요되면서 양측이 혐의별로 구속 필요성에 대해 치열한 공방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
남색 정장에 붉은색 넥타이를 착용한 윤 전 대통령은 '석방 4개월 만에 다시 구속 기로에 놓였는데 심경이 어떤지', '여전히 특검이 무리하게 영장을 청구한 거라고 생각하는지' 등 취재진의 질문에 침묵한 채 입정했다.
윤 전 대통령이 오후 2시13분께 입정하면서, 심사는 오후 2시22분께 본격적으로 시작해 오후 4시20분께 약 10분간 잠시 휴정했다. 4시30분 재개됐으나 오후 7시부터 약 1시간 다시 휴정했다. 윤 전 대통령은 법원 내 대기실에서 저녁식사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 측은 178페이지 분량의 파워포인트(PPT)를 준비해 특검보와 부장검사, 검사들이 혐의별로 파트를 나눠 구속 필요성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수백 페이지에 달하는 추가 의견서도 제출했다.
특검은 국무회의 당시 폐쇄회로(CC)TV 영상 등 증거 영상을 재생하지는 않았으나, PPT에 관련 장면 등을 담은 것으로 전해졌다.
9일 법조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이날 오후 2시22분부터 오후 9시1분까지 윤 전 대통령에 대한 구속 심사를 진행했다. 휴정 시간은 총 70여분이었다.
이날 굳은 표정으로 법정에서 나온 윤 전 대통령은 "두 번째 구속심사 받았는데 심경이 어떤가", "직접 소명했나", "총 꺼내라고 (경호처에) 지시했나, 체포영장 막으라 지시한 것 아닌가" 등 취재진의 질문에 대답하지 않고 자리를 떠났다.
앞서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9일 공수처의 영장 청구로 4시간50분간 심문을 받은 끝에 구속이 결정됐다. 이번 구속 심사는 당시보다 두 시간 가까이 시간이 소요되면서 양측이 혐의별로 구속 필요성에 대해 치열한 공방을 벌인 것으로 보인다.
남색 정장에 붉은색 넥타이를 착용한 윤 전 대통령은 '석방 4개월 만에 다시 구속 기로에 놓였는데 심경이 어떤지', '여전히 특검이 무리하게 영장을 청구한 거라고 생각하는지' 등 취재진의 질문에 침묵한 채 입정했다.
윤 전 대통령이 오후 2시13분께 입정하면서, 심사는 오후 2시22분께 본격적으로 시작해 오후 4시20분께 약 10분간 잠시 휴정했다. 4시30분 재개됐으나 오후 7시부터 약 1시간 다시 휴정했다. 윤 전 대통령은 법원 내 대기실에서 저녁식사를 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검 측은 178페이지 분량의 파워포인트(PPT)를 준비해 특검보와 부장검사, 검사들이 혐의별로 파트를 나눠 구속 필요성을 설명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수백 페이지에 달하는 추가 의견서도 제출했다.
특검은 국무회의 당시 폐쇄회로(CC)TV 영상 등 증거 영상을 재생하지는 않았으나, PPT에 관련 장면 등을 담은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직권남용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를 마친 뒤 대기 장소인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기 위해 법원을 나서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의 '정점'으로 조은석 특별검사가 이끄는 내란 특검팀에 구속영장이 청구된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8일 내란우두머리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를 받은 지 172일 만에 재구속 기로에 서게 됐다. 2025.07.09. mangusta@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7/09/NISI20250709_0020882599_web.jpg?rnd=20250709213323)
[서울=뉴시스] 김선웅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9일 서울 서초구 서울중앙지법에서 열린 직권남용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를 마친 뒤 대기 장소인 서울구치소로 이동하기 위해 법원을 나서고 있다.
12·3 비상계엄 사태의 '정점'으로 조은석 특별검사가 이끄는 내란 특검팀에 구속영장이 청구된 윤 전 대통령은 지난 1월 18일 내란우두머리 등 혐의 영장실질심사를 받은 지 172일 만에 재구속 기로에 서게 됐다. 2025.07.09. [email protected]
윤 전 대통령 측에선 김홍일·배보윤·송진호·채명성·최지우·유정화·김계리 변호사 등이 동행했다. 윤 전 대통령도 약 20분 동안 최후진술을 진행했다.
윤 전 대통령 측은 특검이 범죄사실로 기재한 국무회의 심의 방해, 허위공문서 작성, 외신대변인을 통한 공보, 비화폰 통화내역과 관련한 행위들은 내란 혐의와 동시 또는 수단과 결과의 관계에 의한 행위로서 재구속 제한 사유에 해당한다고 주장했다.
또 대법원은 내란죄의 성립을 전제로 하고 있는 개별행위들은 내란죄에 포섭되어 별도로 범죄가 성립되지 않는다는 입장을 취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증거인멸 우려에 대해선 대부분의 관련자는 구속되어 재판을 받고 있으며, 압수수색을 통해 관련 물적 증거 모두 확보돼 있다고 했다. 도망할 염려에 대해서도 "전직 대통령으로서 상시 경호를 제공 받고 있으며 출국금지가 되어 있는 상황에서 도망갈 곳은 없다"고 밝혔다.
윤 전 대통령은 법무부 호송차에 탑승해 서울구치소로 이동했다. 구속영장이 발부되면 구치소에 수감되며 기각되면 바로 귀가 조치될 전망이다.
심사가 늦은 저녁 종료된 것을 고려할 때 영장 발부 여부가 하루를 넘겨 결정될 가능성도 제기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