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친서에 한·중 관계 발전 방향 담아
10월 경주 APEC 계기 시진핑 방한도 요청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박병석 대통령 중국 특사단장이 24일(현지 시간) 중국 북경 조어대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에게 대통령 친서를 전달하고 있다. (사진= 외교부 제공) 2025.08.25.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https://img1.newsis.com/2025/08/25/NISI20250825_0020945327_web.jpg?rnd=20250825082133)
[서울=뉴시스] 추상철 기자 = 박병석 대통령 중국 특사단장이 24일(현지 시간) 중국 북경 조어대에서 왕이 중국 외교부장에게 대통령 친서를 전달하고 있다. (사진= 외교부 제공) 2025.08.25.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베이징=뉴시스]박준호 기자, 박정규 특파원 = 박병석 전 국회의장을 단장으로 하는 대통령 중국 특사단은 24일 중국 외교부장인 왕이 중국공산당 중앙정치국 위원 겸 중앙외사공작위원회 판공실 주임과 만나 한·중 관계 발전 방향에 관한 이재명 대통령의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앞 친서를 전달했다고 외교부가 25일 밝혔다.
특사단은 한·중 수교 33주년이 되는 24일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왕 부장과 면담 및 만찬을 가졌다. 특사단은 박 전 의장을 비롯해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정 민주당 의원,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으로 구성됐다.
특사단은 새 정부의 국정철학과 대외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한·미 동맹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가운데 국익과 실용에 기반해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성숙한 발전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왕 위원은 한·중 수교 33주년 기념일을 맞아 중국을 방문한 대통령 특사단을 열렬히 환영한다면서, 한국의 새 정부가 특사단을 중국에 파견하고 한·중 관계 발전에 관한 메시지를 전달해 준 데 대해 깊은 사의를 표하고 대통령의 친서를 시 주석에게 신속하게 보고하겠다고 했다.
양측은 오는 10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와 내년도 APEC 의장국으로서 중국의 역할과 관련해 상호 긴밀히 협력해 나가는 한편, 특사단은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의 방한을 요청하고 이와 관련해 양측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양측은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인문교류, 경제협력, 공급망 등 분야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들을 함께 만들기로 했다.
또한 양국 관계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민의(民意)의 기반을 보다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박 단장은 서울대·북경대 간 합동 연구 등 방식을 통해 양 국민 간 우호정서 악화의 원인과 그 제고방안에 대해 긴밀히 논의해 나갈 것을 제안했으며, 왕 위원도 이에 적극 협조하겠다며 화답했다.
이와 함께 특사단은 서해 문제를 포함한 상호 관심사를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사단은 또 중국 내 우리 국민들의 안전과 권익 보호와 광복 80주년을 맞아 중국 내 사적지 관리·보존을 위한 중국 측의 각별한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특사단은 새 정부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는 단호히 대응하되,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 조치를 통해 남북 간 대화와 교류를 재개하고, 한반도 평화와 공존의 길을 열어나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의 실질적 진전을 위한 중국의 지속적인 건설적 역할을 당부했고, 왕 위원은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한국의 새 정부와 협력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도 전날 특사단과의 면담 내용을 이날 공개했다.
특사단은 한·중 수교 33주년이 되는 24일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왕 부장과 면담 및 만찬을 가졌다. 특사단은 박 전 의장을 비롯해 김태년 더불어민주당 의원, 박정 민주당 의원, 노재헌 동아시아문화센터 이사장으로 구성됐다.
특사단은 새 정부의 국정철학과 대외정책에 대해 설명하고, 한·미 동맹을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나가는 가운데 국익과 실용에 기반해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의 성숙한 발전을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왕 위원은 한·중 수교 33주년 기념일을 맞아 중국을 방문한 대통령 특사단을 열렬히 환영한다면서, 한국의 새 정부가 특사단을 중국에 파견하고 한·중 관계 발전에 관한 메시지를 전달해 준 데 대해 깊은 사의를 표하고 대통령의 친서를 시 주석에게 신속하게 보고하겠다고 했다.
양측은 오는 10월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와 내년도 APEC 의장국으로서 중국의 역할과 관련해 상호 긴밀히 협력해 나가는 한편, 특사단은 경주 APEC 정상회의에 시 주석의 방한을 요청하고 이와 관련해 양측이 긴밀히 소통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양측은 한·중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만들어 나가기 위해 인문교류, 경제협력, 공급망 등 분야에서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들을 함께 만들기로 했다.
또한 양국 관계의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발전을 위해 민의(民意)의 기반을 보다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데 공감했다. 박 단장은 서울대·북경대 간 합동 연구 등 방식을 통해 양 국민 간 우호정서 악화의 원인과 그 제고방안에 대해 긴밀히 논의해 나갈 것을 제안했으며, 왕 위원도 이에 적극 협조하겠다며 화답했다.
이와 함께 특사단은 서해 문제를 포함한 상호 관심사를 존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특사단은 또 중국 내 우리 국민들의 안전과 권익 보호와 광복 80주년을 맞아 중국 내 사적지 관리·보존을 위한 중국 측의 각별한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특사단은 새 정부가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에는 단호히 대응하되, 군사적 긴장 완화와 신뢰 구축 조치를 통해 남북 간 대화와 교류를 재개하고, 한반도 평화와 공존의 길을 열어나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특히 북핵 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의 실질적 진전을 위한 중국의 지속적인 건설적 역할을 당부했고, 왕 위원은 한반도 문제에 대한 중국의 입장에는 변함이 없다면서, 한반도의 평화·안정을 위해 한국의 새 정부와 협력해 나가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중국 외교부도 전날 특사단과의 면담 내용을 이날 공개했다.
![[베이징=뉴시스] 이재명 대통령 특사단은 25일 낮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싱하이밍·추궈홍·닝푸쿠이(차례로 왼쪽 두 번째부터 네 번째까지) 등 전직 주한 중국대사 3명과 오찬간담회를 가졌다. 박병석 전 국회의장 등 특사단 일행이 전직 주한 중국대사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주중국대사관 제공) 2025.08.25 photo@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8/25/NISI20250825_0001926137_web.jpg?rnd=20250825161840)
[베이징=뉴시스] 이재명 대통령 특사단은 25일 낮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싱하이밍·추궈홍·닝푸쿠이(차례로 왼쪽 두 번째부터 네 번째까지) 등 전직 주한 중국대사 3명과 오찬간담회를 가졌다. 박병석 전 국회의장 등 특사단 일행이 전직 주한 중국대사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사진=주중국대사관 제공) 2025.08.25 [email protected]
중국 외교부에 따르면 왕 부장은 "양측이 수교의 초심을 지키고 우호적인 방향을 확고히 하며 공동 이익을 확장해야 한다"면서 "국민 감정을 개선하고 민감한 문제를 적절히 처리해 중·한 관계가 올바른 궤도를 따라 안정적으로 멀리 나아갈 수 있도록 추진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 "중국과 한국은 국제 자유무역 체계를 함께 수호하고 무역보호주의에 공동으로 반대하며 다자주의 이념을 실천하고 유엔(UN) 등의 틀 내에서 소통과 협조를 강화해 지역과 글로벌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중국 외교부는 박 전 의장의 발언을 소개하면서 "한국은 언제나 '하나의 중국' 입장을 존중하며 중국 등 주요 대국과의 관계를 병행 발전시키고 지역의 평화·안정, 발전·번영을 함께 유지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하나의 중국은 대만을 국가로 인정할 수 없고 '중국의 떼어낼 수 없는 일부'라는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중국이 대만 문제에 있어 언제나 강조하는 부분이다.
다만 이 같은 발언은 특사단과 왕 부장 면담 당시 언론에 공개된 모두발언에 포함돼있지 않았고 한국 외교부가 발표한 왕 부장 면담 결과 보도자료에도 들어있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하나의 중국을 존중한다는 건 대만 문제에 대한 우리의 기본 입장"이라며 "발언이 있었다 하더라도 우리의 기존 대만 관련 입장에서 변화가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특사단은 이날 낮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닝푸쿠이·추궈홍·싱하이밍 등 전직 주한 중국대사 3명과 오찬간담회를 가졌다. 특사단은 전직 주한대사들이 그간 한·중 관계의 발전을 위해 기여해온 데에 대해 사의를 표했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관심을 갖고 성원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주(駐)중국대사관은 전했다.
특사단은 오는 27일까지 중국에 머물면서 중국 측 주요 인사들을 면담할 예정이다. 25일 전직 주한 중국대사 오찬에 이어 왕원타오 상무부장과 한·중 경제협력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현지 기업인 및 교민단체 대표들과 만찬간담회를 갖는다.
또 26일에는 한정 국가부주석 및 중국 국회의장격인 자오러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과 각각 면담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
또 "중국과 한국은 국제 자유무역 체계를 함께 수호하고 무역보호주의에 공동으로 반대하며 다자주의 이념을 실천하고 유엔(UN) 등의 틀 내에서 소통과 협조를 강화해 지역과 글로벌 도전에 효과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날 중국 외교부는 박 전 의장의 발언을 소개하면서 "한국은 언제나 '하나의 중국' 입장을 존중하며 중국 등 주요 대국과의 관계를 병행 발전시키고 지역의 평화·안정, 발전·번영을 함께 유지하기를 원한다"고 말했다고 전하기도 했다.
하나의 중국은 대만을 국가로 인정할 수 없고 '중국의 떼어낼 수 없는 일부'라는 중국 정부의 공식 입장으로 중국이 대만 문제에 있어 언제나 강조하는 부분이다.
다만 이 같은 발언은 특사단과 왕 부장 면담 당시 언론에 공개된 모두발언에 포함돼있지 않았고 한국 외교부가 발표한 왕 부장 면담 결과 보도자료에도 들어있지 않았다.
이와 관련해 베이징 외교소식통은 "하나의 중국을 존중한다는 건 대만 문제에 대한 우리의 기본 입장"이라며 "발언이 있었다 하더라도 우리의 기존 대만 관련 입장에서 변화가 없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특사단은 이날 낮 베이징 댜오위타이에서 닝푸쿠이·추궈홍·싱하이밍 등 전직 주한 중국대사 3명과 오찬간담회를 가졌다. 특사단은 전직 주한대사들이 그간 한·중 관계의 발전을 위해 기여해온 데에 대해 사의를 표했으며 앞으로도 계속해서 관심을 갖고 성원해줄 것을 당부했다고 주(駐)중국대사관은 전했다.
특사단은 오는 27일까지 중국에 머물면서 중국 측 주요 인사들을 면담할 예정이다. 25일 전직 주한 중국대사 오찬에 이어 왕원타오 상무부장과 한·중 경제협력 관계에 대해 논의하고 현지 기업인 및 교민단체 대표들과 만찬간담회를 갖는다.
또 26일에는 한정 국가부주석 및 중국 국회의장격인 자오러지 전국인민대표대회 상무위원장과 각각 면담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