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 관세 25%…'러 2차 제재'로 25% 추가
내달 유엔 총회 계기 정상 간 담판 가능성
![[로스앤젤레스=AP/뉴시스] 미국이 인도에 부과하기로 한 50% 관세가 27일(현지 시간) 예정대로 전격 발효된다. (사진=뉴시스DB) 2025.08.27.](https://img1.newsis.com/2025/04/03/NISI20250403_0000227714_web.jpg?rnd=20250403063752)
[로스앤젤레스=AP/뉴시스] 미국이 인도에 부과하기로 한 50% 관세가 27일(현지 시간) 예정대로 전격 발효된다. (사진=뉴시스DB) 2025.08.27.
[서울=뉴시스]이혜원 기자 = 미국이 인도에 부과하기로 한 50% 관세가 27일(현지 시간) 예정대로 전격 발효된다.
폴리티코에 따르면 익명을 요구한 백악관 관계자는 인도에 대한 추가 관세를 연기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인도에 대한 관세는 미 동부 시간 27일 0시1분을 기해 총 50% 부과된다.
트럼프 행정부는 러시아산 원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에 25%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러시아에 우크라이나 전쟁 종전을 압박하기 위한 2차 제재 성격이다.
인도에 대한 상호 관세는 25%로, 추가 관세까지 더하면 총 50% 세율이 부과된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월 인도에 대한 상호 관세를 26%로 책정, 지난달 1%p 낮춘 25%로 정정했다.
양측은 다섯 차례 협상을 벌였지만, 미국산 농산물 관세 인하와 러시아 원유 수입 문제를 놓고 이견을 좁히지 못했다. 인도는 러시아산 원유 구매는 순수한 경제적 결정이라며, 계속 구매할 뜻을 고수하고 있다.
발효를 앞두고 관세 부과를 연기할 것이라는 기대감이 있었지만, 미국 관세국경보호청은 25일 수입 업체를 위한 지침 초안 공고를 통해 추가 관세 25% 인상 방침을 확고히 했다.
사예드 아크바루딘 전 유엔 주재 인도 대사는 폴리티코에 "단순한 무역 분쟁을 넘어 양국 협력 관계에 대한 신뢰에 타격으로 여겨지고 있다"며 "방치할 경우 지난 20년간 쌓아온 전략적 협력 관계가 훼손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지난 2월 13일(현지 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공동 기자회견하며 악수하고 있다. 2025.08.27.](https://img1.newsis.com/2025/02/14/NISI20250214_0000107168_web.jpg?rnd=20250214083626)
[워싱턴=AP/뉴시스] 도널드 트럼프(오른쪽) 미국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지난 2월 13일(현지 시간) 백악관 이스트룸에서 공동 기자회견하며 악수하고 있다. 2025.08.27.
다만 익명의 백악관 관계자는 "이번 조치가 양국 관계 종말을 의미한다고 보진 않는다"며, 협상 여지를 남겨뒀다.
트럼프 대통령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가 다음 달 뉴욕에서 열리는 유엔 총회를 계기로 만나 담판을 벌일 가능성도 있다.
케네스 저스터 전 인도 주재 미국 대사는 "인도 정부가 문제를 해결하려 할 것이라 믿고 있으며, 트럼프 행정부도 같은 바람일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번 관세 조치가 몇 주는 유지되겠지만, 양국 정상이 유엔 총회 기간 등 별도 회동을 하고 양국 관계를 정상화하길 바란다"고 기대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