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자원 화재로 647개 시스템 중단…위기경보 '심각' 격상
클라우드 이중화 안 돼…대체 행정서비스 네이버서 안내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우체국, 정부24 등 주요 업무시스템이 중단된 27일 서울 서대문구 서대문우체국에 우체국금융 장애 발생 안내문이 게시되어 있다. 2025.09.27. 20hwan@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09/27/NISI20250927_0020995675_web.jpg?rnd=20250927120444)
[서울=뉴시스] 이영환 기자 =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우체국, 정부24 등 주요 업무시스템이 중단된 27일 서울 서대문구 서대문우체국에 우체국금융 장애 발생 안내문이 게시되어 있다. 2025.09.27.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정부가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대전 본원 화재로 인한 행정망 대규모 마비 사태에 대응해 위기경보 단계를 최고 수준인 '심각'으로 상향 조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7일 국정자원 화재에 따른 행정시스템 장애로 장관 주재 상황판단회의를 개최해 위기경보를 기존 '경계' 단계에서 '심각' 단계로 격상했다고 발표했다. 이와 함께 오전 9시 50분 장관 주재 '중앙사고수습본부'를 설치하고 강화된 비상대응체계에 돌입했다.
전날 오후 8시 15분 국정자원 대전 본원 5층 전산실에서 무정전전원장치(UPS) 배터리를 옮기던 중 리튬배터리 팩이 폭발하며 화재가 발생했다. 소방당국은 약 9시간 50분 만에 초진을 완료했으나, 내부 열기가 남아 복구 작업은 착수되지 못한 상태다. 현재는 연기 배출 작업이 진행 중이다.
이번 사고로 정부 업무시스템 647개가 중단됐다. 행정안전부는 당초 모바일 신분증, 국민신문고 등 70개 서비스만 피해를 받았다고 했으나, 항온항습기 과열 위험이 제기되면서 전체 시스템을 멈췄다고 설명했다. 시스템 정상화 시점은 불투명하다.
이번 사태는 2022년 10월 카카오 판교 데이터센터 화재와 유사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UPS 화재부터 데이터센터 이중화 미비로 인한 대규모 시스템 마비까지 당시와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어서다.
전날 화재가 난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전산실은 정부 행정 기관의 IT 인프라를 담당하는 핵심 시설이다. 정부는 카카오 데이터센터 화재 이후 민간 기업에 데이터센터 이중화 강화를 요구하고, 자체 재난복구(DR) 체계 개선을 추진하겠다고 했었지만 한계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서버 DR과 클라우드 DR 두 가지가 모두 필요한데 국정자원에는 클라우드 DR이 갖춰지지 않았던 것으로 알려졌다.
분원 간 백업시스템이 있지만 당장 가동할 수 있을지 불투명한 상황이다.
김용석 행안부 디지털정부혁신실장은 이날 진행한 긴급 브리핑에서 "대전과 광주는 서로 DR시스템이 구축됐지만, 일반적으로 작동되는 규모로 큰 시스템이 구축돼 있는 것이 아니다"라며 "일부는 최소한의 규모로만 운영되거나 어떤 형태는 스토리지 또는 데이터 백업 형태로만 갖춰져 있어, 시스템별로 DR을 가동할지 원래 시스템을 복구할지 판단해 대응해야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대전 본원은 광주 센터와 이중화하는 작업이 계획됐지만 예산 문제 등으로 진척이 늦어진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용 국가정보자원관리원장은 “과거에는 한쪽 서버가 멈추면 다른 쪽이 대신 가동되는 대기(Standby) 방식이었지만, 앞으로는 두 곳을 동시에 돌려 장애 발생 시 곧바로 대체할 수 있는 방식(Active-Active)으로 전환하겠다”며 “작년에 컨설팅을 마치고 올해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정부 홈페이지, 관련 행정시스템을 비롯해 우체국 금융·우편 서비스 등의 시스템에 장애가 발생하고 있는 상황이다.
정부는 우체국 금융과 우편 등 국민 생활과 밀접한 주요 서비스부터 우선 복구에 나서겠다는 방침이다. 또 시스템 정상화 이전에 도래하는 세금 납부, 서류 제출 기한은 정상화 이후로 연장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장애로 인해 이용이 제한된 각종 행정서비스는 네이버 공지를 통해 대체 사이트 등을 안내하고 있다.
정부는 "전날 상황 발생 이후 즉시 24시간 비상근무체계로 돌입했으며 장애 상황을 신속히 알리고 소통하면서 국민들의 불편과 피해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