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6명 추가, 총 368명…전체 피해규모 2.4억

기사등록 2025/10/17 11:00:00

최종수정 2025/10/17 15:46:25

불법 초소형 기지국 ID 16개 더 나와…피해액 319만원 추가

소액결제 인증 ARS 뿐 아니라 문자·패스도 조사…패스, 이상 無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KT 가입자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 사고 원인으로 가상의 유령기지국 운영 의혹이 제기되자 정부가 긴급 점검에 돌입한 10일 서울 한 KT대리점에 KT로고가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8일 KT가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원인의 하나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언급했다고 밝혔다. 해커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활용해 정보를 탈취했는지 여부 및 어떤 방식으로 무단 소액결제가 이뤄졌는지에 대해 정밀 조사 중이다. 2025.09.10. myjs@newsis.com
[서울=뉴시스] 최진석 기자 =  KT 가입자의 무단 소액결제 피해 사고 원인으로 가상의 유령기지국 운영 의혹이 제기되자 정부가 긴급 점검에 돌입한 10일 서울 한 KT대리점에 KT로고가 보이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8일 KT가 무단 소액결제 침해사고 원인의 하나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언급했다고 밝혔다. 해커가 불법 초소형 기지국을 활용해 정보를 탈취했는지 여부 및 어떤 방식으로 무단 소액결제가 이뤄졌는지에 대해 정밀 조사 중이다. 2025.09.10.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심지혜 기자 = KT의 무단 소액결제 사고와 관련해 불법 초소형 기지국(펨토셀) ID 16개가 추가로 발견됐다. 이에 따라 6명의 피해자가 추가 확인되면서 피해액 319만원이 더해졌다.

KT는 무단 소액결제 데이터 조사를 통해 이같은 사실을 확인했다고 17일 발표했다.

조사 기간과 대상은 2024년 8월 1일부터 올해 9월 10일까지 이뤄진 모든 통신과금대행 결제내역 약 1억5000만건이다. 소액결제 8400만 건과 통신사 직접 과금 결제 방식인 DCB(Direct Carrier Billing) 결제 6300만건이 모두 포함됐다.

앞서 KT는 소액결제 본인인증 수단 중 ARS만 조사했는데 이번엔 문자, 패스 인증을 통해 일어난 결제까지 실시했다.

KT는 전체 휴대폰과 기지국 간 4조300억건에 달하는 접속 기록을 전수 조사해 불법 펨토셀을 탐지한 뒤 불법 펨토셀 ID 접속 이력과 전체 결제 데이터를 교차 검증하는 방식으로 분석을 진행했다.

그 결과 불법 펨토셀 ID는 기존 4개에서 16개가 추가 발견돼 총 20개로 확인됐고, 해당 펨토셀 ID 접속 이력이 있는 고객 수는 추가로 2200여 명이 파악돼 총 2만2200여 명으로 집계됐다.

추가로 확인된 불법 펨토셀 ID 16개 중에서는 1개의 ID에서만 무단 소액결제 의심 건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무단 소액결제 피해 고객은 기존 362명에서 6명이 추가된 368명이 됐다. 해당 고객 6명의 소액결제 피해액은 총 319만원이다. 이를 포함한 전체 피해액은 2억4000만원 규모다.

KT는 패스 인증 및 DCB 결제에서는 이상 결제가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했다. 무단 소액결제가 최초로 발생한 시점은 당초 확인 내용과 동일한 8월 5일을 유지했다.

비정상적인 소액결제 시도를 차단한 9월 5일 이후 새로운 피해는 발생하지 않은 것도 다시 확인했다.

KT는 이번 조사 결과를 개인정보보호위원회 등 관계 기관에 보완 신고했으며, 추가로 피해가 확인된 고객에 대한 보호 조치를 이행하고 있다.

KT 측은 "대규모 전수 조사에 시간이 소요된 점에 대해 거듭 사과한다"며 "계속해서 정부 조사 및 경찰 수사에 성실히 협조하는 것은 물론 재발 방지를 위한 기술·제도적 보완책 마련과 실질적인 고객 보호 조치에 끝까지 책임을 다할 것"이라고 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관련기사

button by close ad
button by close ad

KT 무단 소액결제 피해자 6명 추가, 총 368명…전체 피해규모 2.4억

기사등록 2025/10/17 11:00:00 최초수정 2025/10/17 15:46:25

이시간 뉴스

많이 본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