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표와 친구…부장판사 때 상폐 직전 전량 매도"
"거래정지 2시간 전 260억 거래…공소시효 15년"
박범계 "김건희 비호하려 15년 전 사건 꺼내"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2025.10.21.suncho21@newsis.com](https://img1.newsis.com/2025/10/21/NISI20251021_0021023399_web.jpg?rnd=20251021121800)
[서울=뉴시스] 조성봉 기자 =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 질의를 듣고 있다.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김지훈 기자 =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21일 금융감독원 등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민중기 특별검사의 미공개 정보 활용 주식 거래 의혹에 집중했다. 민 특검 의혹 관련 혐의의 공소시효도 아직 만료되지 않았다고 했다.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에게 민 특검의 미공개 정보 주식 거래 의혹에 관해 물었다. 그는 "민 특검이 태양광 소재 업체인 네오세미테크 주식을 2000년도에 1만 주 매입, 2010년 상장폐지 직전 전량 매각해 억대의 이익을 남겼다"며 "반면 개미 투자자 7000여명은 4000억원의 손실을 보고 피눈물을 흘렸다"고 했다.
이어 "민 특검의 대전고·서울대 동문인 회사 대표 오 모 씨는 분식회계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며 "피해 주주들 사이에서는 상장 전후 일종의 뇌물로 고위직에게 (주식을) 주고 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고, 대표는 차명주식을 몰래 판 전력도 있다"고 했다.
이 의원은 "(김건희 등) 주가 조작 여부에 대해 특검을 수행하는 민 특검이 정작 미공개 정보로 주식 차익을 얻었다면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면서 "불법정보를 활용해 이익을 얻은 사람이 있다면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금감원장은 "이 사안은 조사가 끝난 상태이고, 해당 혐의와 관련된 부분은 공소시효가 완성된 지 오래됐다"며 "금감원 감독 권한 등을 통해 할 수 있는 방법이 발견되지 못해, 현실적으로 어렵지 않을까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양수 의원은 "민 특검은 서울고법 부장판사의 위치에서, 네오세미테크 대표의 친구라는 관계를 활용해 상장폐지 직전에 전량 매도로 억대의 이익을 취했다"고 했다. 또한 "당시 1만 주를 받은 사람들이 많았다"며 "1만 주를 뇌물로 준 것으로 보인다. 소위 '1만 주 클럽'이 존재한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주식거래정지 전 2시간 동안 거래된 금액이 260억원이다. 이것은 '50억 이상 거래 불법금액'으로 공소시효 15년에 해당된다"며 "공소시효가 끝났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그는 "상장폐지 일주일 전 기간 거래내역만 확인해보면 '1만 주 클럽'을 쉽게 알 수 있다"고 했다.
추경호 의원은 "삼부토건이든 네오세미테크이든 내부 정보를 활용한 주식거래와 부당이익 부분은 철저히 조사해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며 "금감원에서 주식 취득 경로, 매도 시점, 사전 정보 등 의혹을 철저히 조사해보라"고 말했다.
야당 의원들은 미공개 정보 이용 주식거래 의혹이 제기된 민 특검을 종합감사 증인으로 채택할 것을 요청했다.
김재섭 의원은 "민중기 특검의 (비상장) 주식 거래 논란이 연일 확산하는 모양새다"라면서 "종합감사 때 민 특검이 해명하는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양수 의원도 "민 특검을 종합감사 증인으로 채택하기를 재차 제안드린다"고 말했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민중기 특검 국감인 것 같다"며 "15년 전 사건을 꺼내서 흔드는 것은 결국 김건희를 비호하기 위해서 그런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
이헌승 국민의힘 의원은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에게 민 특검의 미공개 정보 주식 거래 의혹에 관해 물었다. 그는 "민 특검이 태양광 소재 업체인 네오세미테크 주식을 2000년도에 1만 주 매입, 2010년 상장폐지 직전 전량 매각해 억대의 이익을 남겼다"며 "반면 개미 투자자 7000여명은 4000억원의 손실을 보고 피눈물을 흘렸다"고 했다.
이어 "민 특검의 대전고·서울대 동문인 회사 대표 오 모 씨는 분식회계로 징역형을 선고받았다"며 "피해 주주들 사이에서는 상장 전후 일종의 뇌물로 고위직에게 (주식을) 주고 했다는 의혹이 일고 있고, 대표는 차명주식을 몰래 판 전력도 있다"고 했다.
이 의원은 "(김건희 등) 주가 조작 여부에 대해 특검을 수행하는 민 특검이 정작 미공개 정보로 주식 차익을 얻었다면 국민을 우롱하는 처사"라면서 "불법정보를 활용해 이익을 얻은 사람이 있다면 일벌백계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만 이 금감원장은 "이 사안은 조사가 끝난 상태이고, 해당 혐의와 관련된 부분은 공소시효가 완성된 지 오래됐다"며 "금감원 감독 권한 등을 통해 할 수 있는 방법이 발견되지 못해, 현실적으로 어렵지 않을까 판단했다"고 말했다.
이양수 의원은 "민 특검은 서울고법 부장판사의 위치에서, 네오세미테크 대표의 친구라는 관계를 활용해 상장폐지 직전에 전량 매도로 억대의 이익을 취했다"고 했다. 또한 "당시 1만 주를 받은 사람들이 많았다"며 "1만 주를 뇌물로 준 것으로 보인다. 소위 '1만 주 클럽'이 존재한다는 이야기도 있다"고 말했다.
그는 또한 "주식거래정지 전 2시간 동안 거래된 금액이 260억원이다. 이것은 '50억 이상 거래 불법금액'으로 공소시효 15년에 해당된다"며 "공소시효가 끝났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고 했다. 그는 "상장폐지 일주일 전 기간 거래내역만 확인해보면 '1만 주 클럽'을 쉽게 알 수 있다"고 했다.
추경호 의원은 "삼부토건이든 네오세미테크이든 내부 정보를 활용한 주식거래와 부당이익 부분은 철저히 조사해 진상이 밝혀져야 한다"며 "금감원에서 주식 취득 경로, 매도 시점, 사전 정보 등 의혹을 철저히 조사해보라"고 말했다.
야당 의원들은 미공개 정보 이용 주식거래 의혹이 제기된 민 특검을 종합감사 증인으로 채택할 것을 요청했다.
김재섭 의원은 "민중기 특검의 (비상장) 주식 거래 논란이 연일 확산하는 모양새다"라면서 "종합감사 때 민 특검이 해명하는 자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요청했다. 이양수 의원도 "민 특검을 종합감사 증인으로 채택하기를 재차 제안드린다"고 말했다.
박범계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민중기 특검 국감인 것 같다"며 "15년 전 사건을 꺼내서 흔드는 것은 결국 김건희를 비호하기 위해서 그런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